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교육과정 이론의 동향 및 역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2장 교육과정 연구의 동향

1. 교육과정 개발의 패러다임

가. bobbit : 교육과정학의 탄생

나. Tyler: 교육과정 개발 절차의 강조

다. Bruner : 학문 중심 교육과정의 등장

라. Schwab : 숙의적 접근의 강조

본문내용

학습자의 사고 형태에 맞도록 적절히 조성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3) 학문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
① 장점
1) 지식의 구조를 이해하면 지식을 기억, 이해, 적용하기 쉽다.
2) 기본 개념의 학습으로 새로운 지식을 생산할 수 있다.
3) 학문의 탐구방법 체득으로 높은 전이력을 유지할 수 있다.
4) 내적 동기유발의 방법으로 학습효과 상승이 가능하다.
5) 고등, 초등 지식간의 격차를 줄일 수 있다.
② 단점
1) 교육과정 개발이 특정 교과에 치중됨으로써 교과 간에 분절 현상이 일어나고, 아울러 전체적으로 지식을 통합하기가 어려운 것이 문제점이 되고 있다. 교육과정 개발에서 과학과 수학교과에 우선순위를 둠으로써 교육과정 전반의 균형을 유지하기가 어려웠다.
2) 학문중심 교육과정은 학습자의 정서적 성장을 도와주지 못하는 난점을 안고 있다. 학문중심 교육과정이 지나치게 학문적이고 지적인 교육에 치중하다 보니 그 밖의 덕성교육, 생활교육 등에 소홀하게 되었다.
3) 학습능력이 상위권에 있는 학습자에게 유리한 소수 정예주의 교육과정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다라서 보통 이하 수준의 학습자에게는 적절하지 않아 비인간화, 비민주화 등의 비난을 면할 수가 없다.
4) 학문의 구조라는 순수 지식만을 협소하게 강조함으로써 학교 밖의 실생활과 유리되어 실용성이 적다는 것이 또 하나의 문제가 되고 있다. 학문중심 교육과정은 교육이 마땅히 관심을 가져야 할 사회적 문제를 무시하고 추상적 지식에 치중하다 보니 사회인으로서의 훌륭한 시민교육에는 부적합한 교육과정이라는 판정을 받게 되었다.
5) 아동과 성인 학자 간의 인지의 구조적 차이를 인식하지 못했다.
6) 가르치는 교사의 역량에 의해 교수의 효과는 제한받을 수밖에 없다.
7) 교육의 가치를 학문(교과)의 가치로 환원시켜 교육을 학문을 위한 수단으로 간주하고 있다.
8) 교육내용을 내면화의 대상으로 보고 있다.
라. Schwab : 숙의적 접근의 강조
(1) 교육과정학의 위기
1960년대를 전후하여 생활중심 교육을 강조한 교육과정에 대한 비난이 거세지면서 교육과정 개발이 교과전공자들에 의해 주도되었다. 이에 Schwab은 학문이 위기를 맞을 때 나타나는 여섯 가지를 지적하면서 이러한 징후가 교육과정학에 나타나고 있다고 진단하였다.
(2) 기본적 견해 및 특성
▶ 실천적 운용
① 교육과정에 추상적인 이론을 무분별하게 이용하는 것은 실용성이 없으며 구체적인 교육현장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
② 숙고(deliberation)의 과정을 통해 문제를 진단하고 실천적 대안을 찾아야 한다.
③ 교육과정 탐구나 개발은 교육과정에 의해 영향을 받은 사람들이 주체가 되어 이루어져야 한다.
④ 실제적이고 절충적인 방향으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⑤ 학교 내에 하나의 팀을 조직하고 외부로부터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 종합적 접근
교육과정 계획은 이론과 참여자들 모두가 종합적이어야 한다. 예를 들면 교육과정 계획에는 학습자, 교수자, 교과전문가, 환경전문가, 교육과정 전문가 등이 함께 참여해야 한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06.10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89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