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목차
1. 연구목적의 제시 및 가설설정
1) 연구목적
2) 연구문제 제시 및 가설의 설정
2. M세대의 개념 및 특성
3. 모바일 미디어
1)모바일 미디어의 매체적 특성
(1)모빌리티
(2)개인화된 서비스/매스미디어 콘텐츠
2)융합형 미디어로서 모바일 미디어
3)모바일 미디어의 확산
4.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1)모바일 커뮤니케이션의 동기
2)모바일 미디어가 매개하는 대인 커뮤니케이션
5. SMS(short message service)
1)SMS의 개념
2)SMS의 특징
3)M세대와 SMS
6. 아바타뮤직(avatar music)
1)아바타뮤직의 개념
2)아바타뮤직의 특징
3)M세대와 아바타뮤직
7. 모바일인터넷(mobile internet)
1)모바일인터넷의 개념
2)모바일인터넷의 특징
3)M세대와 모바일인터넷
8. 디지털카메라(digital camera)
1)디지털카메라의 개념
2)디카문화의 특징
3)M세대와 디카문화
9.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1)DMB의 개념
2)DMB의 특징
3)M세대와 DMB
10. 설문조사 분석
1)서베이 조사 설계와 표본 구성
2)가설검증-가설 1,2,3
11. 이론분석 및 적용
-기본 이론 개괄
1.의식과 무의식
1)무의식의 부정
2)무의식/무의식적 행동
2.프로이트
1)무의식의 개념
2)무의식 개념의 정당화
3)<무의식>의 다의성 - 지형학적 시각으로 바라본 무의식
4)무의식의 감정들
5)무의식 조직의 특징
6)무의식에 대한 평가
3.융
1)프로이트와의 관계
2)원형과 무의식
3) 융과 프로이드의 비교
4.라깡
1) 욕망 이론
2) 언어학 이론
3)페미니스트 이론
-이론을 토대로 한 M세대 분석
1)언어학이론의 도입
2)핸드폰으로의 감정이입
3)집단무의식을 통한 해석
4)욕망이론을 통한 해석
12.결론 및 제언
13.참고 문헌
1) 연구목적
2) 연구문제 제시 및 가설의 설정
2. M세대의 개념 및 특성
3. 모바일 미디어
1)모바일 미디어의 매체적 특성
(1)모빌리티
(2)개인화된 서비스/매스미디어 콘텐츠
2)융합형 미디어로서 모바일 미디어
3)모바일 미디어의 확산
4.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1)모바일 커뮤니케이션의 동기
2)모바일 미디어가 매개하는 대인 커뮤니케이션
5. SMS(short message service)
1)SMS의 개념
2)SMS의 특징
3)M세대와 SMS
6. 아바타뮤직(avatar music)
1)아바타뮤직의 개념
2)아바타뮤직의 특징
3)M세대와 아바타뮤직
7. 모바일인터넷(mobile internet)
1)모바일인터넷의 개념
2)모바일인터넷의 특징
3)M세대와 모바일인터넷
8. 디지털카메라(digital camera)
1)디지털카메라의 개념
2)디카문화의 특징
3)M세대와 디카문화
9.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1)DMB의 개념
2)DMB의 특징
3)M세대와 DMB
10. 설문조사 분석
1)서베이 조사 설계와 표본 구성
2)가설검증-가설 1,2,3
11. 이론분석 및 적용
-기본 이론 개괄
1.의식과 무의식
1)무의식의 부정
2)무의식/무의식적 행동
2.프로이트
1)무의식의 개념
2)무의식 개념의 정당화
3)<무의식>의 다의성 - 지형학적 시각으로 바라본 무의식
4)무의식의 감정들
5)무의식 조직의 특징
6)무의식에 대한 평가
3.융
1)프로이트와의 관계
2)원형과 무의식
3) 융과 프로이드의 비교
4.라깡
1) 욕망 이론
2) 언어학 이론
3)페미니스트 이론
-이론을 토대로 한 M세대 분석
1)언어학이론의 도입
2)핸드폰으로의 감정이입
3)집단무의식을 통한 해석
4)욕망이론을 통한 해석
12.결론 및 제언
13.참고 문헌
본문내용
인식할 수 있다. 전의식 조직의 과정들은 리비도 집중을 지닌 표상들이 분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성향이 있으며(현실 원칙의 적용), 무의식의 과정 그 자체만 가지고는 그 과정을 인지한다는 것이 불가능하다.
cf. 브로이어 : 두 종류의 에너지 집중 상태 존재.
