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공동체운동의 개념과 이론 논의
1) 공동체 논의와 개념
2) 공동체운동에 대한 기존 논의 검토
3. 공동체운동의 규범적 개념 재구성
4. 아파트 주거의 발달과정과 문제점
5. 아파트 주거환경의 구성과 만족도
6. 아파트 주민운동의 실태와 과제
7. 결 론
<참고문헌>
2. 공동체운동의 개념과 이론 논의
1) 공동체 논의와 개념
2) 공동체운동에 대한 기존 논의 검토
3. 공동체운동의 규범적 개념 재구성
4. 아파트 주거의 발달과정과 문제점
5. 아파트 주거환경의 구성과 만족도
6. 아파트 주민운동의 실태와 과제
7.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도덕성) 상실 등을 극복하고자 하는 시대인들의 대안적 희망을 의미한다고 하겠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공동체 개념은 그 시대의 주류를 이루었던 보편적 이성과 개인적 권리에 기초한 자유주의 또는 신자유주의의 문제점들을 비판하고 정의와 참여를 통해 현실-이상, 개인-전체를 매개함으로써 시대인들의 희망, 즉 공동체의 복원을 실현시킬 수 있는 이념적 정초로 제시되고 있다.
오늘날 도시 사회는 이러한 공동체 개념의 적용과 이의 실현을 절대적으로 필요로 한다. 현대 도시는 지난 2백∼3백 년의 산업화(또는 근대화) 과정이 가장 치열하게 이루어졌던 곳이고 이로 인해 이의 역기능들이 심각한 문제들을 유발하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특히 엄청나게 집중·집적한 도시 인구의 주거를 마련하기 위해 대량으로 공급된 아파트 주거는 도시 소시민들의 주거 공간을 제공하는 데 기여했다고 할지라도, 이러한 주거 유형은 개인주의적 생활 양식과 삭막한 사회적 및 자연적 생활 환경을 초래했다. 이러한 아파트 주거가 그대로 방치될 경우, 주거가 아니라 재산 가치로서 아파트 인식, 폐쇄된 생활 공간과 고립된 주거 생활, 그리고 정체성이나 장소적 소속감의 결여는 더욱 심화될 것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 이제 아파트는 단순한 주거 공간이 아니라 삶의 질과 지역 공동체의 운명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또한 고향 없이 떠도는 새로운 유목민으로서 도시인들에게 전통적 의미의 공동체가 어떤 의미를 가질 것인가 하는 문제는 앞으로도 계속 논의와 실험의 대상이 되겠지만, 현 단계에서 역사성과 사회성에 기초하여 새롭게 재구성된 공동체 개념은 어떤 대안으로서 의미를 충분히 가지고 있다고 하겠다. 이러한 점에서 공동체 복원을 위한 아파트 주민 운동은 시대적 필요(또는 당위)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크게 확산되고 있는 아파트 주민 운동은 인간 생활에서 가장 기본적인 주거권 확보, 공동 주거 관리의 자치 실현, 인간다운 생활 문화와 환경의 조성, 그리고 궁극적으로 공동체 속에서의 자아 발전 추구 등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아파트 주민 운동이 앞으로 더욱 활성화한다면, 현실의 주거 생활에 기초하여 정의와 평등과 같은 공동체적 이상을 실현할 수 있도록 우리 사회의 발전을 밀어주고, 또한 원자화한 개인들로 하여금 공동체 공간에 참여하고 연대하도록 함으로써 전체 사회를 전환시켜 나갈 수 있도록 끌어 줄 것이다.
<참고문헌>
김경일, 1985, “공동체론의 기본 문제”, 공동체 이론 , 문학과 지성사
김성균, 2002a, “생태공동체의 이론과 실천”,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영욱, 2002, “사회부의 정체성과 철학 -생활세계의 복원을 위한 사회보도-”, 사회부의
정체성 세미나 자료집, 삼성언론재단
김용우, 2002, “공동체운동의 현실과 전망”, 사회비평 봄호, 나남출판
김호기, 1999, 한국의 현대성과 사회변동 , 나남출판
데니스 포플린, 1979, “공동체의 개념”, 신용하 편(1985), 공동체 이론 , 문학과지성사
로버트 A 니스벳, 1967, “공동체 이론의 역사”, 신용하 편(1985), 공동체 이론 , 문학과지성사
김동수(1994), 「민주주의와 공동체주의: 자유주의·공동체주의 논쟁을 넘어서」, 『한국정치학회보』, 28(1): 275-296면, 한국정치학회.
박호강(1983), 「유토피아적 도시 계획에 있어서 공동체의 이상과 실제」, 『한국사회학』18호: 107-123면.
