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그는 문화테러리스트라도 불리우며 비디오에 대해서 매체우상에 대한 탈구조와 해체의 수단으로 비디오를 바라보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비디오의 위력과 잠재력에 자극받은 기술이상주의적 관점으로도 보았다. 우리가 무심코 바라보고만 있었던 작은 화면 속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고 무엇인가 표현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대단한 것이라 생각한다.
“텔레비전은 우리의 온 생애를 통하여 우리를 공격해왔다. 이제는 우리가 공격할 수 있게 되었다.” 백남준씨는 이런 말을 남겼다. 이는 인간들을 더 이상 매체에 끌리지 않게 하고, 이를 예술로 승화시켜 능동적으로 대체하여야 할 우리를 말해주는 것이라 생각한다.
참고자료
이용우 저, 『비디오 예술론』, 문예마당, 2000
강준만 저, 『커뮤니케이션 사상가들』, 한나래, 1994
“텔레비전은 우리의 온 생애를 통하여 우리를 공격해왔다. 이제는 우리가 공격할 수 있게 되었다.” 백남준씨는 이런 말을 남겼다. 이는 인간들을 더 이상 매체에 끌리지 않게 하고, 이를 예술로 승화시켜 능동적으로 대체하여야 할 우리를 말해주는 것이라 생각한다.
참고자료
이용우 저, 『비디오 예술론』, 문예마당, 2000
강준만 저, 『커뮤니케이션 사상가들』, 한나래, 1994
추천자료
비디오의 개요 영상처리,압축/복원,파일포멧,편집 소프트웨어
비디오 감상문 `역사 스페셜`을 보고 나서
비디오 감상문 (현대중국)
프로그램 분석 및 기획 - '출발 비디오 여행'
뮤직비디오란 무엇인가
[영상 매체의 특징] TV, 비디오, 영화의 특성비교 및 관람태도비교
비디오보고자폐증에대해조사하기
교육기자재(학습기자재, 교육기기) 의의와 종류, 교육기자재(학습기자재, 교육기기) CD-ROM과...
한국의 대중매체,특히 TV,영화,비디오를 중심으로
[영상 미디어의 특성] 방송 미디어와 비디오의 특성
뮤직비디오 플레이어
조윤범의 파워클래식 마케팅(음대벤처, 뮤직비디오)
비디오 재생 프로그램 (VideoEx)
예술혼을 사르다 간 사람들,이석우지음,아트북스(북리뷰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