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소재의 응용분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 론

본 론Ⅰ

1. 생명복제 발달연표

2. 생명복제의 연구분야

3. 생명 기술의 이용분야

본 론Ⅱ

1. 줄기세포의 정의

2. 줄기세포의 역사

3. 줄기세포의 종류

4. 줄기세포의 배양

5. 줄기세포의 이점

6. 줄기세포의 문제점

결 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포로 분화를 촉진한 후 그 곳에 넣어주면 다시 회복이 된다. 지금까지 노력에 의하면 파킨슨이나 뇌졸증 등과 같은 뇌질환의 경우에 신경줄기세포의 이식이 가능하다고 보여진다. 또한 이자의 인슐린 분비에 관여하는 세포의 손상으로 인한 당뇨병등도 이러한 줄기세포로 치료하려는 노력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까지의 연구결과가 긍정적으로 나온 분야는 대개 이런 정도이나 그 활용가능성은 모든 장기의 손상회복에 쓰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줄기세포를 이용하여 노쇠하거나 죽은 세포를 치환하려는 분야인 세포치료제 개발 분야에 이용하여 의학적인 발전을 꾀할 수도 있을 것이다.
둘째, 식량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21세기는 노인층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세계인구가 증가하면서 식량난에 부딪힐 것이다. 이 때 줄기세포를 통해 우수한 유전자를 가진 동물이나 식물을 복제함으로서 질 좋은 식량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셋째, 생태계보존이다. 인류문명의 발달로 인류에게 많은 혜택을 가져다주었지만 그 부산물로 환경오염이라는 오점을 낳았다. 이로 인해 세계적으로 중요한 동? 식물들이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 이러한 동? 식물들을 줄기세포를 이용하여 복제한 후 다시 살려 생태계를 보존할 수 있는 것이다.
넷째, 정책적 배려와 집중개발에 의한 기술 선진국 진입이다. 우리 민족은 손재주가 좋은 민족이라고 한다. 황우석박사의 성공요인을 외국인들은 손재주가 좋은 한국인이기 때문이라고 말하는 경우도 있는 것이 그 증거이다. 그러나 그런 것에 비해 우리나라의 정책적 배려는 타 선진국에 비해 월등히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황우석박사의 성공으로 BT분야의 정책적 지원이 더욱 많아짐으로 해서 줄기세포를 이용한 활발한 연구로 세계적 학술지에 S. KOREA라는 이름이 자주 등장하는 기술선진국 진입에 박차를 가할 수 있는 것이다.
6. 줄기세포의 문제점
줄기세포에 대한 가장 큰 문제점은 생명윤리의 논란이다. 주요 쟁점은 첫째, 인간개체복제로의 악용 우려. 둘째, ‘잠재적 생명체’인 배아의 파괴 행위. 셋째, 난자 채취의 적법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첫 번째 논점인 인간개체복제로의 악용은 현재 연구하고 있는 과학자의 도덕성과는 별개로 쌓여진 연구 성과로 언젠가는 인간개체복제를 시도할 과학자가 반드시 등장할 것이라는 데에 있다. 실제 클로네이드사는 인간개체복제에 성공했다고 주장하고 있으며(증거가 없는 거짓말임이 분명하지만), 황우석 교수를 비롯해서 개체복제에 필요한 과학적인 지식이 준비되면 누군가가 개체복제를 시도할 것이 불을 보듯 뻔하다. 복제 동물의 예로부터 추정할 수 있듯 복제 동물은 수많은 결함을 갖고 태어나는 경우가 많다. 이 기술이 인간에게 적용되었었을 때 실험대상이 된 인간의 존엄성은 과연 어떻게 되는가? 생각해 볼 문제 인 것이다.
두 번째 논점은 배아를 생명으로 볼 것인가 아닌가의 관점은 계속 논쟁이 진행 중이다. 이 문제는 이미 허용된 기술인 시험관 아기와 긴밀히 맞물려 있다. 시험관 아기 탄생을 위해 인공 수정을 시도하는 도중 많은 수정란이 생기지만 자궁에 착상될 소수만을 남기고 모두 파기한다. 이것은 배아복제에서 문제가 되는 배아와 다를 바 없는 아니 오히려 더욱 인간에 가까운 것이다. 배아를 생명으로 본다면, 시험관 아기도 당연히 중지되어야 한다는 것이 복제 찬성론자들의 주장이다.
세 번째 논점인 난자 채취의 적법성은 기증자가 아무리 동의한다 할지라도 난자 제공자에게 미칠 악영향에 대해 아직 완전한 역학 조사가 이루어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 과도한 수의 난자를 제공받을 수는 없다는 데에 있다. 앞으로도 연구가 계속되기 위해서는 건강한 난자의 제공이 필수적인데 이 과정에서 합의가 필요하다.
결 론
생명소재의 응용분야는 그 끝을 알수 없는거 같다. 생명이라는 것이 우리 인간이 살아 있는한 우리와 관련된 모든 것이 생명과 관련될 것이다. 현대사회가 계속 기술이 발전하고 과학이 발달함으로써 생명소재의 응용분야 또한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것이다. 다만 이러한 발달이 무조건적으로 좋은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저는 환경교육과를 다니는 학생으로 과학의 발달과 문화의 발달이 환경을 오염시키고 생태계를 파괴시킨다는 것을 대학에서 자세히 배우게 되어서 과학의 발달이 무조건 좋다고는 생각하지 않기 때문이다. 생명소재의 응용분야의 발달도 무조건적으로 발달시키기 보다는 우리 인간사회의 환경과 인간의 존엄성을 잃지 않도록 하는 선에서 발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19세기는 영국의 산업혁명이 전 세계를 이끌어 나갔고 20세기는 미국의 테크노밸리에서 컴퓨터 즉, 인터넷망을 구축함으로써 세계를 이끌어 나갔으며 21세기에는 대한민국 황우석 박사님의 줄기세포 배양으로 인한 생명과학기술이 이끌어 나갈 것이다.” 황우석 교수님이 쓰신 나의 생명 이야기라는 책에서 나오는 내용이다. 2002년 우리나라가 월드컵 4강에 올라간 이후에 내 자신이 한국 사람임을 다시 한번 자랑스럽게 여길 수 있는 계기가 된 부분이기도 하다. 황우석 교수님의 업적은 가히 놀랄만하다. 하지만 더욱 놀라게 한 사실은 바로 황우석 교수님의 학창시절 성적이다. 바로 500여명 중에 420등인 것이다. 뛰어난 머리와 탄탄한 가정환경이 받쳐주지 않더라도 소처럼 우직하며 성실하게 공부한 결과 전 세계인들이 놀랄만한 업적을 이루어낸 것이다. 이를 본받아 나 또한 최고보다는 최선을 다하는 자세를 가진 사람이 되도록 노력하겠다.
참고 문헌
▷ http://blog.naver.com/aromdaum/140009488788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11&dir_id=110205&docid=280265&l_url=L2xpc3QvZGlyX2RiX2xpc3QucGhwP2QxaWQ9MTEmZGlyX2lkPTExMDIwNQ==
▷ http://www.scienceall.com050621
▷ http://www.wshwang.com/bio_story/bio-2.htm050622
▷ http://www.stem.or.kr050624
▷ 나의 생명 이야기. 황우석, 최재천, 김병종 저, 서울, 효형출판사, 352pp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09.16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93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