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병원 응급실)간성혼수(Hepatic Coma)환자에 대한 사례연구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산병원 응급실)간성혼수(Hepatic Coma)환자에 대한 사례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실습보고서
- 출혈환자 간호(분류,응급처치 및 간호)
- 약물중독 환자 간호(약물의 종류, 응급처치 및 간호)
- 화상환자 간호(정도, 분류, 응급처치 및 간호)
- shock 환자의 간호
- 골절환자의 간호
- 응급약물의 종류와 작용 부작용
- 환자 관찰 case

Ⅰ. 서론
-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본론
- 응급 환자 상태 기록
- 문헌고찰(질병 및 현 상황과 관련 내용)
- 건강력
ㆍ병원에 오게 된 동기(사고원인, 경위, 발병시기)
ㆍ주 호소(chief complaints)
ㆍ과거 병력(past History)
ㆍ질병이나 상해 발생시간
ㆍ사고 발생 장소 및 발병시 처치(First Aids)
ㆍ병원 도착시 시간 및 양상
ㆍ응급검사(종류,목적,결과,정상치)
- 응급 처치 및 간호사항
- 응급환자 간호사례 보고서
ㆍ간호문제
ㆍ간호진단

Ⅲ. 결론
- 실습소감


ㆍ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계 화합물, 카바메이트 : 유기인계 화합물은 인체내의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 린에스터라제를 억제하여 독성을 나타낸다. 유기인계 화합물에 의해 50%이하의 아세틸 콜린에스터라제가 억제되는 경우에는 피로감, 구토 등의 가벼운 증상이 일어나며, 더 이상의 폭로를 막는 정도의 조치를 취하면 된다. 하지만 더 심하게 중독 되는 경우에 는 더 이상의 체내 흡수를 막고(위세척 등) 해독제를 쓰는 등의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 하고 의식이 없는 유기인계 화합물의 중독환자는 즉시 기관삽관을 시행하여 호흡을 유 지시키고, 해독제를 투여한다.
② 진통제
ㆍ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 습관적으로 거의 매일 진통제를 많이 먹는 경우에도 정상적인 치료량 이상이 되어 중독이 될 수 있으며 특히 다른 질병이 있거나, 다른 약 을 복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간에서 아세트아미노펜을 대사하는 정도가 작아져서 독성 이 심해질 수 있다. 위체적, 활성탄 등의 흡착제 투여를 할 수 있으나 상황을 고려해 야 한다. 아세트아미노펜의 해독제로는 NAC(N-acetylcysteine, Mucomist)가 있다.
③ 진정, 수면제
ㆍ항히스타민제(antihistamines) : 과량 섭취한 환자는 기도확보와 산소공급, 호흡유지 가 가장 우선되는 치료이다. 먹은 지 1시간 이내이고, 의식이 뚜렷한 경우에는 구토제 를 투여하여 아직 흡수되지 않은 항히스타민제를 일부 제거하고, 활성탄 등의 흡착제 를 투여하여 더 이상의 흡수를 막는다. 1시간이상 경과하였거나, 의식이 좋지않은 경 우는 구토제 투여는 위험하며(구토물이 폐로 들어갈 수 있으므로)활성탄 등의 흡착제 투여를 한다. 1시간이상 경과후에 구토제를 투여하지 않는 이유는 항히스타민제가 어 느정도 흡수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구토를 하는 중에 의식소실이나 경련, 발작, 심장부정맥등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④ 약물남용
ㆍ아편류(Opioids) : 급성중독 환자는 혼수상태와 호흡부전이 가장 심각한 증상이다. 진 정작용이 매우 심하여 뇌에서 호흡을 유지하는 기능이 마비되어서 나타난다. 호흡이 4~6분 이상 정지되면 영구적인 뇌 손상을 입으며, 시간이 더 길어지면 사망하게 된다. 즉시 병원으로 옮겨져야 하며, 이송 과정에서도 환자가 숨을 쉬지 않는다면 인공호흡을 시행해야 한다. 아편류의 약물들은 위, 장운동을 억제하기 때문에 장시간 위에 남아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많은 양을 먹은 경우에는 위세척과 흡착제 투여가 효과적이다.
