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약학]우울증과 불안장애에 관하여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의학약학]우울증과 불안장애에 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우울증의 이론적 배경
제1장 우울증의 개념
제2장 우울증의 원인에 대한 이론들
제3장 우울증의 진단기준

||. 우울증의 현황
제1장 우울증의 증상과 유형
제1절 우울증의 주요 증상
제2절 우울증의 유형
제2장 우울증의 자가 진단

Ⅲ. 우울증의 치료
제1장 우울증의 치료 기법

본문내용

는 경우를 양극성 우울증(bipolar dwpression)이라고 한다. 반면에 과거에 전혀 조증 상태를 경험한 적이 없이 우울 상태가 나타나는 경우를 단극성 우울증(unipolar depression)이라고 한다. 유사한 우울증세가 나타나는 경우에도 과거에 조증 경력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구분되는 단극성 우울증과 양극성 우울증은 그 원인적 요인, 증상 패턴, 예후 등에서 차이가 나타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3. 외인성 우울증과 내인성 우울증
우울증은 증상을 유발한 외부적 촉발사건이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외인성 우울증과 내인성 우울증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외인성 우울증(exogenous depression)은 가족과의 사별, 실연, 실직, 중요한 시험에서의 실패, 가족의 불화나 질병 등과 같이 비교적 분명한 환경적 스트레스가 계기가 되어 우울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로 반응성 우울증(reactive depression)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반면 내인성 우울증(endogenous depression)은 이러한 환경적 사건이 확인되지 않으며, 흔히 유전적 요인 또는 호르몬 분비나 생리적 리듬 등과 같은 내부적인 생리적 요인에 의해서 우울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를 의미한다.
4. 신경증적 우울증과 정신증적 우울증
우울 증상의 심각성에 따라 신경증적 우울증과 정신증적 우울증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신경증적 우울증(neurotic depression)은 현실판단력에 현저한 손상이 없는 상태에서 다만 우울한 기분과 의욕상실을 나타내며, 자신에 대한 부정적 생각에 몰두하지만 이러한 생각이 망상 수준에 도달하지는 않으며, 무기력하고 침울하지만 현실 판단 능력의 장애는 보이지 않는다. 주위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정확히 이해하고 있으며, 대화 내용이 조리에 맞고, 최소한의 일상생활에는 지장이 없다.
반면에 정신증적 우울증(psychotic depression)은 매우 심각한 우울 증상을 나타냄과 동시에 현실판단력이 손상되어 망상 수준의 부정적 생각이나 죄의식을 지니게 된다. 정신증적 우울증에서는 환각과 망상이 나타나며 현실 세계로부터 극단적으로 철수하는 경향을 보인다. 한 예로 이런 환자는 자기는 죽을 수 밖에 없는 죄인이라는 망상을 지니기도 하고, 자기가 만지는 것은 무엇이든지 오염된다고 믿어 환경과의 접촉을 단절하기도 한다. 이러한 우울증을 지니는 사람은 사회적 적응이 불가능하며 입원치료가 필요하다.
5. 그밖의 우울증
이 밖에도 우울증은 주로 행동과 사고가 느려지고 침체되는 지체성 우울증(retarded depression)과, 걱정과 불안을 동반하며 흥분된 모습을 나타내는 초조성 우울증(agitated depression)으로 나누어지기도 한다. 한편 우울증은 다른 정신장애나 신체질환과 관련되어 나타날 수 있는데, 우울증이 주된 증상이며 시간적으로 먼저 나타나는 경우를 일차적 우울증(primary depression)이라 하고, 다른 정신장애나 신체질환에 부수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이차적 우울증(secondary depression)이라고 구분하기도 한다.
여성의 경우 출산 후 4주 이내에 우울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를 산후 우울증(postpartum depression)이라고 한다. 또한 계{절의 변화에 따라 주기적으로 특정한 계절에 우울증이 나타나는 경우를 계절성 우울증(seasonal depression)이라고 한다. 때로는 겉으로는 우울한 기분을 두드러지게 나타내지 않지만 내면적으로 우울한 상태에서 비행이나 신체적 문제로 위장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위장된 우울증(masked depression)이라고 한다
제2장 우울증의 자가 진단
우울증은 가능한 한 빨리 자각하여 치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우울증을 진단하는 일은 쉽지 않다. 우리는 때때로 우울한 기분과 의욕의 저하를 경험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우울 상태가 얼마나 심각한 것인지를 스스로 평가하기 어렵다. 특히 이러한 우울 상태가 무시해도 되는 정상적인 상태인지, 아니면 전문적 치료가 필요한 우울증 상태인지를 판단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우울증을 평가하는 여러 가지 심리검사들이 개발되어 있다. 물론 우울증의 정확한 진단은 전문가에 의해서만 가능하지만, 여기 제시한 간단한 자가진단을 통해 스스로 우울 상태를 진단해 볼 수 있다.
<표1> 우울증의 간이진단검사
아래의 항목을잘 읽고 ‘요즘 며칠 사이 이런 경험을 얼마나 자주 했는지’를 그 빈도에 따라 적절한 숫자에 Ο표 하십시오.
1. 나는 슬프고 기분이 울적하다. 0 1 2 3
2. 나의 외모는 추하다고 생각한다. 0 1 2 3
3. 나 자신이 무가치한 실패자라고 생각된다. 0 1 2 3
4. 나는 다른 사람에 비해 열등하고 뭔가 잘못되어
있다고 느껴진다. 0 1 2 3
5. 나는 매사에 나 자신을 비판하고 자책한다. 0 1 2 3
6. 나의 앞날엔 희망이 없다고 느껴진다. 0 1 2 3
7. 어떤 일을 판단하고 결정하기가 어렵다. 0 1 2 3
8. 나는 쉽게 화가 나고 짜증이 난다. 0 1 2 3
9. 진로, 취미, 가족, 친구에 대한 관심을 잃었다. 0 1 2 3
10. 어떤 일에 나 자신을 억지로 내몰지 않으면
일을 하기가 힘들다. 0 1 2 3
11. 인생은 살 가치가 없으며 죽는게 낫다는
생각을 한다. 0 1 2 3
12. 식욕이 없다. 또는 지나치게 많이 먹는다. 0 1 2 3
13. 불면으로 고생하며 잠을 개운하게 자지
못한다. 또는 지나치게 피곤하여 너무 많이
잔다. 0 1 2 3
14. 나의 건강에 대해 걱정을 많이 한다. 0 1 2 3
15. 성(sex)에 대한 관심을 잃었다. 0 1 2 3
0: 전혀 그렇지 않다
1: 가끔 그렇다
2: 자주 그렇다
3: 항상 그렇다
<채점 및 해석>
15개 항목에 대해 O표를 한 숫자를 합하면 총점이 되며, 총점의 범위는 0~45점이다. 총점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0~10점 현재 우울하지 않은 상태이다.
11~20점 정상적이지만 가벼운 우울 상태이다. 자신의 기분을 새롭게 전환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21~30점 무시하기 힘든 우울 상태이다. 우울 상태를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8.09.16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92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