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화에 대한 구조분석과 문체 분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화에 대한 구조분석과 문체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동화에 대한 구조분석>>
<<동화에 대한 문체 분석>>
<<결론>>

본문내용

중 가장 중요시 하는 것은 8번째의 가해와, 19번째 기능인 불행 또는 결핍의 청산해소 그리고 31번째 기능인 결혼과 즉위이다.
왜냐하면 동화의 줄거리가 비로소 가해 혹은 결핍상황으로부터 전개되기 때문이다. 즉, 이러한 기능이 있어야만 하나의 이야기가 시작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전개 부분에서 시작되는 줄거리는 결핍의 청산해소를 걸쳐 마침내 마지막 기능인 결혼과 즉위로 끝을 맺는다. 우리가 수없이 봐온 동화들의 끝부분을 생각해보면 주인공들은 사랑하는 사람들끼리의 결혼이나 아니면 높은 사람과의 결혼을 통한 신분상승 등으로 해피엔딩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결혼이나 즉위 등을 통한 해피엔딩이 있어야만 동화가 끝날 수 있기에 31번째 기능 또한 중요한 것이다. 이렇게 언급한 세 가지 기능들이 핵심이며, 대부분의 동화들은 필연적으로 이 세 가지 기능들에 의해 진행되는 것이다.
물론 프로프는 등장인물들의 31가지 기능들이 전개되기 앞서, ‘출발상황’에 대한 묘사가 일반적으로 동화 줄거리의 시작에 언급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출발상황은 어떤 기능을 묘사하는 것은 아니지만 동화의 형태적 구성요소로서 매우 중요하다. 여기서 가족구성원들이 열거되거나 미래의 주인공에 대한 소개 및 주인공의 처지가 묘사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31가지 기능들 이외에 기능과 기능을 연결시켜주는 중요한 구성요소를 ‘연결사’라고 불렀다. 이것은 개별적 기능 연결을 위한 보조요소로서 정보전달을 위해 31가지 기능들을 연계시키는 데 필요한 요소인 것이다
그리고 ‘동기부여’가 있는데 이것은 31가지 기능들을 수행하는 등장인물들의 의도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06.12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92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