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재가노인복지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복지] 재가노인복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재가복지의 개념

2.재가노인복지의 발전과정

3.재가노인 복지의 운영주체,
전달체계 및 재정

4.재가노인복지 서비스의 목적

5.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종류
① 가정봉사원 파견사업
② 가정봉사원 양성사업
③ 주간보호서비스
④ 단기보호서비스
⑤ 방문간호서비스

6.재가노인복지서비스 정책의 문제점

7.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개선방안
및 정책과제

본문내용

사원파견사업은 재가복지사업 중에서 핵심적인 사업이라 할 수 있다.
③ 가정봉사원 파견사업의 현황
- 가정봉사원 파견사업의 실시기관과 인력
가정봉사원 파견사업을 실시하는 기관은 1998년 현재 59개소로서 그 중 국고지원대상은 52개소이다. 가정봉사원 파견사업에서 노인들을 대상으로 직접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주로 자원봉사자이다. 자원봉사자들은 일정한 교육을 받은 후 사회복지사의 지도감 독 하에 배정된 노인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교육훈련을 거친 가정봉사원들이 1인당 담당하고 있는 노인수를 보면, 평균적으로 가정봉사원 1인이 1.5명의 노인을 담당 하고 있다. 가정봉사원 1인이 2명 이상의 노인을 담당하고 있는 경우가 17개소로 그 중 3개소는 가정봉사원 1인이 5명 이상의 노인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가정봉사원을 충분 히 확보하는 것이 시급한 문제이다. 가정봉사원 중 정기적으로 봉사하는 사람의 비율은 평균 68.3%이며, 그 비율이 50% 미만인 경우도 14개소(전체의 약 30%)나 되어 서비스 제공의 지속성이 큰 문제로 지적된다.
< 지역별 가정봉사파견시설현황 >
시ㆍ도
65세 이상
노인인구
(2007.12.31
주민등록인구기준)
합계
가정봉사원파견시설



이용인원







이용인원




가정봉사원수
정원
현원
정원
현원

유급
무급
합 계
4,861,476
1,408
72,563
63,701
5,859
767
62,736
55,485
2,939
19,021
2,883
16,138
서 울
844,839
174
6,806
5,428
817
54
4,627
3,572
182
1,743
115
1,628
부 산
345,492
112
5,735
5,141
472
58
4,920
4,453
207
2,059
199
1,860
대 구
220,980
69
3,716
3,410
308
42
3,360
3,146
175
1,255
295
960
인 천
204,880
46
2,635
2,076
189
30
2,430
1,893
112
607
145
462
광 주
113,823
86
5,672
4,314
337
67
5,400
4,069
267
1,852
241
1,611
대 전
113,994
36
1,642
1,535
149
17
1,411
1,354
65
441
67
374
울 산
66,173
38
1,730
1,575
135
19
1,520
1,428
66
196
62
134
경 기
871,191
243
10,342
8,897
1,141
92
7,755
6,795
359
1,797
578
1,219
강 원
202,198
64
3,421
3,053
216
38
3,040
2,744
122
766
107
659
충 북
186,223
50
2,608
1,489
179
28
2,334
1,326
92
308
75
233
충 남
285,562
51
3,205
2,680
199
37
2,995
2,488
139
592
113
479
전 북
266,672
113
7,034
6,989
420
82
6,496
6,578
306
1,522
292
1,230
전 남
332,516
141
8,008
7,764
562
91
7,450
7,185
407
2,002
247
1,755
경 북
390,588
79
4,135
3,707
312
47
3,732
3,365
193
1,218
171
1,047
경 남
354,611
78
4,497
4,212
279
51
4,146
3,876
178
2,468
136
2,332
제 주
61,734
28
1,377
1,431
144
14
1,120
1,213
69
195
40
155
④ 가정봉사원 파견사업의 내용
가정봉사원 파견사업은 가정에서 생활하는 노인이 정신적신체적 이유로 일상생활에 불편이 있을 때 각종 사회적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지역사회 내에서 편안하고 안정된 생활을 영위하도록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그 구체적 서비스내용은 다음과 같다.
- 가사지원서비스 : 취사, 시장보기, 청소, 주변정돈, 생필품 구매, 의류세탁, 관계기관
연락 등 가사에 관한 서비스
- 개인활동서비스 : 식사시중, 신체청결, 목욕, 용변수발, 외출동행, 의복 갈아입히기 등 개인신상에 관한 서비스
- 우애서비스 : 전화 및 방문 말벗, 편지 써주기, 생활상담 등에 관한 서비스
- 상담 및 교육에 관한 사항 : 노인의 자립생활에 관한 상담, 장애노인 수발자를 위한 상담, 교육
- 무의탁노인 후원을 위한 결연사업
2) 가정봉사원 양성사업
재가노인복지서비스 기관에서 가정봉사원으로 활동하고자 하는 봉사자들에게 필요한 지식과 기술의 훈련을 위해, 유급과정은 최초 40시간(강의 16시간, 실기 16시간, 실습 8시간)과 매년 보수교육 과정 20시간을 이수하여야 하고, 무급 자원봉사 과정은 최초 20시간(강의 8시간, 실기 8시간, 실습 4시간)과 매 3년마다 8시간의 보수교육 과정을 두고 있다. 현재 전국 16개 지역에 1개소씩 16개소의 가정봉사원 양성소가 있으며 개소당 연간 2천2백만원씩 국고지원을 하고 있다.
< 가정봉사원파견사업과 노인돌보미 바우처사업 비교 >
구분
유급가정봉사원 파견사업
노인돌보미 바우처사업
대상자
①일상생활수행능력(ADL;Activities of Daily Living)에 지장이 있는 자
②노인성질환 또는 노쇠로 인해 심신의 장애가 있는 자
③일반질환으로 인해 일시적인 일상생활 서비스가 필요한 자
④독거노인으로서 일상생활 서비스가 필 요한 자
⑤기타 복지실시기관장이 가정봉사원의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인정한 자
- 만65세 이상의 노인 중 가구 소득·재산, 건강상태 및 가구 여건 등을 고려하여 돌봄서비스가 필요한 대상자 선정
- 신체기능(일상생활 수행능력), 인지기능, 문제행동, 간호처치 욕구 및 재활욕구
※「무료 및 실비 노인(전문)요양시설
입소대상자 선정지침(’05.12)」준용
- 45점 이상자를 지원대상자로 함.
서비스
내용
①신체적 수발
②일상생활 지원 :가사지원서비스,
개인활동서비스, 우애서비스
③노화, 질병 및 장애관리에 관한 사항
④상담 및 교육에 관한 사항
⑤지역사회 복지자원 발굴 및 네트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8.06.08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83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