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드강 및 주방용기에 쓰이는 재료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 차
1. 주제선정

2. 선정한 이유

3. 클래드의 개요
3.1 클래드 기술
3.2 클래드의 종류
3.3 클래드강의 경제성
3.3.1 강재로서의 경제성
3.3.2 용접 조립품으로서의 경제성
3.4 금후의 전개

4. 클래드의 시장성

5. 주방용기로 쓰이는 다른 재료
5.1 알루미늄
5.2 철
5.3 법랑
5.4 구리
5.5 스테인리스강
5.6 유리
5.7 오지그릇

본문내용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는 용도로서는 이종재 이음(transition joint)이 있다. 예를 들면, 알루미늄, 알루미늄-강 등 용접이 곤란한 소재의 사이에 동-알루미늄 클래드나 알루미늄 클래드강을 삽입함으로써 이종재 동종재 용접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 용접일체 구조물이기 때문에 그 신뢰성이 향상되고, 보수유지가 용이하게 되어 시공비도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접합계면의 뛰어난 강도와 조합의 다양성으로부터 금후도 클래드강의 수요는 계속 증가해 갈 것이다.
내식성 구조용 재료로서의 기능, 경제성, 자원절약의 면에서 클래드강의 평가는 확고하지만, 클래드를 강도부재로서 취급하는 등의 합리적인 사용법의 보급, 제조기술의 진보에 의한 조합의 다양화와 함께 용도, 양의 일층 확대도 기대된다. 한편, 이를 위해서는 클래드강의 단면처리 등의 이용가공기술의 확립이나 접합기구의 해명, 복합재료로서의 조합의 다양화 등을 달성할 필요가 있다.
어쨌든 금속계 복합재료로서 각각의 금속의 특징(기능)을 살리고, 또한 복합화에 의해 전혀 새로운 기능을 부가할 수 있는 각종 금속의 클래드는 지금부터 시장의 요구에 대응하여 창조, 발전해 갈 것으로 보인다.
4. 클래드의 시장성
클래드 중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는 분야는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클래드이다. 주방용기용 클래드 등 일부 부가가치가 낮은 제품은 국내 생산되고 있으나, 자동차 열교환기 및 전자부품용 고부가가치 이종금속 접합판재는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합금 접합판재를 생산하는 나라는 선진 5개국 정도 밖에 없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자동차 열교환기용 알루미늄 클래드를 공급하고 있는 L사의 경우도 거의 완제품의 코일을 수입하여 마무리 압연만 실시하여 제공하고 있으며, 따라서 가격 경쟁력 면에서도 직수입품에 뒤지고 있다. 열교환기 제작업체들은 소요 알루미늄 클래드의 대부분을 직접 수입하여 사용하고 있다.
국내 자동차용 열교환기 제작업체에서 사용하고 있는 알루미늄 클래드는 매월 약 2,000톤으로 추정되며, 수입가격은 kg당 약 4,000원 정도이다. 따라서 현재 연간 약 1,000억원 규모의 국내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자동차의 국내 수요 및 해외 수출량 증가로 그 시장은 계속 성장해 갈 것으로 판단된다.
자동차용 이외의 가전용 및 산업용 열교환기에도 경량화, 고효율화에 맞춰 알루미늄 클래드가 채용되기 시작하여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가정용 및 사무실용 에어컨의 현재 국내 생산규모는 연간 700만대 수준이며, 따라서 연간 약 10,000톤의 알루미늄 클래드가 소요되어 약 400억원 규모의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기타 전자부품산업, 발전설비 및 화학공업 등에의 수요도 매우 커서 알루미늄 클래드 시장은 계속 성장해 나갈 것으로 판단된다.
5. 주방용기로 쓰이는 다른 재료
5.1 알루미늄
열전도가 잘 되고 가벼우며 녹이 슬지 않아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알루미늄은 가공하기가 쉬우므로 디자인이 우수한 제품이 많은 반면, 음식에 물기가 없어지면 냄비 바닥이 타서 상하기 쉬운 것이 흠이다.
5.2 철
철판으로 다른 것으로 프라이팬중국냄비튀김냄비 등이 있고, 주물(鑄物)에는 보통 냄비가 있다. 열전도와 보온이 잘 되고 조리할 때 잘 타지 않는 장점이 있는데 반해 쉽게 녹이 슬고 무거운 것이 흠이다.
5.3 법랑
철판으로 된 본체에 백토(白土)를 입힌 것이다. 아름다운 빛깔에 여러 가지 무늬를 넣을 수 있고, 씻기 쉬우며, 퇴색하지 않고, 보온성도 좋다. 장ㅇ시간 끓여야 할 음식에 알맞다. 단점은 열전도가 느리고 부딪히면 백토가 떨어져서 속의 쇠에 녹이 슬면서 구멍이 나기 쉬운 점이다. 급격한 온도의 변화에도 약하다.
5.4 구리
열전도가 빠른 반면, 값이 비싸고 더러워지기 쉬우므로 자주 닦지 않으면 윤기가 없다.
5.5 스테인리스강
스테인리스강의 가장 큰 장점은 광택이 나며 녹이 슬지 않고 깨끗이 씻기 쉬우며 오래 사용할 수 있다. 그 반면 열전도가 나쁘며 무겁고 가격이 비싸다.
5.6 유리
최근에 보급되기 시작한 것으로 깨끗하고 아름다운 것이 특징이다. 냄비로서는 열전도가 나쁘고 깨지기 쉬우므로 적합하지 않다.
5.7 오지그릇
보통 뚝배기라는 것으로 열전도가 좋고 보온이 무엇보다 잘 되기 때문에 특히 된장찌개와 같은 것을 끓이는 데 적합하다.
※ 생활환경이나 식생활의 변화와 함께 냄비도 인테리어의 일부로서 한몫을 하게 되므로 디자인도 아름답고 무엇보다 사용면에서 보다 효율적인 것으로 점차 향상되고 있다.

키워드

클래드,   클래드강,   주방,   압력,   용기,   냄비,   강재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06.18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03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