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지붕 안에 있는 방을 무엇이라 하나요?
12
아궁이
방이나 솥에 불을 때우기 위한 구멍을 무엇이라 하나요?
13
윗목
온돌방에서 아궁이와 멀리 있는 곳을 어디라 하나요?
14
아랫목
온돌방에서 아궁이와 가까운 곳을 어디라 하나요?
15
빗자루
마당이나 방의 쓰레기를 쓸 때 사용하는 도구를 무엇이라 하나요?
16
국자
국을 끓이고 간을 볼 때나 그릇에 담을 때 쓰는 도구를 무엇이라 하나요?
17
대문
집 앞에 있는 큰 문을 무엇이라 하나요?
18
가위
종이나 무언가를 자를 때 쓰는 도구를 무엇이라 합니까?
19
문틀
문 아래에 있는 틀을 무엇이라 하나요?
20
화장실
용변을 볼 때 가는 곳을 무엇이라 하나요?
㉡ 울산방언
번호
표준어
방언형
음운전사
음운체계
1
뚜껑
따까리
[takali]
자음: [t,k,l]
모음: [a,i]
2
창문
봉창문
[pocamon]
자음: [p,,c,m,n]
모음: [o,a]
3
문지방
문지방
[monciba]
자음: [m,n,c,b,]
모음: [o,i,a]
4
부엌
정지
[czi]
자음: [c,,z]
모음: [,i]
5
손잡이
손잽이
[soncbi]
자음: [s,n,c,b]
모음: [o,,i]
6
문
문
[mon]
자음: [m,n]
모음: [o]
7
손님방
손님방
[sonnimba]
자음: [s,n,m,b,]
모음: [o,i,a]
8
마루
물래
[mull]
자음: [m,l]
모음: [,u]
9
마당
마당
[mada]
자음: [m,d,]
모음: [a]
10
쟁기
훌징이
[huci]
자음: [h,,c,]
모음: [u,i]
11
다락방
다락
[talak]
자음: [t,l,k]
모음: [a]
12
아궁이
부직
[pucik]
자음: [p,c,k]
모음: [u,i]
13
윗목
운목
[unmok]
자음: [m,k,n]
모음: [u,o]
14
아랫목
아랫목
[akmuk]
자음: [r,k,m]
모음: [a,u,]
15
빗자루
빼자리
[pazali]
자음: [p,z,l]
모음: [i,a]
16
대문
삽작
[sapcak]
자음: [s,p,k]
모음: [a]
17
나무국자
남바가치
[nambagaci]
자음: [n,m,b,g,c]
모음: [a,i]
18
가위
가시기, 가시개
[kasigi, kasig]
자음: [k,s,g]
모음: [a,i,]
19
문틀
무나꾸
[munaku]
자음: [m,n,k]
모음: [u,a]
20
화장실
정난
[cnan]
자음: [c,,n]
모음: [,a]
3) 그 밖의 울산 방언들
㉠ 질문지
번호
표준어
질문형식
1
시장
반찬이나 여러 물건을 사러갈 때 어디를 가나요?
2
표주박
표주박을 무엇이라 합니까?
3
허리
사람의 몸에서 엉덩이와 가슴 사이에 있는 것을 무엇이라 합니까?
4
댕기머리
여자들이 머리를 양쪽으로 길게 땋은 머리를 무엇이라 하나요?
5
벽걸이
벽에 달력을 걸기 위해 못을 치는 것을 무엇이라 하나요?
6
사구
쌀을 씻는 도구를 무엇이라 하나요?
7
모습
눈에 보이는 겉모습을 무엇이라 하나요?
8
다녀오다
어디를 갔다오는 것을 무엇이라 하나요?
㉡ 울산방언
번호
표준어
방언형
음운전사
음운체계
1
시장
제작거리
[ccakgli]
자음: [c,k,g,l]
모음: [,,i,a]
2
표주박
쫑그래기
[coglgi]
자음: [c,,g,l]
모음: [o,,,i]
3
허리
장디
[cadi]
자음: [c,,d]
모음: [i,a]
4
댕기머리
새끼대이
[skidi]
자음: [s,k,d]
모음: [,i]
5
벽걸이
마꾸리
[makuli]
자음: [m,k,l]
모음: [a,u,i]
6
사구
쌀사구
[sasagu]
자음: [s,,g]
모음: [a,u]
7
모습
꼬라지
[kolazi]
자음: [k,l,z]
모음: [o,i]
12
아궁이
방이나 솥에 불을 때우기 위한 구멍을 무엇이라 하나요?