① 에너지가 긴장되어 구속된 상태
② 에너지가 자유롭게 움직이며 어디론가 발산되려고 하는 상태
⑤무의식에 대한 평가
1) 신경증(불안 히스테리, 전환 히스테리, 강박 신경증) : 현실적 대상의 포기
대상 리비도 집중은 억압에도 불구하고 무의식 조직 내에서도 계속 지속된다.
2) 정신분열증 : 대상 리비도 집중의 포기와 대상이 부재하는 원초적 나르시시즘의 상태
심기증적 발화(신체 기관-발화). 정신분열증에서는 단어들이 1차 정신 과정을 겪는다. 정신분열증 환자는 단어들의 유사성을 통해 대체물을 형성하기 때문에 단어와 사물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신경증 환자와 차이가 있다. 즉, 대상 리비도 집중은 포기된 상태지만 대상의 언어적 표상의 리비도 집중은 그대로 유지되는 것이다.
의식의 표상은 사물의 표상과 그 사물에 속하는 언어 표상을 다 포괄하고 있는 반면, 무의식의 표상은 사물 표상 하나만을 포함하고 있다. 무의식 조직에는 최초의 진정한 대상 리비도 집중인 대상에 대한 사물 리비도 집중이 포함되지만 전의식 조직은 사물 표상이 그에 상응하는 언어 표상과 결합하면서 과잉 리비도 집중이 이루어져 생겨나는 체제이다. 그러므로 언어로 표현되지 않거나 과잉 리비도 집중 현상이 일어나지 않은 어떤 정신적인 행위로 표현되지 않은 표상은 무의식 조직 속에서 억압된 상태로 계속 머물러 있다. 그러나 단어 표상들과 연결이 된다고 해서 그것이 바로 의식화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며, 단지 그렇게 될 가능성이 마련되는 것이다. 프로이트,『정신분석학의 근본 개념』, 열린책들, 2004
본능 → 무의식 조직 → (전)의식 조직
무의식적 리비도 집중 ← 전의식 조직 ← 의식 조직 ← 외부의 자극
3.융(Jung, Carl Gustav)
(나의 일생은 무의식을 실현해 가는 과정이다. 우리에게 보이는 것은 말라버릴 꽃뿐이다. 그러나 숨어있는 뿌리는 마르지 않고 언제나 살아있다.)
(1)프로이트와의 관계
융은 정신과 의사로서 국제적인 명성을 얻게 된 이러한 연구들을 통해 프로이트의 연구를 이해하게 되었다. 그의 연구는 프로이트의 많은 생각을 확증해주었고 1907~12년 두 사람은 공동작업을 하기도 했다. 융은 정신분석 운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고, 사람들은 그가 정신분석을 창시한 프로이트의 후계자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이러한 기대는 그들의 관계가 틀어짐에 따라 무산되었다. 성격과 견해 차이 때문에 그들의 공동연구는 5년 만에 끝났다. 이 시기에 융은, 노이로제가 성적 근거를 가지고 있다는 프로이트와 견해를 달리했다. 이러한 갈등은 1912년 융이 프로이트의 의견과 크게 다른 내용의 〈무의식의 심리학 Wandlungen und Symbole der Libido〉을 출판함으로써 심각해졌다. 융은 1911년 국제정신분석학회 회장에 선출되었으나, 1914년 이 학회에서 탈퇴했다.
