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바이오사인(Biosign)
Ⅲ.인간 기계 상호작용 시스템에서의 신호 흐름
Ⅳ.소프트 컴퓨팅 기법에 기반한 감정/의도 파악구조
Ⅴ.응용 시스템
Ⅵ.결론
Ⅱ.바이오사인(Biosign)
Ⅲ.인간 기계 상호작용 시스템에서의 신호 흐름
Ⅳ.소프트 컴퓨팅 기법에 기반한 감정/의도 파악구조
Ⅴ.응용 시스템
Ⅵ.결론
본문내용
게 된다. 이때 로봇은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정보도 같이 획득하여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추론하는데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로봇은 사용자의 현재 기분에 맞는 행동을 결정하여 행동을 한 후에 사용자의 만족도를 관찰하여 그 만족여부에 따라 로봇이 가지고 있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갱신하게 된다.
Ⅵ.결론
사람들 사이에서 상호작용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바이오사인 및 그 특징을 언급하였고, 불명확하고 애매한 바이오 사인으로부터 감정, 의도, 목적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휘한 소프트 컴퓨팅 기법에 관한 구조를 제안하였다. 이 구조에 기반하여 몇 가지 사례를 언급하였고, 이는 인간친화적인 인터페이스 개발에 필수적인 요소이며 앞으로 개발될 감성로봇이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기능이 될 것이다.
Ⅵ.결론
사람들 사이에서 상호작용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바이오사인 및 그 특징을 언급하였고, 불명확하고 애매한 바이오 사인으로부터 감정, 의도, 목적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휘한 소프트 컴퓨팅 기법에 관한 구조를 제안하였다. 이 구조에 기반하여 몇 가지 사례를 언급하였고, 이는 인간친화적인 인터페이스 개발에 필수적인 요소이며 앞으로 개발될 감성로봇이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기능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