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序 說
2. Machiavelli의 생애와 思想
3. 현대 정치사상에 미친 영향
4. 結 語
2. Machiavelli의 생애와 思想
3. 현대 정치사상에 미친 영향
4. 結 語
본문내용
운 메디치 정부가 들어섰는데, 메디치 정부를 와해시키기 위한 움직임의 일환으로 이에 대한 음모에 그는 가담하게 되었다. 마키아벨리는 구체적 목표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음모를 꾸민 것이 아니었다. 당시 정권에 불만을 가진 자 중에 아고스티노 카포니와 피에트로 파올로 보스콜리라는 자가 있었는데 그중 하나가 명단이 들어있는 문서를 분실하였고 감찰위원회가 이를 입수함으로부터 일이 불거진 것이다. 추기경 또는 줄리아노를 살해하려는 계획이 있었다는 자백이 나오게 되었는데 가담자들은 反 메디치적인 인물을 명단에 하나하나 적어나갔다. 그중 마키아벨 리가 들어있었으므로 메디치정부는 그를 구속할 수 있었다.음모의 연루자 80명 이상이 교수형에 처해졌다. 이 과정에서 그는 거꾸로 사람을 매달았다가 떨어뜨리는 고문을 받았으며, 구타를 당했고, 1년동안 피렌체 영토를 벗어나지 못하게 되었고, 1000피오리노 금화라는 과중한 벌금형도 함께 과하여졌다. 이 사건은 마키아벨리에게 종전의 도덕이나 감정을 일체 용인하지 않는 냉혹한 현실을 보여주었다. 그에게 현실은 고통 자체였으며 혹독한 것이었다.
5) 在野생활의 시작과 왕성한 집필활동
1513년 초, 메디치家는 율리우스 2세의 사망소식과 함께 교황의 선출을 맞이하고, 마키아벨리는 감옥에서 석방되었다. 석방 이후 그는 사회생활을 통한 생계유지가 필요하였으므로 도시의 새 정부에 자신을 천거하기 위해 로마의 대사로 부임하고 있던 자신의 옛 동료 프란체스코 베토리 (Francesco Vettori)를 위시한 귀족, 지인들에게 교황의 천거나 자신의 재기를 부탁하는 장문의 편지를 시와 글의 형태를 빌어 계속 보냈다. 사실 이러한 활동은 감옥에서도 있었던 일이었다. 그러나 어떤 이유에서인지 이것은 모두 실질적으로 마키아벨리라는 인물이 사회에서 거부당하는 결과를 맞게 되었고, 마키아벨리는 대단한 실망을 안게 되었다. 그에게 세상은 너무나 잔인하고 각박한 곳이었다. 그래서 그의 표현대로 “모든 인간들로부터 멀리 떨어지기 위하여” 작은 농장에 은둔하기 시작하였다.
6) 군주론의 집필
그후 마키아벨리는 자신의 과거를 회상하여 모든 경험과 기억들을 집대성하여 역사의 교훈, 국가 통치술 등을 생각하며 집필을 하였다. 이것은 약 15년간 그가 처음 2서기관에 발탁되어 접하게 된 국가의 안보전략,외교,내정 등이 어우러진 것으로 다사다난했던 피렌체와 이탈리아의 상황이 집약되었다. 이 저서의 이름이 바로 “군주론 The Prince\"으로써 1513년 하반기에 씌어지기 시작하여 그해 겨울 완성되었던 것이다. 군주론의 집필 이유는 은둔생활에서의 회한도 있었겠지만, 메디치家에게 자신이 충성된 신민이고 애국자이며, 나라의 발전을 위해 연구하고 노력할 힘이 있음을 보여주기 위한 수단으로써의 기능도 하였으리라 보여진다. 왜냐하면 당시 신정부가 수립된 이후에도 메디치 정부는 새로운 세력에 대하여 큰 신뢰를 가지지 못하였고, 중견 노장으로서의 마키아벨리는 정치적 범법행위에도 불구하고 실무가로서의 매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3) 군주론으로 대표되는 마키아벨리의 삶과 말년시기
마키아벨리는 그의 저서 ‘군주론’에서 통치체의 개념에 관하여부터 설명하기 시작한다. 모든 통치체는 공화국 또는 공국이라고 하는 내용이 그것인데, 그 공국은 세습된 것이거나 새로운 것이라는. 그리고 군주론 자체에서는 새로운 공화국에 대하여 전체에서의 대비를 시도하는데, 새로운 공화국은 한 개인의 군사력이나 강대한 德이 아니면 획득이 불가능 하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또한 타인의 힘과 행운이 이를 표면적으로 도울 뿐이라는 주장도 함께 자리잡고 있다. 마키아벨리는 군주론을 통하여 신흥 군주에 대한 충고를 꾀하였던 것이다.
