본문내용
타나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 용지로는 상업지구이지만 실질적인 기능은 하지 못하기 때문에 구성비에서만 나타날 뿐이다. 아무튼 각 핵들(동대구역,두류공원등)은 하나의 중심적인 구성비를 나타내고 그 외에 지역엔 비율별로 고르게 나타남을 알 수있다.
결론
이상으로 대구시의 각 사례들을 공간구조 모델을 통해 분석해보았다. 각 사례들에 따라 동심원, 선형, 다핵모델등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음을 알수 있었다. 도시는 어느 한가지 면만 가지고 분석을 할수 없으므로 이러한 여러 분석을 통한 자료의 통합성이 앞으로도 필요할 것이다. 물론 한도시의 공간구조를 단순 모델들 만으로 표현을 할 수는 없겠지만, 도시의 발전방향이나 과거로 부터의 상관성 등을 분석하기에는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생태학적 모델이외에도 다양한 방법들은 많겠으나 본 글에서는 생태학적인 공간구조만을 다루었다.
토지이용에 대한 분석이나 공간이용에 관한 분석들은 사회의 발전과 함께 방법론에서도 발전해가고 있다. 그 중 GIS의 발전은 도시이론적면에서 굉장한 성과를 지닌다. 특히나 과거에는 통계자료 등으로 밖에 활용해왔던 자료들을 분석함으로써 좀더 알기 쉽고, 여러 분야에 걸쳐 응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다양한 분야들과의 접합이 가능해지고, 거기에 따른 총괄적인 문제의 도출및 해결이 가능하게 되었다. 하지만 아직도 이러한 자료들은 많이 부족하며,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더욱더 이러한 프로그램적인 지식을 늘려가는데 힘써야 할 것이다. 끝으로 이론적인 면에서만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분석을 해본것이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결론
이상으로 대구시의 각 사례들을 공간구조 모델을 통해 분석해보았다. 각 사례들에 따라 동심원, 선형, 다핵모델등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음을 알수 있었다. 도시는 어느 한가지 면만 가지고 분석을 할수 없으므로 이러한 여러 분석을 통한 자료의 통합성이 앞으로도 필요할 것이다. 물론 한도시의 공간구조를 단순 모델들 만으로 표현을 할 수는 없겠지만, 도시의 발전방향이나 과거로 부터의 상관성 등을 분석하기에는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생태학적 모델이외에도 다양한 방법들은 많겠으나 본 글에서는 생태학적인 공간구조만을 다루었다.
토지이용에 대한 분석이나 공간이용에 관한 분석들은 사회의 발전과 함께 방법론에서도 발전해가고 있다. 그 중 GIS의 발전은 도시이론적면에서 굉장한 성과를 지닌다. 특히나 과거에는 통계자료 등으로 밖에 활용해왔던 자료들을 분석함으로써 좀더 알기 쉽고, 여러 분야에 걸쳐 응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다양한 분야들과의 접합이 가능해지고, 거기에 따른 총괄적인 문제의 도출및 해결이 가능하게 되었다. 하지만 아직도 이러한 자료들은 많이 부족하며,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더욱더 이러한 프로그램적인 지식을 늘려가는데 힘써야 할 것이다. 끝으로 이론적인 면에서만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분석을 해본것이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