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교육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기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조기교육의 정의

2.조기교육의 장점

3. 조기교육의 단점

4. 우리나라 조기교육의 실태
(1)조기교육의 실시여부
(2) 조기교육의 평균 시작연령, 지속기간
교육횟수, 1회 교육시간
(3) 조기 특기 교육을 시키는 이유와 문제점

5. 조기 교육 부작용 사례와 관련기사

6. 강요된 조기과잉교육을 받은 아동의 증상과 대책

7. 조기교육이 나아갈 방향

8. 조기교육을 성공시키는 부모의 태도

본문내용

를 아끼지 않아야 합니다. 칭찬은 아이에게 자신감 있는 삶을 살 수 있도록 한다고 합니다.
(3) 엄마가 먼저 배우세요.
아이가 너무 어려서 배울 수 있을까 하는 의구심이 들 때, 아이가 배우는 것에 흥미가 없어 할 때 엄마가 먼저 배우세요. 엄마가 배워 가르치면 교육효과도 높고, 엄마 스스로 자기계발을 할 수 있어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4) 아이 성격에 맞는 이색 프로그램을 찾으세요
특색 있는 프로그램을 찾는 것은 아이, 부모 모두에게 즐거운 경험이 될 것입니다. 피아노, 바이올린 등의 악기가 아닌 단소, 대금 등 우리 고유의 악기를 통해서도 좋은 음악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색다른 경험이 오히려 아이의 음악적 흥미를 돋웁니다.
(5) 먼저 자녀교육 전략을 가지세요.
무조건 일찍부터 글자를 읽고 쓸 줄 알게 하는 것이 조기교육이라고 생각하지 쉽죠? 하지만 그보다 먼저 우리 아이를 어떻게 키울 것인가에 대한 근본적인 계획을 갖고 바람직한 교육 철학을 갖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6) 올바른 언어로 가르치세요.
아이에게 언젠가는 사어가 될 유아어로 말을 거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언어는 사고의 도구이므로 바른 언어를 사용하여 명료하게 말을 걸도록 하세요 흡수력이 뛰어난 아이는 유아어나 부모가 쓰는 잘못된 표현을 그대로 기억해 버리기 때문입니다.
(7) 전공한 선생님에게 배우게 하는 것이 좋아요
조기교육기관에 아이를 맡길 때는 사전에 선생님에 대해 정확히 알아야 합니다. 되도록 대학에서 각 분야를 전공한 선생님, 교육학에 대한 이해가 깊은 선생님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9. 유아교육의 정책적 방향
(1) 유아교육의 공교육화
유아교육의 공교육화를 위해서 유치원 1년을 기간 학제화하고 만 5세아는 무상교육을 실시하며 점차 그 연령을 확대해 간다. 의무 교육화는 유아들의 요구와 특성에 맞는 유치원 선택의 제한, 형식화, 획일화와 문제점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공교육성을 갖기 위해 기간 학제화, 무상 교육을 실시한다.
1) 유아교육의 기간 학제화
현재 우리 나라 유아교육 현황을 보면 5세 유아의 취원율이 44. 6%(교육인적자원부, 2004)정도에 그치고 있다. 이는 국가들이 법률로서 의무 규정을 두지 않더라고 기간학제에 포함시키므로 평균적으로 83%의 취원율을 보이는 것에 비해 매우 낮은 수치로 우리 나라는 OECD 국가 중에서 취원율이 가장 낮은 나라이다. 이는 우리 나라의 유아교육이 아직까지도 접근 기회의 평등은 물론 결과적 평등에서도 상당한 거리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유아교육 분야에서 최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일은 유아교육을 기간 학제에 포함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2) 유아교육의 무상 교육화
최근 OECD 국가의 추세는 무상 교육의 대상으로 4, 5세 유아를 포함하여 최소 2년을 그 기간으로 하고 있다(나정, 2002). 따라서 적어도 5세 유아는 모두 유아교육기관에서 체계적인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무상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그리고 점차적으로 그 대상 연령을 확대해 나아가야 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만 5세아의 경우는 저소득층 뿐만 아니라 모든 대상 유아에게 무상 교육을 실시한다. 현재의 상황을 살펴보면 저소득층 유아의 경우, 유치원에 다니는 유아는 반일제를 기준으로 하여 수업료만 지원을 받고 어린이집에 다니는 유아는 종일제를 기준으로 하여 급식비 및 간식비를 포함한 보육료를 지원하고 있는 실정이다(한국교원단체 총연합회, 유아교육 발전특별위원회, 2002). 그러나 요즈음에는 대부분의 유치원이 연장제 및 종일제를 실시하고 있는 실정으로 유치원의 경우에만 반일제를 기준으로 급식비와 간식비를 무상교육비의 대상에서 제외시키는 것은 보육 시설과의 차별적 정책일 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무상교육이라는 의미를 퇴색시키고 있다. 따라서 기관에 상관없이 연장제나 종일제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수업료(보육료) 뿐만 아니라 급식비 및 간식비를 무상 교육의 항목에 포함시켜 지원해주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리고 만 3-4세아의 경우는 유치원에 취원 중인 저소득층 유아에 대해서도 보육 시설에 취원 했을 경우와 마찬가지로 교육비를 지원받을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하여 유치원과 보육시설간의 교육비 지원이 균등하게 실시되어야 한다. 그리고 점차적으로 무상 교육의 대상 연령을 하향화 해가는 방안도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2) 유아교육 관련 단독법 제정
유아교육관련 법령들을 정비하고 유아교육에 대한 독립법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현재 유아교육관련 법령들은 초중등 교육법, 유아교육진흥법, 영유아보육법 등에 포함되어 있다. 유아교육의 전문적 위상을 정립하고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독립법안으로 집약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유아교육 진흥법을 폐지하고 ‘유아 교육법’을 독립법으로 제정한다. 이는 ‘교육 기본법’ 체제 위에서 ‘초 중등 교육법’과 동등한 위상을 갖게 되므로 유아교육이 공교육 체제화 되는 것이다. 그리고 영유아보육법을 폐지하고 영아보육법을 제정하여 영아 보육의 공교육화를 실현한다.
(3) 유아교육의 행, 재정적 지원 정책
OEDC 국가들의 정책 동향을 살펴보면 유아교육에 대한 세계 각국의 정책은 국가적 차원의 질 관리를 통하여 취학전 유아들에게 최적의 교육과 보호를 제공하고 재정지원을 통하여 각 가정의 유아와 유아교육에 대한 부담을 완화시키는 추세이다. 이러한 국가적 차원의 질 관리와 재정적 지원을 확대하기 위한 기초가 바로 행재정 지원 체계의 수립으로 이와 같은 체계의 수립이 시급하다.
*참고문헌
NAVER 백과사전(EnCyber 두산세계대백과)(http://100.naver.com/)
한국경제 2003. 10. 13 사회면
마거릿 보든(Margaret Boden)(1999), 「피아제 Piaget」, 시공사
윤정륜(2002), 「학교교육심리학」, 형설출판사
NAVER 지식in(http://kin.naver.com/)
한국 유아의 조기교육 (이명조)
조기교육 현장의 실태와 그 문제점에 관한 연구 (김은정)
영아 조기교육의 실태 및 어머니의 인식에 대한 연구 (정의영)
느림보 학습법(연세대 신의진 교수)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8.09.22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05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