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주의를 통해 본 대구지역사회의 변화 및 방향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족주의를 통해 본 대구지역사회의 변화 및 방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문제제기

2. 한국사회의 변화와 가족주의
1) 변화하는 가족의 개념
2) 전통적 가족주의
(1) 직계가족의 원리
(2) 효이데올로기
(3) 가부장제에서의 여성
3) 정서적 가족주의

3. 가족주의를 통해 본 대구지역사회의 변화
1) 가족주의 가치관
2) 가족주의의 사례
(1) 가계 계승의 가족주의
(2) 이웃 및 공동체주의
(3) 가정내 폭력
3) 종합논의

4. 대안적 가족주의를 위한 방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마와 아이들이 함께와서 책도 보고 서로 이야기도 할 수 있는 아이들 전용 책방을 만들어 본다든지, 하여튼 자신의 삶이 식민화되지 않도록 일상의 수준에서 펼쳐지는 주민운동이 보편화되어야 할 것이다. 이런 주민운동들이 좀 더 본격화되면, 현대 진행되고 있는 대구 한살림이나 생활협동조합같은 비교적 규모있는 단체로 진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지방정부는 지역의 여러 종류와 수준의 단체들과의 관계에서도 영향력있고 규모가 큰 단체들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시민들의 적은 규모의 단체들에 대해서까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활로가 마련될 수 있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남일·한인숙, 「지방화와 농촌지역의 변화」, 『국제화 시대의 한국사회와 지방화』,Pp. 355-398, 한국사회학회편, 나남, 1994.
김미숙, 「계급별 가족과 여성」, 『여성과 한국사회』, Pp. 170-201, 여성한국사회연구회 편, 사회문화연구소, 1993.
김선업, 「한국사회 연줄망의 구조적 특성」, 『한국사회학』, 제 26집, 여름호, Pp. 1-33, 한국사회학회, 1992.
김은희, 「일·가족, 그리고 성역할의 의미 - 한국의 산업화와 신중산층의 가족 이념」, 『한국 사회사 연구회 논문집 제 39집』, 문학과 지성사, 1993.
동아일보, 「낙태반대: 천주교·개신교 한 목소리」, 1994.10.26.
문석남외, 『지역 사회와 사회의식 - 광주·전남지역 연구』, 현대의 지성 76, 문학과 지성사, 1994.
문은희, 「우리나라 여성심리 - 서구 심리학을 벗어나려는 한 시도」, 『여성연구』 제 10권, 제2호, 여름, 한국여성개발원, 1992.
박민자, 「가족과 여성의 위치」, 『여성과 한국사회』, Pp. 137-169, 여성한국사회연구회 편,사회문화연구소, 1993.
박숙자·한미라, 「가족과 지역사회」, 『한국가족문화의 오늘과 내일』, Pp. 369-409, 여성한국사회연구회 편, 사회문화연구소, 1995.
박혜인, 「한국 여성의 가족주의 가치 분석 - 대구·경북 지역의 도시·농촌 비교」,『여성문제연구』 17집, Pp. 71-96. 효성 여자대학교 한국 여성문제연구소, 1989.
-----, 「한국 농촌 여성의 가족주의 가치관 분석」, 『여성문제연구』 제 16집, Pp. 79-102, 효성 여자대학교 한국 한국여성문제연구소, 1988.
-----, 「한국 농촌가족에 대한 가족발달적 접근 - 가족생활과 여성의 일을 중심으로 -」, 『여성문제연구』 18집, Pp. 63-88, 효성여자대학교 한국여성문제연구소, 1990.
송 복, 『한국사회의 갈등구조』, 현대문학, 1995.
신용하, 「두레 공동체와 농악의 사회사」, 『공동체 이론』, 문제와 시각 13, 문학과 지성사, 1992.
유가효 외, 「대구지역 생산직 기혼여성의 취업 및 가족생활실태파악과 대책수립에 관한 연구(1)」, 『대한가정학회지』 제 29권 3호, Pp. 227-246, 1991.
--------, 「대구지역 생산직 기혼여성의 취업 및 가족생활실태파악과 대책수립에 관한 연구(2)」, 『대한가정학회지』 제 30권 1호, Pp. 283-309, 1992.
윤학준, 『나의 양반문화 탐방기』 1권, Pp. 100-101, 길안사, 1994.
이규태, 『한국인의 의식구조 2』, 신원문화사, 1983.
이능화, 『조선여속고』, 동문선, 1990.
이재경, 「현대 가족의 反사회성」, 『철학과 현실』, 가을호, 1994.
조혜정, 「유교적 전통부활운동과 사회변동」, 『연세사회학』 제 10,11호 합본호,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1990.
최재석,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 개문사, 1965.
한국여성개발원, 「가족의식에 관한 한국과 일본의 비교 연구」, \'92 연구보고서 200-2, 한국여성개발원, 1992.
한경혜, 「산업화와 결혼 연령 변화에 관한 이론적 고찰 - \"가족전략\"의 관점에서」,『한국사회학』 제 24집, 겨울호, Pp. 103-120, 1990.
한림대 사회조사연구소·춘천문화방송, 『춘천리포트』, 사회과학연구총서 5, 나남, 1991.
허순희, 「교사의 남녀동등적 교수태도 및 내용이 아동의 성역할 태도변화에 미치는 영향」,이화여자대학교 여성학 석사 논문, 1987.
Breines, Wini and Linda Gordon, \"The New Scholarship on Family Violence,\" in Signs: Journal of Women in Culture and Society, Volume 8, Number 3, 1983.
Cho, Joo-hyun, A Social Phenomenological Understanding of Family Violence: The Case of Korea,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Illinois at U-C, 1988.
Cho, Joo-hyun, \"Ressentiment of the Battered Wives: The Case of Korea,\" in Studies in Symbolic Interaction, Volume 12, Pp. 149-181, 1991.
Gelles, Richard, \"Violence in the Family: A Review of Research in the Seventies,\" i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November, 1980.
Yi, Eunhee Kim, From Gentry to the Middle Class: The Transformation of Family, Community, and Gender in Korea, Ph.D. diss. University of Chicago.
Henderson, Gregory, Korea: The Politics of the Vortex,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68.
Vogel, Ezra F, The Four Little Dragons: The Spread of Industrialization in East Asia,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91.

추천자료

  • 가격2,8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8.08.08
  • 저작시기2008.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56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