⑤ 디기탈리스제제 : 활성탄을 복용하거나 진한 차를 마신다
⑥ 술파제 : 소다 2~3g을 다량의 물에 타서 마신다.
⑦ 석탄산, 크레졸액 : 진한 차나 커피를 마신다.
⑧ 세제, 샴푸, 여모제, 파마액 : 토제를 복용한다.
⑨ 비트레이트계 최면제 : 토제, 약용탄을 사용한다.
⑩ 황산구리 : 산화마그네슘 10g을 복용한다. 응급처치 후에 병원으로 후송한다.
3. 화상환자 간호(정도, 분류, 응급처치 및 간호)
- 대부분 화상은 피부의 손상으로 생각하지만 피부 아래 근육, 뼈, 신경, 혈관등도 아울러
영향을 받는다. 눈에 화상을 입어 불구가 되기도 하고 호흡기계가 폐색되어 호흡곤란 및
호흡정지를 일으킨다. 또한 화상후 상처도 심각한 정신적 손상을 영구히 받게되기도 한
다.
(1) 조직 손상의 깊이에 따른 화상의 특성
① 1도 화상 : 표피만 손상된 경우로써 태양광선에 그을린때처럼 허물이 벗겨지고 피부가 붉어지며 통증이 있다.
② 2도 화상 : 표피 및 진피가 손상되며 수포, 피하부종 및 심한 통증을 동반한다. 수포는 피부손상후 몇시간 뒤에 생기기도 한다. 피부색은 붉어지고 얼룩덜룩해진다. 신경말단이 자극되어 과민해지므로 화상부위의 경미한 자극에 대해서도 격심한 통증을 느낀다. 2도화상은 흔히 끓는 물에 의해 발생하는데 화상부위를 깨끗하게 유지하여 감염되지 않는다면 2~3주 안에 치유된다.
③ 3도 화상 : 피부의 모든 층이 파괴되어 진피는 물론 근육, 뼈 등 여러 조직까지 파괴된다. 이때는 신경말단이 파괴되어 거의 통증이 없다. 피부는 숯처럼 타고 건조하고 창백해진다. 3도화상은 다량의 수분이 손실되므로 쇼크가 가장 중요한 문제로 된다.
(2) 손상의 범위
- 화상의 중증도를 평가하기 위해 “pules of Nines\"을 적용하며 이는 전체 체표면에 대한 화상면적의 비율로 성인의 경우 머리와 목 9%, 앞몸통과 뒤몸통 각각 18%, 하지가 각 18%, 상지가 각 9%, 회음부 1%로 총 100%가 되도록 한 것이다. 성인의 경우 화상면적이 30%이상, 소아의 경우 화상면적이 20% 이상이면 사망의 위험이 커지게 된다.
(3) 응급처치
① 화상환자의 일반적 처치사항으로는 우선 기도유지(기관내 삽관)와 산소공급 및 냉각이 필요하다.
② 정맥내 수액주입이 필요하면 전신이 10% 이상의 3도 화상일 때는 혈장이나 교질액부터 주입한다.
③ 쇼크 관리와 화상부위의 관리로서 피부의 탈락조직이 있는 경우 이를 떼려고 시간을 낭비하지 않는다. 재빨리 화상부위에 깨끗한 드레싱을 덮어 주고 화상 주위 부위는 찬물에 적신 타월을 덮어 준다.
④ 얼굴, 목, 회음부 화상에는 환부를 노출시키는 개방법을 사용하며 반지나 팔찌 등을 제거하고 손과 발에는 환부를 청결히 하고 드레싱을 해 주는 폐쇄 붕대법을 많이 이용한다.
⑤ 화상을 입은 후 부종이 초래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다.
⑥ 골절이나 그 외의 손상 유무를 살피면서 처치한다.
(4) 화상의 깊이에 따른 처치
① 1도 화상 : 화상입은 즉시 화상부위를 찬물에 담그어 식히거나 습포를 한다. 손이나 발의 화상은 환부를 직접 물에 담그로 얼굴과 몸의 화상은 찬물수건을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환부에 연고나 물약, 된장, 간장 등을 절대로 바르지 않도록 한다.
② 2도 화상 : 화상발생 1시간이내의 환자는 찬물에 적신 거즈를 대주면 통증이나 부종을 완화시킬 수 있다. 절대로 화상 부위에 생긴 물질을 터트리지 않는다. 2도 화상 부위가 전신의 15%를 넘거나 1도 화상부위가 전신의 30~50% 이상이면 정맥수액 주입을 시작한다. 이러한 환자들은 화상으로 인하여 정맥이 허탈 상태에 있으므로 정맥주사가 용이하지 못

키워드

간암,   간경화,   혼수
  • 가격3,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8.06.09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84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