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D CASE 소아과 케이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PED CASE 소아과 케이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문헌고찰
 Data Collection
1.간호정보 조사지
2.신체검진
3.성장발달 단계별 평균달성 기준과 대상아동과의 비교
4.진단적검사
5.간호중재
6.간호과정
 Check list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슐린 약병은 시각적으로 투명하다. 중간형 인슐린 약병인, 렌테(중간형)와 울트라
렌테(지속형) 인슐린은 시각적으로 혼탁해져 있다. 응집, 동결, 침전과 같은 변화나 투명도, 색깔의 변화는 농도가 낮아지는 표시이다. 인슐린 약병을 점검한 후 그 농도가 불확실하면, 새 병으로 바꾼다. 중간형이나 지속형 인슐린 병을 손바닥에 놓고 부드럽게 굴려, 주사기 안으로 약을 뽑아 들이기 전에 인슐린 용액을 확실하게 부유시킨다. 병을 심하게 흔들지 않는다. 병을 지나치게 흔들면 농도가 낮아진다.
인슐린은 상박, 허벅지 앞면과 측면, 엉덩이, 복부의 피하에 주사한다. 만일 인슐린의 피하주사가 같은 부위에 반복되면, 예상 밖의 인슐린 흡수와 지질영양 이상증이 생길 수 있다. 각 주사부위는 이전의 주사부위에서 1인치 정도 간격으로 교대로 주사한다. 한 부위에 돌아가며 주사하는 것은 새로운 신체부위에도 똑같이 적용된다. 이것은 다른 부위와 관련된 매일 변하는 흡수의 정도를 최소화한다고 생각된다. 교대부위를 잘 계획하고 기록해서 같은 부위에 반복 주사하는 일을 방지한다. 게다가, 차가운 인슐린을 주사하면 지질영양 이상증이 형성된다. 인슐린은 단기간 사용하는 데 얼릴 필요는 없다. 병을 차갑게 유지하고 열과 빛에 분리시켜 놓으면 얼리지 않고도 한 달 동안 그 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2)헤파린 투여
피하 헤파린을 투여하면 심한 정맥 혈전증과 수반되는 폐색전을 예방한다. 헤파린 피하주사를 자주 투여하면 혈종이 형성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복부는 가장 흔히 사용되는 부위이다. 왜냐하면, 중요 근육 덩어리나 복부의 근육운동 부족으로 혈종형성 기회가 감소되기 때문이다.
엄지와 집게 손가락 사이로 조직을 굴리거나 부드럽게 모아서 헤파린이 피하조직으로 확실히 투여되도록 한다. 피부를 꽉 집지 않는다.
헤파린은 항응고제이므로, 주사 후 혈액이 다시 뽑혀 나오도록 하거나 부위를 마사지 하지 않는다.
주사 후 천천히 부드럽게 바늘을 빼서 피하조직으로 새지 않도록 한다.
근육주사
1)근육주사 부위
(1) 삼각근 부위
삼각근은 피하지방 위에 있는 작은 양의 근육 덩어리이다. 이 부위에 주사하는 약물은 빨리 흡수된다. 근육이 작고 방사신경과 팔동맥 가까이 있어서, 삼각근 부위가 자주 사용된다.
(2)대퇴직근 부위와 외측 광근부위
허벅지 주사부위인 외측 광근과 대퇴직근 부위는 약물흡수 속도가 빠르다. 이런 근육에는 큰 혈관이나 신경이 없기 때문에, 대부분의 환자에게 근육주사가 안전하다.
대퇴직근 부위는 유아와 어린아이에게 주사하는 부위지만 성인에게도 주사한다. 대퇴직근 부위는 앞쪽 허벅지의 중앙에서 무릎과 대퇴부 대전자까지의 길이 중 첫 번째 부분이다. 근육을 뼈에서 멀리 들어 바늘을 근육에 직각으로 해서 삽입하면서 약물을 주사한다.
성인에게는, 외측 광근은 무릎 위 한 뼘과, 허벅지 중간의 바깥 부분에 있는 대전자 아래 한 뼘 사이 부위이다. 근육을 뼈에서 멀리 들어올려 바늘을 근육에 정각도로 해서 삽입하여 주사한다.