이경희(1993), 「주거 문화와 여성」, 『한국여성학』, 12(2): 191-226면.
정규호(1994), 「환경 문제 심화에 따른 생태적 공동체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주서령(1999), 「우리 주택 뒤집어보기」, 주거학연구회 편, 『주거문화』, 교문사: 57-70면.
최재송(1999), 「도시 지역 주거 공동체의 이론적 성격과 공동체 행정을 위한 제도적 방안」, 『지방행정연구』, 13(1): 103-126면.
홍두승·이동원 편(1993), 『집합 주거와 사회 환경: 소형 아파트 단지 과밀의 사회적 함의』, 서울대학교 출판부.
한국도시연구소(1999), 『'도시에서 지역 환경 공동체 만들기' 조사 연구』.
Bader, V(1995), "Radical Democracy, Community and Justice: or, What Is Wrong with Communitarianism?", Political Theory, 23: pp. 211-246.
Etzioni A.(1996), "The Responsive Community: a Communitarian Perspective",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1: pp. 1-11.
Garber J. A.(1995), Defining Feminist Community: Place, Choice and the Urban Politics of Difference, in J. A. Garber and R. S. Turner(eds), Gender in Urban Research, London: Sage: pp. 24-43.
Nisbet, R.A., "Community" in R.A. Nisbet(1967), The Sociological Tradition, Heinemann Educational Book Ltd, 지승종 옮김, 「공동체 이론의 역사」, 신용하 편, 『공동체 이론』, 문학과지성사: 132-134면.
Pawley, Martin(1971), Architecture versus Housing, Praeger Publisher, 최상민·이영철 옮김(1995), 『근대 주거 이론의 위기』, 성진사.
Silk, J.(1999), "Guest Editorial: The Dynamics of Community, Place and Identity", Environment and Planning A, 31(1): pp. 5-17.
Smith, D.M.(1999), "Geography, Community and Morality", Environment and Planning A, 31(1): pp. 19-35.
오늘날 도시 사회는 이러한 공동체 개념의 적용과 이의 실현을 절대적으로 필요로 한다. 현대 도시는 지난 2백∼3백 년의 산업화(또는 근대화) 과정이 가장 치열하게 이루어졌던 곳이고 이로 인해 이의 역기능들이 심각한 문제들을 유발하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특히 엄청나게 집중·집적한 도시 인구의 주거를 마련하기 위해 대량으로 공급된 아파트 주거는 도시 소시민들의 주거 공간을 제공하는 데 기여했다고 할지라도, 이러한 주거 유형은 개인주의적 생활 양식과 삭막한 사회적 및 자연적 생활 환경을 초래했다. 이러한 아파트 주거가 그대로 방치될 경우, 주거가 아니라 재산 가치로서 아파트 인식, 폐쇄된 생활 공간과 고립된 주거 생활, 그리고 정체성이나 장소적 소속감의 결여는 더욱 심화될 것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 이제 아파트는 단순한 주거 공간이 아니라 삶의 질과 지역 공동체의 운명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또한 고향 없이 떠도는 새로운 유목민으로서 도시인들에게 전통적 의미의 공동체가 어떤 의미를 가질 것인가 하는 문제는 앞으로도 계속 논의와 실험의 대상이 되겠지만, 현 단계에서 역사성과 사회성에 기초하여 새롭게 재구성된 공동체 개념은 어떤 대안으로서 의미를 충분히 가지고 있다고 하겠다. 이러한 점에서 공동체 복원을 위한 아파트 주민 운동은 시대적 필요(또는 당위)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크게 확산되고 있는 아파트 주민 운동은 인간 생활에서 가장 기본적인 주거권 확보, 공동 주거 관리의 자치 실현, 인간다운 생활 문화와 환경의 조성, 그리고 궁극적으로 공동체 속에서의 자아 발전 추구 등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아파트 주민 운동이 앞으로 더욱 활성화한다면, 현실의 주거 생활에 기초하여 정의와 평등과 같은 공동체적 이상을 실현할 수 있도록 우리 사회의 발전을 밀어주고, 또한 원자화한 개인들로 하여금 공동체 공간에 참여하고 연대하도록 함으로써 전체 사회를 전환시켜 나갈 수 있도록 끌어 줄 것이다.
