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축제개요
Ⅱ. 축제 설문조사 결과
1. 설문진행 방법 및 조사시기
2. 설문응답자 통계비율
3. 방문동기
4. 방문객만족도의 신뢰도 분석
5. 방문객의 소비지출
Ⅲ. 축제 설문조사 분석
1. 만족도
(1) 거주지역별 만족도
(2) 연령별 만족도
(3) 직업별 만족도
(4) 결혼여부별 만족도
(5) 소비항목별 만족도
2. 소비지출
(1) 거주지역별 소비지출
(2) 연령별 소비지출
(3) 직업별 소비지출
(4) 결혼여부별 소비지출
(5) 성별에 따른 소비지출
3. 재참가여부
4. 만족도와 재참가여부의 상관관계
Ⅳ. 축제평가
1. 항목별평가
(1) 홍보 및 안내
(2) 행사프로그램
(3) 방문객의 편리성
(4) 지역주민의 참여도
2. 총 평
Ⅱ. 축제 설문조사 결과
1. 설문진행 방법 및 조사시기
2. 설문응답자 통계비율
3. 방문동기
4. 방문객만족도의 신뢰도 분석
5. 방문객의 소비지출
Ⅲ. 축제 설문조사 분석
1. 만족도
(1) 거주지역별 만족도
(2) 연령별 만족도
(3) 직업별 만족도
(4) 결혼여부별 만족도
(5) 소비항목별 만족도
2. 소비지출
(1) 거주지역별 소비지출
(2) 연령별 소비지출
(3) 직업별 소비지출
(4) 결혼여부별 소비지출
(5) 성별에 따른 소비지출
3. 재참가여부
4. 만족도와 재참가여부의 상관관계
Ⅳ. 축제평가
1. 항목별평가
(1) 홍보 및 안내
(2) 행사프로그램
(3) 방문객의 편리성
(4) 지역주민의 참여도
2. 총 평
본문내용
인근(정읍, 광주 등), 전북권(전주,군산, 김제), 다른 지역(서울, 경기 등), 고창지역주민으로 나누고, 소비활동을 조사한 결과, 4개 부분에서 전북권과 다른 도의 참가객들의 소비활동이 높게 나옴을 알 수 있었다. 연령별에 따른 소비항목에서 p<0.05로 집단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교통비, 숙박비, 체험비, 식음료, 상품구입비로 전북권과 다른 지역의 참가객이 많은 소비를 했다.
(2) 연령별 소비지출
연령별로 살펴본 소비특성 비용을 살펴보니, 10대가 3만원 미만으로 가장 낮았고, 이는 교통비와 식음료 부분에서 쓰여졌음을 알 수 있었고, 20대와 30대는 경제력을 가지고 있는 만큼, 소비를 가장 많이 하고 있었으며, 역시 교통비와 식음료 부분의 소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통비와 식음료 소비에 비해 참여비와 특산물& 기념품 구입비는 현저히 낮았는데, 50대에서는 이와는 반대로 기념품 구입비가 교통비보다 더 많은 빈도를 보였고, 참여비용은 전혀 쓰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50대는 축제의 능동적 참여자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축제의 매력도에 관해서는 10대와 40대는 주변연계관광을 가장 매력있게 생각하였으며, 20대와 30대는 지역의 특징을 가장 큰 매력으로 보았다.
또한 분산분석을 통해, 소비활동 4개 항목에 대해 집단의 차이가 비슷함을 알 수 있었다.
(3) 직업별 소비지출
직업별 소비활동 특성으로 소비비용과 다른 축제의 방문경험, 매력도에서 관리사무직이 가장 많은 활동 특성을 보였고, 공무원의 소비지출이 가장 낮았으며, 다른 축제 참가경험과 축제의 매력성을 느끼는 집단은 관리와 사무직이 가장 높았다. 즉 이것은, 만족도는 이전의 기대와 이후의 경험이 주관적인 판단의 결과로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4) 결혼여부별 소비지출
기혼과 미혼의 소비활동 특성을 교차분석해 본 결과, 교통비와 식음료의 미혼집단이 가장 적은 단위의 액수를 소비하고, 다른 축제의 경험과 느끼는 매력도에서 두 집단이 서로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주변연계관광에 만족한다는 답변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두 집단이 같은 양상을 보였다.
