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상 농형 유도 전동기의 특성 실험(결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제목
2. 목적
3. 관련이론
4. 사용기구 및 재료
5. 주의사항
6. 실험방법
7. 실험 결과
8. 연구 고찰 사항
9. 토의 및 결과

본문내용

.82
3
0.9
0.8
0.8
25
150
1760
0.90
551.6
175
175
386.6
3.200
0.084
4.78
6
1.0
1.0
1.0
40
180
1723
1.00
624.0
220
220
404.0
2.830
0.164
4.67
9
1.1
1.1
1.1
30
230
1681
1.15
748.8
260
260
481.8
2.880
0.240
4.56
12
1.4
1.4
1.4
40
280
1645
1.40
879.0
315
315
564.0
2.790
0.313
3.89
(b)
표 33-2. 최대 부하시의 기동 토오크 측정 결과
E1 [V]
I1 [A]
기동 토오크 [lbf-in]
피상 전력 [VA]
최대 부하로 기동하는 경우
220
4.8
23
3168
8. 연구 고찰 사항
(1) 실험 결과값을 이용하여 농형 유도 전동기의 무부하 특성을 계산 하여라.
(공식 절차를 써라).
(a) 평균 전류 = 0.8 [A]
(b) 피상 전력 = 499.2 [VA]
(c) 유효 전력 = 110 [W]
(d) 무효 전력 = 389.2 [Var]
(e) 역 률
(2) 실험 결과 값을 이용하여 농형 유도 전동기가 3[lbf-in], 6[lbf-in], 9lbf-in], 12bf-in] 토오크 부하의 크기로 운전할 때의 평균 전류, 피상 전력, 유효 전력, 무효 전력, 역율, 마력, 효율을 게산하여 표 33-1에 쓰시오.
(3) 무부하 및 부하 실험 결과와 최대 부하 실험 결과를 이용하여 아래의 비율을 계산하시오.
(a) 최대 부하에 대한 기동 전류 : 4.8
(b) 최대 부하에 대한 기동 토오크 : 23 [1bf-in]
(c) 무부하 전류와 최대 부하 전류의 비 : 1:6
(4) 농형 유도 전동기의 동작 특성과 권선형 유도 전동기의 동작 특성을 비교할 때 크게 다른 점 3가지를 쓰시오.
권선형 유도 전동기
① 농형보다 구조가 복잡하다.
② 기동전류가 작다.
③ 농형보다 크다. 2차 저항기동을 한다.
농형 유도 전동기
① 구조가 간단하다.
② 기동전류가 크다.
③ 기동토오크가 권선형 보다 작다.
(5) 농형 유도 전동기를 산업사회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원인을 설명하시오.
① 구조가 간단하고 잔고장이 적다.
② 운전이 용이하다.
③ 가격이 싸다.
(6) 만일 공급 전압의 주파수가 50[Hz]라고 하면
(a) 전동기의 무부하 회전수는? 1542.66 [rpm]
(b) 여자 전류는 어떻게 변화하겠는가? 감소한다.
(7) 위의 실험 결과로 횡축에 부하 전류의 변화량을 잡고 종축에 피상 전력, 유효전력, 무효 전력, 역율, 효율을 잡아 특성 곡선을 그리십시오.
(a) 피상 전력 곡선과 유효 전력을 비교 검토하시오.
(b) 유효 전력이 최대값일 때의 부하 전류값과 역율이 최대가 되었을 때의 부하 전류값과 비교하여 봅시다.
토의 및 결과
실험을 하면서 차차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실험이 전보다 훨씬 수월해지고 실험하는 속도가 빨라졌음을 느낄 수 있었다. 물론 까다로운 것도 있었지만 같은 조원들 간의 화합과 도움으로서 보다 더 실험을 하는데 도움이 많이 되었던 것 같다.
예전에는 그저 교재에 설명되어 있는 결선 방식을 나타낸 부분을 보고 전동기 결선을 하였지만 우리가 행하는 실험이 복잡해질수록 설명되어 부분이 누락되거나 잘못 표기된 경우가 몇 번 있었기 때문에 이제는 회로가 조금 복잡해지거나 확실하지 않은 부분은 회로도를 보고 결선을 하는 것이 더 편할 만큼 실험에 익숙해지고 회로를 파악하는 능력을 길렀다고 생각한다. 처음 결선할 때는 이론과 실제로 결선하는 것을 따로 생각하여서 접목 시키는 것이 까다로웠지만 지금은 회로도를 보면 이렇게 결선하는구나 하는 생각이 저절로 떠오른다.
특히 이번 실험 경우 전기동력계와 농형 유도 전동기의 결선 중 농형 유도 전동기의 단자를 회로도를 보고 연결했음에도 불구하고 작동되지 않아서 고민하던 중 앞 실험에서의 유도 전동기의 실험 사례를 기억해서 단자 접속을 바꿔줘서 해결하였다.
실험은 역시 경험을 무시할 수 없는 것 같다.
이제까지 실험을 행하면서 여러 종류의 전동기를 만지고 결선해 보았지만 여전히 각 전동기의 특성과 원리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라고 생각한다.
이번 실험에 사용했던 농형 유도 전동기는 우리 실생활에 가장 널리 쓰이는 보편적인 전동기임에도 불구하고 결과 보고서를 쓸 때쯤에야 이러한 전동기의 특성을 알게 되었다.
다음 실험에는 필히 좀 더 이론을 바탕으로 공부를 하고 실험에 임에야 한다고 생각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09.12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91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