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1.WiBro
1) WiBro와 무선랜
2) WiBro와 무선인터넷
3) WiBro의 기술적 특징
4) 사회적 영향
2. BcN
1)BcN의 정의
2)BcN의 기술적 특징
3)사회적 영향
3. IP-TV
1)특징과 국내상황
2)기존 미디어와의 비교/사회적 영향
4.DMB
1)도입배경
2)지상파 DMB와 위성 DMB
3)DVB-H
4)사회적 영향
●맺음말●
1.WiBro
1) WiBro와 무선랜
2) WiBro와 무선인터넷
3) WiBro의 기술적 특징
4) 사회적 영향
2. BcN
1)BcN의 정의
2)BcN의 기술적 특징
3)사회적 영향
3. IP-TV
1)특징과 국내상황
2)기존 미디어와의 비교/사회적 영향
4.DMB
1)도입배경
2)지상파 DMB와 위성 DMB
3)DVB-H
4)사회적 영향
●맺음말●
본문내용
디서나 인터넷을 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우리는 인터넷에 항상 접속 하는 상태에 놓여 있게 된다. 유선 인터넷이 매스 미디어에 영향을 미쳤다면 그러한 면에서 거의 항상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상태에 놓인 휴대인터넷은 매스 미디어를 더 멀리 하도록 할 것이다. 또한 TV와 같은 미디어가 불특정 다수에게 송신하는 정보는 모든 사회구성원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정보를 이슈화 했다는 것과, 방송의 일시적 성격으로 온 가족이 같은 시간 한 공간에 모여 보는 것은 사회 결합을 의미한다. 이에 반해서 인터넷은 상호작용적이며 자신이 능동적으로 정보를 찾아 보기 때문에 모든 사회 구성원과의 관심요소가 달라 질 수 밖에 없으며 혼자서 고립되어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휴대인터넷은 더욱더 사회 구성원들을 분리 시키고 개인화 시키는 경향이 강해질 것이다.
다른 관점에서 본다면, 인터넷의 활용도가 높아짐으로써 매스미디어를 이용하여 사회구성원과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인터넷을 이용하여 사회구성원들이 결합되는 것이다.
예를 들자면 인터넷의 커뮤니티를 들 수 있는데 온라인을 통해 커뮤니티 속에서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으로 사회가 결합되어 ,촛불 시위 운동과, 월드컵 때 온 국민이 붉은 티를 입고 광화문으로 몰린 일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이렇듯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활동은 오프라인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인터넷을 항시 접할 수 있게 됨은 그 만큼 온라인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이어서 오프라인 활동까지 이어져 사회적 구성원을 결합시킬 수 있게 됨을 의미한다.
2. BcN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광대역 통합 네트워크)
1)정의
BcN(Broadband Convergence Network;광대역 통합망)이란 정보통신부가 추진하고 있는 차세대 통합 네트워크(NGcN)를 대체하기 위해 새롭게 제시한 용어로, 지난 1995년부터 계속되고 있는 초고속정보통신망 구축 프로젝트의 후속 사업이다.
오는 2010년까지 전국 1000만 가구게 100Mbps급 광대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고 있으며, 추진계획안으로는 1단계(2004~2005년) 기반조성단계에서 BCN의 파일롯망을 구축하고 초기 상용서비스를 구현하며, 2단계(2006~2007년) 기반구축단계에서 전국 500만 가구에 50~100Mbps급 가입자망을 구축함으로써 본격적인 상용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3단계(2008~2010년) 기반완성단계에서 전국 1000만 가구에 50~100Mbps급 서비스를 보급함으로써 전국적인 광대역 통합망 구축을 완료하기로 했다.
◎ BcN 개념도
2)특징
BcN은 한마디로 네트워크 통합을 말하는데 , 전화망, 인터넷망, 이동통신망, 지상파 TV 방송망, 케이블 TV 방송망, 위성 방송망 등으로 나뉘는 네트워크 망을 하나로 통합함으로써 현재의 정보통신 인프라를 세계 최고 수준의 브로드밴드 통합망으로 실현시키겠다는 것이다. 이렇듯 네트워크의 통합이 이루어지면 그동안 따로 분리 되어 각각의 다른 단말기를 통해서 받아 볼 수 있던 컨텐츠, 서비스가 휴대폰, PDA, PC, TV등의 단말기의 구분없이 모든 서비스를 연동 하여 받아 볼 수 있게 된다.