외측 광근은 유아, 어린아이, 성인에게 근육주사를 투여하는데 사용된다. 유아와 어린아이에게 외측 광근부위는 대전자와 허벅지 중앙의 바깥 부분의 무릎 사이 부위 중 중간에 위치해 있다. 아이에게 외측 광근부위에 주사할 때는 짧은 바늘을 사용한다.
(3)복측 둔근 부위
엉덩이 측면의 복측 둔근 부위는 주요혈관, 신경, 지방과 떨어져 있다. 지금은 근육주사를 투여하는데 가장 안전하고 덜 고통스러운 부위로 고려된다.
복측 둔근부위에 위치를 정하기 위해서는, 반대 손 끝(오른쪽 엉덩이에는 왼손을, 왼쪽 엉덩이에는 오른쪽 손을 사용한다.)을 대전자 위로 두고 엄지와 중지를 각각 전상장골극 방향으로, 장골 능 방향으로 향하게 한다. 삼각부위가 형성되는 중심에 주사를 놓는다.
이때 바늘을 피부에 90도 각도로 만들거나 약간 장골 능 쪽으로 향하게 한다.
(4) 배측 둔근부위
엉덩이의 배측 둔근부위는 근육주사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좌골신경과 상 둔근 동맥에 근접해 있고, 배측둔근의 근육 위에 있는 두꺼운 지방층으로 피하주사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 부위에 근육주사를 매일 투여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점적 (눈, 코등)
-안약
1)안점적 투여의 목적
(1) 눈의 분비물을 제거 및 치료하기 위함이다.
(2) 눈의 이물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3) 안수술을 준비하기 위함이다
(4) 눈의 마치 또는 동공산대를 위함이다.
2)안점적 투여시 체위
간호사는 환측 눈 아래에서 시지와 장지를 대고 피부를 아래로 잡아당겨 하부 결막낭을 노출시킨다. 안약을 채운 점적기로 대상자의 눈보다 1~2cm 위쪽에 위치하도록 잡고서 하부 결망낭 측변 1/3 지점에서 정확한 방울 수만큼 점안한 수 누비관을 30초 정도 눌러준다.
3)안점적시 주의점
(1) 점적기 끝이나 연고의 투브 끝이 눈에 닿지 않도록 한다.
(2) 검사목적으로 약을 넣을 때에는 약을 넣은 후의 변화에 대해서 환자에게 미리 자세한 설명을 해 준다.
(3) 봉산수 스펀지는 한 번만 사용하고 버린다.
(4) 안구위로 약을 떨어뜨리지 않는다.
4)안점적에 필요한 내용을 사정
양눈을 비교하면서 분비물의 위치, 양상, 특성, 지나친 눈물, 충혈, 안검이나 누선의 종창, 동공크기와 반응 등의 외견상 상태를 사정한다. 시력과 안과적 문제에 대한 과거력 광선공포증 등 모든 호소를 사정한다. 시력장애, 소양감, 작열감, 빛에 대한 민감성, 동통부위 기간, 강도와 대상자가 지나치게 눈을 깜박거리는 것, 눈을 찌르는 것, 눈을 부벼 대는 것 등의 행동역시 사정한다.
-코약
1)비점적의 목적
(1)점막부종 감소를 위함이다.
(2)부비동의 감염을 치료하기 위함이다.
2)비점적의 적절한 체위
환자는 등을 대고 누운 자세를 취하게 한다. 그리고 침대 끝으로 머리를 내리게 하거나 어깨 밑에 베개를 대어 주어 환자의 머리가 후하방으로 기울게 한다. 이것은 proetz position이라고 하는데 사골동과 접형골동의 병변을 치료하고 흔히 취하는 자세이다.
proetz position에서 머리를 한 옆으로 돌린 자세를 parkinson position 이라 하는데, 상악동과 전두동의 병면을 치?資
  • 가격1,500
  • 페이지수72페이지
  • 등록일2008.08.27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71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