5) 在野생활의 시작과 왕성한 집필활동
1513년 초, 메디치家는 율리우스 2세의 사망소식과 함께 교황의 선출을 맞이하고, 마키아벨리는 감옥에서 석방되었다. 석방 이후 그는 사회생활을 통한 생계유지가 필요하였으므로 도시의 새 정부에 자신을 천거하기 위해 로마의 대사로 부임하고 있던 자신의 옛 동료 프란체스코 베토리 (Francesco Vettori)를 위시한 귀족, 지인들에게 교황의 천거나 자신의 재기를 부탁하는 장문의 편지를 시와 글의 형태를 빌어 계속 보냈다. 사실 이러한 활동은 감옥에서도 있었던 일이었다. 그러나 어떤 이유에서인지 이것은 모두 실질적으로 마키아벨리라는 인물이 사회에서 거부당하는 결과를 맞게 되었고, 마키아벨리는 대단한 실망을 안게 되었다. 그에게 세상은 너무나 잔인하고 각박한 곳이었다. 그래서 그의 표현대로 “모든 인간들로부터 멀리 떨어지기 위하여” 작은 농장에 은둔하기 시작하였다.
6) 군주론의 집필
그후 마키아벨리는 자신의 과거를 회상하여 모든 경험과 기억들을 집대성하여 역사의 교훈, 국가 통치술 등을 생각하며 집필을 하였다. 이것은 약 15년간 그가 처음 2서기관에 발탁되어 접하게 된 국가의 안보전략,외교,내정 등이 어우러진 것으로 다사다난했던 피렌체와 이탈리아의 상황이 집약되었다. 이 저서의 이름이 바로 “군주론 The Prince\"으로써 1513년 하반기에 씌어지기 시작하여 그해 겨울 완성되었던 것이다. 군주론의 집필 이유는 은둔생활에서의 회한도 있었겠지만, 메디치家에게 자신이 충성된 신민이고 애국자이며, 나라의 발전을 위해 연구하고 노력할 힘이 있음을 보여주기 위한 수단으로써의 기능도 하였으리라 보여진다. 왜냐하면 당시 신정부가 수립된 이후에도 메디치 정부는 새로운 세력에 대하여 큰 신뢰를 가지지 못하였고, 중견 노장으로서의 마키아벨리는 정치적 범법행위에도 불구하고 실무가로서의 매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3) 군주론으로 대표되는 마키아벨리의 삶과 말년시기
마키아벨리는 그의 저서 ‘군주론’에서 통치체의 개념에 관하여부터 설명하기 시작한다. 모든 통치체는 공화국 또는 공국이라고 하는 내용이 그것인데, 그 공국은 세습된 것이거나 새로운 것이라는. 그리고 군주론 자체에서는 새로운 공화국에 대하여 전체에서의 대비를 시도하는데, 새로운 공화국은 한 개인의 군사력이나 강대한 德이 아니면 획득이 불가능 하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또한 타인의 힘과 행운이 이를 표면적으로 도울 뿐이라는 주장도 함께 자리잡고 있다. 마키아벨리는 군주론을 통하여 신흥 군주에 대한 충고를 꾀하였던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