현재 네트 워크의 구조는 수직적 분할 구도로 유선이동통신은 이동성에 한계가 있고, 이동통신은 대역폭의 제한을 받으며 방송은 일방향적 서비스만을 송신 할 수 있다. 그러함으로써 수용자들은 제약된 공간과, 시간에서 일방적으로 보내지는 서비스 만을 수동적으로 받아 볼 수 받게 없었다. 하지만 네트워크의 통합은 이러한 수용자들의 공간,시간의 제약에서 벗어나게 해준다. 모든 서비스가 하나의 네트워크 망을 통해 전해지면서 단말기 구분없이 서비스가 연동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사람들은 지나칠수 있는 TV방송을 핸드폰을 통해서 볼수 있는 시대가 온 것이다. 또한 기존의 방송이 일방향적이었다면 망의 융합은 쌍방향적인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해 질 것이다.
현재 BcN의 1차 사업으로 인터넷을 통해 TV를 보는 `IP-TV\'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IP-TV는 기존 방송과 다르게 쌍방향적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으며 케이블 혹은 위성 방송과 다르게 전세계 채널을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전세계의 방송까지 언제든 실시간으로 볼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네트워크 통합은 지금 현재 방송 통신이 융합되고 있는 것처럼, 서비스의 융합 ,단말기의 융합을 가속화 시킬 것이기 때문에 앞으로 우리가 받게 될 서비스는 더 전문화 되고 개인화 되고 지능화 되고 개방적이 될 것이다.
3)사회적 영향
앞으로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BcN 사업이 달성되면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네트워크 구조는 많은 변화가 일어날 것이라 본다. 여러개의 망으로 나뉘어져 공급되었던 서비스들이 하나의 망으로 통합됨으로서 각각 다른 단말기로 분리되어 제공되었던 서비스들 또한 하나로 통합되는 것이다. 현재 새롭게 나타나고 있는 뉴 미디어의 모습들은 몇 개의 서비스들이 하나로 통합되어 나타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BcN 의 네트워크 망의 결합이 모든 서비스, 단말기 통합의 근본인 것이다. 이 네트워크 통합을 통해서 여러개로 분리되었던 단말기와 서비스들 또한 통합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현재 사업자들이 추진하는 뉴미디어사업들도 정부의 BcN 구축을 전제하에 이루워지고 있으므로 이 프로젝트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BcN은 쌍방향적인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 네트워크 망을 이용하는 뉴미디어는 쌍방향적 성격을 띄게 될 것이며, 이에 사용자들은 더욱더 자기 표현이 가능하게 되어 개인화 되며 전문화 다양화 될 것이라 생각한다. 현재 우리나라는 디지털 미디어에 관련하여 세계적인 위치에 서 있다. BcN의 구축은 한국을 디지털 강대국으로 이끌 핵심이 될 것이다.
3. IP-TV
1)특징과 국내 상황
DMB가 방송과 통신의 융합이라면, IP-TV는 인터넷과 TV의 결합을 말한다.
기존의 TV방송의 형태는 정해진 시간에 프로그램이 일방향적으로 수용자에서 수동적으로 전해지는 방식이었다. 일방향적이고,일시적, 비동시적인 특징으로 시청자는 자신이 프로그램 방영시간을
다른 관점에서 본다면, 인터넷의 활용도가 높아짐으로써 매스미디어를 이용하여 사회구성원과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인터넷을 이용하여 사회구성원들이 결합되는 것이다.
예를 들자면 인터넷의 커뮤니티를 들 수 있는데 온라인을 통해 커뮤니티 속에서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으로 사회가 결합되어 ,촛불 시위 운동과, 월드컵 때 온 국민이 붉은 티를 입고 광화문으로 몰린 일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이렇듯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활동은 오프라인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인터넷을 항시 접할 수 있게 됨은 그 만큼 온라인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이어서 오프라인 활동까지 이어져 사회적 구성원을 결합시킬 수 있게 됨을 의미한다.
2. BcN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광대역 통합 네트워크)
1)정의
BcN(Broadband Convergence Network;광대역 통합망)이란 정보통신부가 추진하고 있는 차세대 통합 네트워크(NGcN)를 대체하기 위해 새롭게 제시한 용어로, 지난 1995년부터 계속되고 있는 초고속정보통신망 구축 프로젝트의 후속 사업이다.
