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CI 개념의 활용분야 및 사례연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HCI 개념의 활용분야 및 사례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 장 서 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기존 연구에 대한 고찰

제 2 장 본 론
2.1 HCI와 GUI에 대한 고찰
2.1-1 HCI와 GUI에 대한 개요
2.1-2 GUI디자인의 구성요소 및 GUI디자인의 원칙
2.2 모바일 기기의 GUI 디자인 활용 사례
2.2-1 대기 화면
2.2-1 메뉴화면
2.3 웹 커뮤니케이션과 HCI
2.3-1 웹 커뮤니케이션 GUI디자인의 시각요소

제 3 장 결 론

본문내용

보는 시점에서 특
히 상호작용을 위한 속도의 증대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이다.
속도의 증대는 빠른 시간내에 효과적인 정보선택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이
는 상호작용(Interaction)의 개념과 구현에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이는
디지털 정보의 가공에 있어서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중요성을 사용자로 하여
인식되고 주지시켜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이 있어서 사용자가 효
과적이며,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기능성과 심미성을 반영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현 시점에서 제작자 중심의 인터페이스가 개발되고 있으므로 사용
자 정보 분석을 통해 심미적이며 정보를 효과적으로 시각화하여 상호작용
(Interaction)의 기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해야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효과적인 GUI의 시각요소에 대해 살펴보고 사용자 중심
의 커뮤니케이션 원리가 적용될 수 있는 정보구조로 디자인하여 체계적인
연구가 실행 되어야 한다.
1.2 기존 연구에 대한 고찰
(1) Introduction
① Direct Manipulation of graphical objects(그래픽 객체의 직접 조종)
1963년: 현재의 ubiquitous direct manipulation interface(유비쿼터스 직접 조종 인터페이스)가 MIT의 Ivan Sutherland에 의해 Sketchpad를 통해 설명되어졌다.
1966~67년 : William Newman의 Reaction Handler가 그래픽의 직접 조종(Direct Manipulation of graphical)을 제공하였다.
1968년 : AMBIT/G 시스템이 MIT에서 만들어졌다.
1970년대 : 객체(Object)와 텍스트(Text)가 어떻게 선택되어지고 열리며 조종되는지에 대한 인터렉션(Interaction) 기술이 Xerox PARC에 의해서 연구되어졌다.
1975년 : 아이콘(Icon)의 개념이 David Canfield Smith에 의해 만들어졌다.
1977년 : Xerox PARC의 Alan Kay 에 의해서 직접 조정 인터페이스에 대한 개념이 잡히게 되었다.
1982년 : Maryland대학의 Ben Shneiderman에 의해서 직접 조종의 개념이 확실히 되었다.
② The Mouse
라이트펜(light-pen)의 대용으로 1965년 Stanford Research Laboratory에서 개발되어졌다. 현재 이용되는 마우스는 Doug Engelbart에 의해서 1968년에 만들어졌다.
③ Windows
1968년 : Engelbart에 의해 Multiple tiled windows가 설명되어졌다.
1969년 : Alan Kay가 overlapping windows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안했다.
Star와 Microsoft Windows의 초기 버전은 tiled windows였으나 곧 Lisa와 Macintosh와 같은 overlapping windows룰 지원하게 되었다.
④ UIMSs와 Toolkits
1966-67년 : William Newman의 Reaction Handler는 최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 시스템(User Interface Management System: UIMS)이다.
1982년 : David Kasik에 의해 UIMS의 개념이 확립되었다.
초기 인터넷관리는 팝업메뉴와 스크롤바를 같은 도구를 사용하였다. Xerox Star (1981년)에서 거대도구모음을 가져었다. Apple Macintosh (1984년)가 toolkit 이용을 장려하였다.
1988년 : Stanford대학에서 C++ toolkit인 nterViews를 개발하였다.
⑤ Interface Builders
BBN의 Steamer project는 후에 Interface Builders통합되는 object-oriented graphics system을 만들었다(1979-85년). Xerox PARC는 1981년 Trillium을 개발하였다. 또다른 Interface Builders는 Bill Buxton에 의해 개발된 MenuLay system이다(1983년).
1984년 : Jean-Marie Hullot이 SOS Interface를 만들었다. 이것은 현대 Interface Builder의 근간이 되었다.
⑥ 컴포넌트 구조(Component Architectures)
분리된 컴포넌트(Component)를 연결함으로써 인터페이스의 만들어내는 생각은 Andrew project에서 진행되었다. 이것은 Microsoft의 OLE와 Apple의 OpenDoc architectures통해 널리 이용되고 있다.
(2) Discussion
Human-Computer Interaction(HUI)의 혁신은 일반회사와 대학 그리고 정부에 의해 설립된 연구기관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그러므로 앞으로도 미래의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위해 필요한 과학과 기술을 개발 연구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인터페이스는 미래에 가장 경쟁력있는 가치산업일 것이다. 따라서 컴퓨터와 관련된 공부를 하고 있는 이들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서 잘 알아야 할 것이다.
제 2 장 본 론
2.1 HCI와 GUI에 대한 고찰
2.1-1 HCI와 GUI개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는 사용자와 시스템이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접점을 뜻한다. 즉, 사용자와 정보기기 시스템의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의 통로인 것이다. HCI(Human-Computer Interaction)는 컴퓨터 시스템과 컴퓨터의 사용자 사이의 상호작용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개념이 생김으로서 HCI를 디자인의 대상으로서 인간의 지각과정과 인지과정을 핵심으로 두게 되었다. 따라서 HCI디자인은 사용자와 컴퓨터 사이의 상호 정보 교환의 문제점을 인간의 지각적, 인지적 특질로부터 밝혀내고 이를 체계화하여 사용자가 쉽게 대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만들어가는 디자인 접근법이라고 할 수 있다
GUI(Graphic User Interface)는 전자화된 시각매체를 통하여 주어진 임무를 달성하고자 할

키워드

hci,   인간공학,   gui
  • 가격2,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8.06.19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05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