13
윗목
온돌방에서 아궁이와 멀리 있는 곳을 어디라 하나요?
14
아랫목
온돌방에서 아궁이와 가까운 곳을 어디라 하나요?
15
빗자루
마당이나 방의 쓰레기를 쓸 때 사용하는 도구를 무엇이라 하나요?
16
국자
국을 끓이고 간을 볼 때나 그릇에 담을 때 쓰는 도구를 무엇이라 하나요?
17
대문
집 앞에 있는 큰 문을 무엇이라 하나요?
18
가위
종이나 무언가를 자를 때 쓰는 도구를 무엇이라 합니까?
19
문틀
문 아래에 있는 틀을 무엇이라 하나요?
20
화장실
용변을 볼 때 가는 곳을 무엇이라 하나요?
㉡ 울산방언
번호
표준어
방언형
음운전사
음운체계
1
뚜껑
따까리
[takali]
자음: [t,k,l]
모음: [a,i]
2
창문
봉창문
[pocamon]
자음: [p,,c,m,n]
모음: [o,a]
3
문지방
문지방
[monciba]
자음: [m,n,c,b,]
모음: [o,i,a]
4
부엌
정지
[czi]
자음: [c,,z]
모음: [,i]
5
손잡이
손잽이
[soncbi]
자음: [s,n,c,b]
모음: [o,,i]
6
문
문
[mon]
자음: [m,n]
모음: [o]
7
손님방
손님방
[sonnimba]
자음: [s,n,m,b,]
모음: [o,i,a]
8
마루
물래
[mull]
자음: [m,l]
모음: [,u]
9
마당
마당
[mada]
자음: [m,d,]
모음: [a]
10
쟁기
훌징이
[huci]
자음: [h,,c,]
모음: [u,i]
11
다락방
다락
[talak]
자음: [t,l,k]
모음: [a]
12
아궁이
부직
[pucik]
자음: [p,c,k]
모음: [u,i]
13
윗목
운목
[unmok]
자음: [m,k,n]
모음: [u,o]
14
아랫목
아랫목
[akmuk]
자음: [r,k,m]
모음: [a,u,]
15
빗자루
빼자리
[pazali]
자음: [p,z,l]
모음: [i,a]
16
대문
삽작
[sapcak]
자음: [s,p,k]
모음: [a]
17
나무국자
남바가치
[nambagaci]
자음: [n,m,b,g,c]
모음: [a,i]
18
가위
가시기, 가시개
[kasigi, kasig]
자음: [k,s,g]
모음: [a,i,]
19
문틀
무나꾸
[munaku]
자음: [m,n,k]
모음: [u,a]
20
화장실
정난
[cnan]
자음: [c,,n]
모음: [,a]
3) 그 밖의 울산 방언들
㉠ 질문지
번호
표준어
질문형식
1
시장
반찬이나 여러 물건을 사러갈 때 어디를 가나요?
2
표주박
표주박을 무엇이라 합니까?
3
허리
사람의 몸에서 엉덩이와 가슴 사이에 있는 것을 무엇이라 합니까?
4
댕기머리
여자들이 머리를 양쪽으로 길게 땋은 머리를 무엇이라 하나요?
5
벽걸이
벽에 달력을 걸기 위해 못을 치는 것을 무엇이라 하나요?
6
사구
쌀을 씻는 도구를 무엇이라 하나요?
7
모습
눈에 보이는 겉모습을 무엇이라 하나요?
8
다녀오다
어디를 갔다오는 것을 무엇이라 하나요?
㉡ 울산방언
번호
표준어
방언형
음운전사
음운체계
1
시장
제작거리
[ccakgli]
자음: [c,k,g,l]
모음: [,,i,a]
2
표주박
쫑그래기
[coglgi]
자음: [c,,g,l]
모음: [o,,,i]
3
허리
장디
[cadi]
자음: [c,,d]
모음: [i,a]
4
댕기머리
새끼대이
[skidi]
자음: [s,k,d]
모음: [,i]
5
벽걸이
마꾸리
[makuli]
자음: [m,k,l]
모음: [a,u,i]
6
사구
쌀사구
[sasagu]
자음: [s,,g]
모음: [a,u]
7
모습
꼬라지
[kolazi]
자음: [k,l,z]
모음: [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