오는 2010년까지 전국 1000만 가구게 100Mbps급 광대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고 있으며, 추진계획안으로는 1단계(2004~2005년) 기반조성단계에서 BCN의 파일롯망을 구축하고 초기 상용서비스를 구현하며, 2단계(2006~2007년) 기반구축단계에서 전국 500만 가구에 50~100Mbps급 가입자망을 구축함으로써 본격적인 상용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3단계(2008~2010년) 기반완성단계에서 전국 1000만 가구에 50~100Mbps급 서비스를 보급함으로써 전국적인 광대역 통합망 구축을 완료하기로 했다.
◎ BcN 개념도
2)특징
BcN은 한마디로 네트워크 통합을 말하는데 , 전화망, 인터넷망, 이동통신망, 지상파 TV 방송망, 케이블 TV 방송망, 위성 방송망 등으로 나뉘는 네트워크 망을 하나로 통합함으로써 현재의 정보통신 인프라를 세계 최고 수준의 브로드밴드 통합망으로 실현시키겠다는 것이다. 이렇듯 네트워크의 통합이 이루어지면 그동안 따로 분리 되어 각각의 다른 단말기를 통해서 받아 볼 수 있던 컨텐츠, 서비스가 휴대폰, PDA, PC, TV등의 단말기의 구분없이 모든 서비스를 연동 하여 받아 볼 수 있게 된다.
현재 네트 워크의 구조는 수직적 분할 구도로 유선이동통신은 이동성에 한계가 있고, 이동통신은 대역폭의 제한을 받으며 방송은 일방향적 서비스만을 송신 할 수 있다. 그러함으로써 수용자들은 제약된 공간과, 시간에서 일방적으로 보내지는 서비스 만을 수동적으로 받아 볼 수 받게 없었다. 하지만 네트워크의 통합은 이러한 수용자들의 공간,시간의 제약에서 벗어나게 해준다. 모든 서비스가 하나의 네트워크 망을 통해 전해지면서 단말기 구분없이 서비스가 연동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사람들은 지나칠수 있는 TV방송을 핸드폰을 통해서 볼수 있는 시대가 온 것이다. 또한 기존의 방송이 일방향적이었다면 망의 융합은 쌍방향적인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해 질 것이다.
현재 BcN의 1차 사업으로 인터넷을 통해 TV를 보는 `IP-TV\'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IP-TV는 기존 방송과 다르게 쌍방향적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으며 케이블 혹은 위성 방송과 다르게 전세계 채널을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전세계의 방송까지 언제든 실시간으로 볼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네트워크 통합은 지금 현재 방송 통신이 융합되고 있는 것처럼, 서비스의 융합 ,단말기의 융합을 가속화 시킬 것이기 때문에 앞으로 우리가 받게 될 서비스는 더 전문화 되고 개인화 되고 지능화 되고 개방적이 될 것이다.
3)사회적 영향
앞으로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BcN 사업이 달성되면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네트워크 구조는 많은 변화가 일어날 것이라 본다. 여러개의 망으로 나뉘어져 공급되었던 서비스들이 하나의 망으로 통합됨으로서 각각 다른 단말기로 분리되어 제공되었던 서비스들 또한 하나로 통합되는 것이다. 현재 새롭게 나타나고 있는 뉴 미디어의 모습들은 몇 개의 서비스들이 하나로 통합되어 나타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BcN 의 네트워크 망의 결합이 모든 서비스, 단말기 통합의 근본인 것이다. 이 네트워크 통합을 통해서 여러개로 분리되었던 단말기와 서비스들 또한 통합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현재 사업자들이 추진하는 뉴미디어사업들도 정부의 BcN 구축을 전제하에 이루워지고 있으므로 이 프로젝트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BcN은 쌍방향적인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 네트워크 망을 이용하는 뉴미디어는 쌍방향적 성격을 띄게 될 것이며, 이에 사용자들은 더욱더 자기 표현이 가능하게 되어 개인화 되며 전문화 다양화 될 것이라 생각한다. 현재 우리나라는 디지털 미디어에 관련하여 세계적인 위치에 서 있다. BcN의 구축은 한국을 디지털 강대국으로 이끌 핵심이 될 것이다.
3. IP-TV
1)특징과 국내 상황
DMB가 방송과 통신의 융합이라면, IP-TV는 인터넷과 TV의 결합을 말한다.
기존의 TV방송의 형태는 정해진 시간에 프로그램이 일방향적으로 수용자에서 수동적으로 전해지는 방식이었다. 일방향적이고,일시적, 비동시적인 특징으로 시청자는 자신이 프로그램 방영시간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