융의 첫번째 업적은 태도의 유형에 따라 사람들을 외향성과 내향성의 두 부류로 나눈 데 있다. 나중에 그는 정신의 기능을 사고·감정·감각·직관의 4가지로 구분하고 사람마다 이중 한두 가지가 우세하다고 했다. 이 연구 결과는 〈심리적 유형 Psychologische Typen〉(1921)에 잘 설명되어 있다. 〈무의식의 심리학〉과 마찬가지로 이 책에도 융의 폭넓은 학식이 잘 나타나 있다. 소년시절 융은 비정상적일 정도로 강렬한 꿈을 꾸고 환상도 많이 경험했다. 프로이트와 결별한 이후 그는 신중하게 자신의 이런 면이 다시 작용하도록 했고, 자신이 타고난 비이성적인 측면을 자유롭게 표현했다. 동시에 자신의 기묘한 경험을 자세히 기록하면서 이를 과학적으로 연구했다. 후에 그는 이러한 경험이 정신영역에서 나온다는 이론을 발전시켰고 그 영역을 모든 사람이 공동으로 갖고 있는 집단무의식이라 불렀다.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켰던 이 개념은 원형이론과 결합되었는데 융은 이 이론이 종교심리학을 연구하는 데 근본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종교철학). 융의 용어로 원형이란 보편적인 형태를 갖는 본능적 유형으로, 행동과 심상에서 표현된다. 엠파스 백과사전(M.S.M. Fordham F. Fordham 글)
(2)원형과 무의식
: 정신은 본질적으로 맹목적 충동과 의지, 혹은 선택의 자유간의 갈등이다.
1)정신적 본질에 관한 이론적 고찰
①충동과 의지
프로이트에 의해 의식화된 내용들은 그것이 지닌 의식 가능성과 본래의 의식성 덕분에 가장 수월하게 재생될 수 있는 것들이다. 이것들은 무의식적 정신에 대해서 의식의 저편에 어떤 정신적인 것이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해줄 뿐이다.
관찰과 경험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심리적 과정들이 모두 어떤 식으로든 기질적 토대와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은, 심리적 과정들이 유기체의 총체적 삶에 편입되어 있고, 그렇기 때문에 유기체의 역동성, 즉 충동의 한 부분임을, 또는 특정 관점에서 보았을 때 충동 활동의 결과임을 증명해준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정신이 예외없이 충동영역에서, 그리고 충동영역의 기질적 토대에서 파생된 것이라고 할 수는 없다. 바로 그런 까닭에 심혼 그 자체는 생리적 화학현상으로 설명할 수 없다. 왜냐하면 심혼은 무생물의 본성을 지배하는 엔트로피 법칙과는 달리, ‘생명’과 더불어, 자연법칙의, 즉 통계적 질서를 ‘더 높은’, ‘비자연적’ 상태로 변환시킬 수 있는 유일한 자연 요인이기 때문이다. 생명은, 알려져 있는 물리적 자연법칙으로는 도출할 수 없는 고유의 법칙성을 갖는다.
여기에서 다음과 같은 의문이 제기된다. 즉, 우리는 언제 ‘정신적’이라는 말을 쓸 수 있는가? ‘생리학적인 것’에 대립되는 ‘정신적인 것’을 어떻게 정의 내려야 하는가?
정신적인 것이란 기능의 유일한 결정자로서, 기능을 하나의 기제로 경직시키는 본능의 현실과 그 강박성으로부터의 기능의 해방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정신적 조건이나 성질은, 기능이 외적 내적 제약에서 벗어나 더 폭
cf. 브로이어 : 두 종류의 에너지 집중 상태 존재.
① 에너지가 긴장되어 구속된 상태
② 에너지가 자유롭게 움직이며 어디론가 발산되려고 하는 상태
⑤무의식에 대한 평가
1) 신경증(불안 히스테리, 전환 히스테리, 강박 신경증) : 현실적 대상의 포기
대상 리비도 집중은 억압에도 불구하고 무의식 조직 내에서도 계속 지속된다.