(5) 성별에 따른 소비지출
성별에 따른 소비지출은 교차분석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예상대로 남성이 여성보다 소비를 더 했으며, 그 비용은 3만원~5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고 10만원 이상도 있었다. 하지만 여성은 남성과는 달리 상대적으로 소비한 비용이 적었으며 그 비용도 3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고, 10만원 이상은 없었다. 지출이유로는 남성과 여성 모두 교통비가 가장 많았고, 식음료비가 그 뒤를 이었으며 숙박비는 두 집단 모두 같았다. 체험비와 숙박비, 특산물구입비는 교통비에 비해 상대적으로 현저히 낮은 걸로 보아 축제 참가객의 ‘수박 겉 핥기’ 식의 축제 참여와 프로그램의 다양성과 재미의 부족성, 숙박을 하지 않음으로써, 지역의 부가소득이 낮다는 문제점을 보였다.
3. 재참가여부
참가 여부와 추천의사 따른 빈도분석을 해본 것에 따르면, ‘그렇다’ 에 재참가 여부는 49%, 추천의사는 60% ‘그저 그렇다’가 각각41%, 25% 정도로 다시 참가할 의사와 추천도가 높게 나와, 축제의 지속성에 관한 안정성을 나타냈다. 하지만, 재참가 여부에서 ‘매우 그렇다’는 ‘아니다‘ 보다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나, 향후 축제의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좀 더 노력할 필요가 있다.
〔표 20〕재참가여부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누적퍼센트
유효
전혀아니다
2
1.5
1.6
1.6
아니다
7
5.1
5.6
7.1
그저그렇다
51
37.5
40.5
47.6
그렇다
62
45.6
49.2
96.8
매우그렇다
4
2.9
3.2
100.0
합계
126
92.6
100.0
결측
0
8
5.9
시스템 결측값
2
1.5
합계
10
7.4
합계
136
100.0
4. 만족도와 재참가여부의 상관관계
축제의 만족도와 재참가여부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접근하기 편리함과 축제의 안내시설, 요원들의 서비스, 행사내용의 다양성, 체험프로그램의 만족, 상품의 다양함, 근처의 유명한 관광지의 방문계획과의 관련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냈다.
사전홍보와 행사내용의 재미성, 주차의 편리함 따른 재참가여부는 각각 0.380(P<0.01), 0.217(P<0.05), 0.327(0.01)으로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낮은 관련성를 나타냈다.
또한 다른 사람에게 추천할 의사가 있는 것과 만족도의 관련성은 낮은 상관관계를 보이며, 그 중 사전홍보, 행사내용의 재미, 행사를 통한 지역문화의 이해, 연계관광, 주차시설의 편리함이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낮은 관련성을 띄어서, 만족도와 재참가여부와의 상관관계는 대체적으로 낮은 관련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다시 참가할 의사가 있는 사람이 주변사람들에게 추천할 의사는 0.707 (P<0.01)로 유의적인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 것으로 보아, 축제를 다시 참가할 생각이 있으면, 따른 주변사람들에게 추천할 의사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Ⅳ. 축제평가
Ⅳ. 축제평가
1. 항목별 평가
(1) 홍보 및 안내
○ 잘된 점
- 전주시에서 고창까지는 이정표가 있었기 때문에 찾아가는데 있어 문제가 되지 않았지만 문제는 고창에 진입해서 행사장까지였다. 하지만 고창에 진 입해서부터 10m정도마다 설치되어 있는 유도사인덕분에 쉽게 찾아갈 수 있었다.
- 길거리에서 버스에 랩핑되어있는 청보리밭축제 광고가 있었는데 시민들의 축제 참여율을 높일 수 있었던 홍보방법 이었던 것 같다.