<참고문헌>
김경일, 1985, “공동체론의 기본 문제”, 공동체 이론 , 문학과 지성사
김성균, 2002a, “생태공동체의 이론과 실천”,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영욱, 2002, “사회부의 정체성과 철학 -생활세계의 복원을 위한 사회보도-”, 사회부의
정체성 세미나 자료집, 삼성언론재단
김용우, 2002, “공동체운동의 현실과 전망”, 사회비평 봄호, 나남출판
김호기, 1999, 한국의 현대성과 사회변동 , 나남출판
데니스 포플린, 1979, “공동체의 개념”, 신용하 편(1985), 공동체 이론 , 문학과지성사
로버트 A 니스벳, 1967, “공동체 이론의 역사”, 신용하 편(1985), 공동체 이론 , 문학과지성사
김동수(1994), 「민주주의와 공동체주의: 자유주의·공동체주의 논쟁을 넘어서」, 『한국정치학회보』, 28(1): 275-296면, 한국정치학회.
박호강(1983), 「유토피아적 도시 계획에 있어서 공동체의 이상과 실제」, 『한국사회학』18호: 107-123면.
이경희(1993), 「주거 문화와 여성」, 『한국여성학』, 12(2): 191-226면.
정규호(1994), 「환경 문제 심화에 따른 생태적 공동체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주서령(1999), 「우리 주택 뒤집어보기」, 주거학연구회 편, 『주거문화』, 교문사: 57-70면.
최재송(1999), 「도시 지역 주거 공동체의 이론적 성격과 공동체 행정을 위한 제도적 방안」, 『지방행정연구』, 13(1): 103-126면.
홍두승·이동원 편(1993), 『집합 주거와 사회 환경: 소형 아파트 단지 과밀의 사회적 함의』, 서울대학교 출판부.
한국도시연구소(1999), 『'도시에서 지역 환경 공동체 만들기' 조사 연구』.
Bader, V(1995), "Radical Democracy, Community and Justice: or, What Is Wrong with Communitarianism?", Political Theory, 23: pp. 211-246.
Etzioni A.(1996), "The Responsive Community: a Communitarian Perspective",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1: pp. 1-11.
Garber J. A.(1995), Defining Feminist Community: Place, Choice and the Urban Politics of Difference, in J. A. Garber and R. S. Turner(eds), Gender in Urban Research, London: Sage: pp. 24-43.
Nisbet, R.A., "Community" in R.A. Nisbet(1967), The Sociological Tradition, Heinemann Educational Book Ltd, 지승종 옮김, 「공동체 이론의 역사」, 신용하 편, 『공동체 이론』, 문학과지성사: 132-134면.
Pawley, Martin(1971), Architecture versus Housing, Praeger Publisher, 최상민·이영철 옮김(1995), 『근대 주거 이론의 위기』, 성진사.
Silk, J.(1999), "Guest Editorial: The Dynamics of Community, Place and Identity", Environment and Planning A, 31(1): pp. 5-17.
Smith, D.M.(1999), "Geography, Community and Morality", Environment and Planning A, 31(1): pp. 19-35.
키워드
추천자료
- [소비자 주권][소비자 책임][소비자문제][소비자운동][소비자운동 목표][시대별 소비자운동]...
- [3 1운동][일제시대][독립운동][일제식민시대]3 1운동의 원인, 3 1운동의 형태, 3 1운동의 준...
- [여성평화운동][여성평화운동의 의의][여성평화운동의 비전][여성평화운동의 현실][여성평화...
- [교복공동구매]교복공동구매(교복공동구매운동)의 의미와 필요성, 교복공동구매(교복공동구매...
- [장애인자립생활][장애인자립생활운동]장애인자립생활의 정의와 역사, 장애인자립생활의 필요...
- [지역화폐운동(LETS, 지역통화운동)(A4 2장 요약)]
- [노인권익운동][노인권익운동 외국동향][노인권익운동 과제]노인권익운동의 성격, 노인권익운...
- 서울교육 새물결운동의 목적, 서울교육 새물결운동의 생활지도와 독서인증제, 서울교육 새물...
- 우리는 왜 사회적 관계, 특히 공동체적 삶을 고민해야 하는가, 그 철학적 근거를 서술하고, ...
- 5 18광주민주항쟁(5 18광주민중항쟁, 5 18광주민주화운동) 조직화, 5 18광주민주항쟁(5 18광...
- 2010년 이후 이슈가 되고 있는 여성운동을 제시하고 이 여성운동이 현대 여성복지 향상에 미...
- 5 18광주민중항쟁(5 18광주민주화운동, 5 18광주민주항쟁)의 계기, 5 18광주민중항쟁(5 18광...
- [한국사회문제A형]한국 사회에서 어떤 사회문제 지역이나 공동체가 주체가 되어 해결하고자 ...
- 시민불복종운동과 그 의의 (시민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