2) 정신분열증 : 대상 리비도 집중의 포기와 대상이 부재하는 원초적 나르시시즘의 상태
심기증적 발화(신체 기관-발화). 정신분열증에서는 단어들이 1차 정신 과정을 겪는다. 정신분열증 환자는 단어들의 유사성을 통해 대체물을 형성하기 때문에 단어와 사물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신경증 환자와 차이가 있다. 즉, 대상 리비도 집중은 포기된 상태지만 대상의 언어적 표상의 리비도 집중은 그대로 유지되는 것이다.
의식의 표상은 사물의 표상과 그 사물에 속하는 언어 표상을 다 포괄하고 있는 반면, 무의식의 표상은 사물 표상 하나만을 포함하고 있다. 무의식 조직에는 최초의 진정한 대상 리비도 집중인 대상에 대한 사물 리비도 집중이 포함되지만 전의식 조직은 사물 표상이 그에 상응하는 언어 표상과 결합하면서 과잉 리비도 집중이 이루어져 생겨나는 체제이다. 그러므로 언어로 표현되지 않거나 과잉 리비도 집중 현상이 일어나지 않은 어떤 정신적인 행위로 표현되지 않은 표상은 무의식 조직 속에서 억압된 상태로 계속 머물러 있다. 그러나 단어 표상들과 연결이 된다고 해서 그것이 바로 의식화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며, 단지 그렇게 될 가능성이 마련되는 것이다. 프로이트,『정신분석학의 근본 개념』, 열린책들, 2004
본능 → 무의식 조직 → (전)의식 조직
무의식적 리비도 집중 ← 전의식 조직 ← 의식 조직 ← 외부의 자극
3.융(Jung, Carl Gustav)
(나의 일생은 무의식을 실현해 가는 과정이다. 우리에게 보이는 것은 말라버릴 꽃뿐이다. 그러나 숨어있는 뿌리는 마르지 않고 언제나 살아있다.)
(1)프로이트와의 관계
융은 정신과 의사로서 국제적인 명성을 얻게 된 이러한 연구들을 통해 프로이트의 연구를 이해하게 되었다. 그의 연구는 프로이트의 많은 생각을 확증해주었고 1907~12년 두 사람은 공동작업을 하기도 했다. 융은 정신분석 운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고, 사람들은 그가 정신분석을 창시한 프로이트의 후계자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이러한 기대는 그들의 관계가 틀어짐에 따라 무산되었다. 성격과 견해 차이 때문에 그들의 공동연구는 5년 만에 끝났다. 이 시기에 융은, 노이로제가 성적 근거를 가지고 있다는 프로이트와 견해를 달리했다. 이러한 갈등은 1912년 융이 프로이트의 의견과 크게 다른 내용의 〈무의식의 심리학 Wandlungen und Symbole der Libido〉을 출판함으로써 심각해졌다. 융은 1911년 국제정신분석학회 회장에 선출되었으나, 1914년 이 학회에서 탈퇴했다.
융의 첫번째 업적은 태도의 유형에 따라 사람들을 외향성과 내향성의 두 부류로 나눈 데 있다. 나중에 그는 정신의 기능을 사고·감정·감각·직관의 4가지로 구분하고 사람마다 이중 한두 가지가 우세하다고 했다. 이 연구 결과는 〈심리적 유형 Psychologische Typen〉(1921)에 잘 설명되어 있다. 〈무의식의 심리학〉과 마찬가지로 이 책에도 융의 폭넓은 학식이 잘 나타나 있다. 소년시절 융은 비정상적일 정도로 강렬한 꿈을 꾸고 환상도 많이 경험했다. 프로이트와 결별한 이후 그는 신중하게 자신의 이런 면이 다시 작용하도록 했고, 자신이 타고난 비이성적인 측면을 자유롭게 표현했다. 동시에 자신의 기묘한 경험을 자세히 기록하면서 이를 과학적으로 연구했다. 후에 그는 이러한 경험이 정신영역에서 나온다는 이론을 발전시켰고 그 영역을 모든 사람이 공동으로 갖고 있는 집단무의식이라 불렀다.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켰던 이 개념은 원형이론과 결합되었는데 융은 이 이론이 종교심리학을 연구하는 데 근본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종교철학). 융의 용어로 원형이란 보편적인 형태를 갖는 본능적 유형으로, 행동과 심상에서 표현된다. 엠파스 백과사전(M.S.M. Fordham F. Fordham 글)
(2)원형과 무의식
: 정신은 본질적으로 맹목적 충동과 의지, 혹은 선택의 자유간의 갈등이다.