- 홈페이지(http://chungbori.gochang.go.kr)를 통해 주변관광지.대중교통시 간표 등의 필요한 컨텐츠를 알기쉽게 소개하고 있다. 특히 ‘커뮤니티’라는 컨텐츠에서 자유게시판을 보면 고창에 오고자하는 또는 다녀간 방문객들 의 질문과 제언의 글들이 올라와있는데 관리자는 글 하나하나에 답변을 하는 성의를 보임으로서 축제에 대한 신뢰도가 더 높아 졌다.
○ 개선방향
- 고창을 방문하는 방문객들은 대부분 외부에서 승용차로 이동함으로써 처 음 마주하는 곳이 주차장이다. 따라서 주차요원들의 서비스를 제일먼저 접하게 되는데 홈페이지 커뮤니티란을 모니터링 해본 결과 주차요원들의 서비스마인드가 많이 결여
(2) 연령별 소비지출
연령별로 살펴본 소비특성 비용을 살펴보니, 10대가 3만원 미만으로 가장 낮았고, 이는 교통비와 식음료 부분에서 쓰여졌음을 알 수 있었고, 20대와 30대는 경제력을 가지고 있는 만큼, 소비를 가장 많이 하고 있었으며, 역시 교통비와 식음료 부분의 소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통비와 식음료 소비에 비해 참여비와 특산물& 기념품 구입비는 현저히 낮았는데, 50대에서는 이와는 반대로 기념품 구입비가 교통비보다 더 많은 빈도를 보였고, 참여비용은 전혀 쓰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50대는 축제의 능동적 참여자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축제의 매력도에 관해서는 10대와 40대는 주변연계관광을 가장 매력있게 생각하였으며, 20대와 30대는 지역의 특징을 가장 큰 매력으로 보았다.
또한 분산분석을 통해, 소비활동 4개 항목에 대해 집단의 차이가 비슷함을 알 수 있었다.
(3) 직업별 소비지출
직업별 소비활동 특성으로 소비비용과 다른 축제의 방문경험, 매력도에서 관리사무직이 가장 많은 활동 특성을 보였고, 공무원의 소비지출이 가장 낮았으며, 다른 축제 참가경험과 축제의 매력성을 느끼는 집단은 관리와 사무직이 가장 높았다. 즉 이것은, 만족도는 이전의 기대와 이후의 경험이 주관적인 판단의 결과로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4) 결혼여부별 소비지출
기혼과 미혼의 소비활동 특성을 교차분석해 본 결과, 교통비와 식음료의 미혼집단이 가장 적은 단위의 액수를 소비하고, 다른 축제의 경험과 느끼는 매력도에서 두 집단이 서로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주변연계관광에 만족한다는 답변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두 집단이 같은 양상을 보였다.
(5) 성별에 따른 소비지출
성별에 따른 소비지출은 교차분석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예상대로 남성이 여성보다 소비를 더 했으며, 그 비용은 3만원~5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고 10만원 이상도 있었다. 하지만 여성은 남성과는 달리 상대적으로 소비한 비용이 적었으며 그 비용도 3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고, 10만원 이상은 없었다. 지출이유로는 남성과 여성 모두 교통비가 가장 많았고, 식음료비가 그 뒤를 이었으며 숙박비는 두 집단 모두 같았다. 체험비와 숙박비, 특산물구입비는 교통비에 비해 상대적으로 현저히 낮은 걸로 보아 축제 참가객의 ‘수박 겉 핥기’ 식의 축제 참여와 프로그램의 다양성과 재미의 부족성, 숙박을 하지 않음으로써, 지역의 부가소득이 낮다는 문제점을 보였다.
3. 재참가여부
참가 여부와 추천의사 따른 빈도분석을 해본 것에 따르면, ‘그렇다’ 에 재참가 여부는 49%, 추천의사는 60% ‘그저 그렇다’가 각각41%, 25% 정도로 다시 참가할 의사와 추천도가 높게 나와, 축제의 지속성에 관한 안정성을 나타냈다. 하지만, 재참가 여부에서 ‘매우 그렇다’는 ‘아니다‘ 보다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나, 향후 축제의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좀 더 노력할 필요가 있다.