1)정신적 본질에 관한 이론적 고찰
①충동과 의지
프로이트에 의해 의식화된 내용들은 그것이 지닌 의식 가능성과 본래의 의식성 덕분에 가장 수월하게 재생될 수 있는 것들이다. 이것들은 무의식적 정신에 대해서 의식의 저편에 어떤 정신적인 것이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해줄 뿐이다.
관찰과 경험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심리적 과정들이 모두 어떤 식으로든 기질적 토대와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은, 심리적 과정들이 유기체의 총체적 삶에 편입되어 있고, 그렇기 때문에 유기체의 역동성, 즉 충동의 한 부분임을, 또는 특정 관점에서 보았을 때 충동 활동의 결과임을 증명해준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정신이 예외없이 충동영역에서, 그리고 충동영역의 기질적 토대에서 파생된 것이라고 할 수는 없다. 바로 그런 까닭에 심혼 그 자체는 생리적 화학현상으로 설명할 수 없다. 왜냐하면 심혼은 무생물의 본성을 지배하는 엔트로피 법칙과는 달리, ‘생명’과 더불어, 자연법칙의, 즉 통계적 질서를 ‘더 높은’, ‘비자연적’ 상태로 변환시킬 수 있는 유일한 자연 요인이기 때문이다. 생명은, 알려져 있는 물리적 자연법칙으로는 도출할 수 없는 고유의 법칙성을 갖는다.
여기에서 다음과 같은 의문이 제기된다. 즉, 우리는 언제 ‘정신적’이라는 말을 쓸 수 있는가? ‘생리학적인 것’에 대립되는 ‘정신적인 것’을 어떻게 정의 내려야 하는가?
정신적인 것이란 기능의 유일한 결정자로서, 기능을 하나의 기제로 경직시키는 본능의 현실과 그 강박성으로부터의 기능의 해방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정신적 조건이나 성질은, 기능이 외적 내적 제약에서 벗어나 더 폭
추천자료
매스커뮤니케이션, 매스미디어의 정치경제학적 접근
모바일에 대한 이해와 실생활에서의 쓰임 및 모바일의 문제점 분석, 모바일 마케팅
[모바일 IPv6의 보안][모바일 IPv6][IPv6]IPv6의 개념, 모바일 IPv6의 필요성, 모바일 IPv6의...
커뮤니케이션트레이닝, 설득커뮤니케이션, 사이버커뮤니케이션, 매스커뮤니케이션과 여론, 국...
미디어와 정치 - 정치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모바일마케팅-모바일마케팅 실현을 위한 인프라 (위치정보서비스,모바일결제)
모바일인터넷,모바일인터넷에대하여,모바일 인터넷의 활성화,모바일인터넷의 현 상황과 미래,...
[커뮤니케이션 구조] 커뮤니케이션의 과정과 유형 및 미디어
모바일컴퓨팅,모바일컴퓨팅특징,모바일컴퓨팅개념,와이브로개념,와이브로특징,무선인터넷세상
모바일 마케팅 - 코카콜라 (Coca-Cola) (모바일, 기업선정배경, 모바일 마케팅 성공 사례, SW...
<홍보수단>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념 정의, 모바일 시장 규모 개관, 기존 모바일 마케팅 적...
[국제경영학] 삼성모바일의 중국 진출전략 (모바일 및 스마트폰 산업의 개요, 삼성모바일 경...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과인간] 인터넷, 소셜미디어, 스마트폰 등 인간커뮤니케이션 수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