〔표 20〕재참가여부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누적퍼센트
유효
전혀아니다
2
1.5
1.6
1.6
아니다
7
5.1
5.6
7.1
그저그렇다
51
37.5
40.5
47.6
그렇다
62
45.6
49.2
96.8
매우그렇다
4
2.9
3.2
100.0
합계
126
92.6
100.0
결측
0
8
5.9
시스템 결측값
2
1.5
합계
10
7.4
합계
136
100.0
4. 만족도와 재참가여부의 상관관계
축제의 만족도와 재참가여부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접근하기 편리함과 축제의 안내시설, 요원들의 서비스, 행사내용의 다양성, 체험프로그램의 만족, 상품의 다양함, 근처의 유명한 관광지의 방문계획과의 관련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냈다.
사전홍보와 행사내용의 재미성, 주차의 편리함 따른 재참가여부는 각각 0.380(P<0.01), 0.217(P<0.05), 0.327(0.01)으로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낮은 관련성를 나타냈다.
또한 다른 사람에게 추천할 의사가 있는 것과 만족도의 관련성은 낮은 상관관계를 보이며, 그 중 사전홍보, 행사내용의 재미, 행사를 통한 지역문화의 이해, 연계관광, 주차시설의 편리함이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낮은 관련성을 띄어서, 만족도와 재참가여부와의 상관관계는 대체적으로 낮은 관련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다시 참가할 의사가 있는 사람이 주변사람들에게 추천할 의사는 0.707 (P<0.01)로 유의적인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 것으로 보아, 축제를 다시 참가할 생각이 있으면, 따른 주변사람들에게 추천할 의사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Ⅳ. 축제평가
Ⅳ. 축제평가
1. 항목별 평가
(1) 홍보 및 안내
○ 잘된 점
- 전주시에서 고창까지는 이정표가 있었기 때문에 찾아가는데 있어 문제가 되지 않았지만 문제는 고창에 진입해서 행사장까지였다. 하지만 고창에 진 입해서부터 10m정도마다 설치되어 있는 유도사인덕분에 쉽게 찾아갈 수 있었다.
- 길거리에서 버스에 랩핑되어있는 청보리밭축제 광고가 있었는데 시민들의 축제 참여율을 높일 수 있었던 홍보방법 이었던 것 같다.
- 홈페이지(http://chungbori.gochang.go.kr)를 통해 주변관광지.대중교통시 간표 등의 필요한 컨텐츠를 알기쉽게 소개하고 있다. 특히 ‘커뮤니티’라는 컨텐츠에서 자유게시판을 보면 고창에 오고자하는 또는 다녀간 방문객들 의 질문과 제언의 글들이 올라와있는데 관리자는 글 하나하나에 답변을 하는 성의를 보임으로서 축제에 대한 신뢰도가 더 높아 졌다.
○ 개선방향
- 고창을 방문하는 방문객들은 대부분 외부에서 승용차로 이동함으로써 처 음 마주하는 곳이 주차장이다. 따라서 주차요원들의 서비스를 제일먼저 접하게 되는데 홈페이지 커뮤니티란을 모니터링 해본 결과 주차요원들의 서비스마인드가 많이 결여
추천자료
2002 안동 국제 탈춤 페스티벌 보고서 -축제,공연- (민속학)
국·내외 문화관광축제 사례분석과 시사점
[관광학]문화상품으로서의 지역축제 활성화 방안 : 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기획서)태백산 눈꽃 축제 기획서
대전 국제 열기구 축제
곡성 멜론 마을 기획(지역 축제 기획)
관광학 개론 관광 자원과 우리나라 관광문화 축제예
진해 군항제 군항문화 벚꽃축제의 경제적 효과, 등장배경, 성공 요인, 전략, 특징, 중요성, ...
국내외 자신이 직접 참가했거나 경험했던 지역의 축제에 대해서
서비스품질과 인터넷관광정보서비스, 축제서비스, 서비스품질과 호텔, 레스토랑서비스, 서비...
관광학원론-한국방문의 해,이벤트 및 지역축제,관광객 특별 유치 프로그램,MICE 산업,국제 관...
[호텔관광학] 춘천국제마임축제
'2004 대구약령시 한방문화축제'방문자 실태조사보고서
이벤트컨벤션원론 - 광안리 어방축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