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성마비, 뇌성마비아동]뇌성마비의 정의, 뇌성마비의 원인, 뇌성마비의 분류, 뇌성마비의 특성, 뇌성마비의 증상, 뇌성마비아의 심리, 뇌성마비아의 의사소통 장애, 뇌성마비아의 교육 및 뇌성마비아 놀이치료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뇌성마비, 뇌성마비아동]뇌성마비의 정의, 뇌성마비의 원인, 뇌성마비의 분류, 뇌성마비의 특성, 뇌성마비의 증상, 뇌성마비아의 심리, 뇌성마비아의 의사소통 장애, 뇌성마비아의 교육 및 뇌성마비아 놀이치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뇌성마비의 정의

Ⅲ. 뇌성마비의 원인

Ⅳ. 뇌성마비의 분류
1. 경련성(spasticity)
2. 무정위성(athetosis)
3. 강직성(rigridity)
4. 운동실조설(ataxia)
5. 진전성(tremor)
6. 무긴장성 / 무력성(atonia, flaccidity)
7. 마비된 신체부위
8. 장애정도

Ⅴ. 뇌성마비의 특성

Ⅵ. 뇌성마비의 증상
1. 전반적인 증상
2. 임상적 증상

Ⅶ. 뇌성마비아의 심리

Ⅷ. 뇌성마비아의 의사소통 장애
1. 운동장애
1) 구어에 미치는 영향
2) 언어에 미치는 영향
3) 일반적인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2. 지각장애
3. 인지장애

Ⅸ. 뇌성마비아 교육

Ⅹ. 뇌성마비아의 놀이치료
1. 놀이 지도의 중요성
2. 놀이 구성과 지도 방법
1) 놀이 구성
2) 지도 방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능간 협응 등 처음에는 기관 자체를 훈련하고 큰 근육을 움직이는 활동을 하다가 근력, 협응력, 조정력, 종합력 등 점차 섬세한 활동으로 옮겨가는 발달 단계를 거치게 된다. 교사가 운동놀이를 지도할 때 주의할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흥미 유발을 위한 충분한 놀이기구를 제공해야 한다.
둘째, 놀이시 아동들에게 용기를 북돋아 주어야 한다.
셋째, 아동들이 생각하고 관찰하며 감정을 발산할 만큼 충분한 시간을 제공한다.
넷째, 놀이감이나 놀이기구가 아동들의 신체발달이나 인지수준에 맞아야 하며, 필요로 할 때 즉시 공급해 주어야 한다.
다섯째, 놀이기구 유지·보수에 주의해야 한다.
여섯째, 아동들이 움직이기에 충분한 장소를 제공해야 한다.
일곱째, 게임은 규칙이 단순한 것부터 차차 복잡해지는 것으로 선택하여 활동하게 한다.
여덟째, 경쟁놀이 경우 너무 심한 경쟁 의식을 유발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2. 놀이 구성과 지도 방법
1) 놀이 구성
아동의 운동 발달을 촉진을 위해 주로 전반적인 운동기능을 활용하는 놀이로서는 다음과 같은 놀이가 뇌성마비아에게 필요하며 상지기능 향상에 도움이 된다. 협응성과 리듬 발달에 관련되는 놀이는 몸 전체의 움직임 및 손과 발의 움직임을 다루며 자기 신체를 조작하는 놀이와 다른 물체나 소리, 움직임에 맞춰서 조작하는 경우가 있다. 운동장애가 있는 아동은 먼저 자신의 몸을 어떤 방법으로든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잇는 통제 기능이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손과 발을 이용한 대근육 운동과 소근육 운동을 중심으로 자유로운 복합운동으로 나아간다. 네발로 기거나, 손과 발로 여러 가지 흉내내기 동작 등이 좋다. 속도감과 민첩성에 관련되는 놀이는 신체의 민첩성을 길러 주는 놀이이다. 민첩성은 몸의 원활한 움직임과 부드럽게 하는데 필요한 능력이다. 구체적으로 공간을 어떻게 민첩하게 움직일 수 있는가, 운동의 흐름 방향을 얼마나 빠르게 바꿀 수 있는가 이다. 조용하게 순간적으로 얼마나 빠르게 움직이는가. 직선적인 움직인 및 곡선적인 움직임의 변화를 예민하게 알고 대처하는가 등의 동작을 요구한다. 유연성 발달 관련 놀이는 신체의 모든 관절의 가동 영역을 넓히고, 근육의 이완과 긴장을 반복함으로써 몸을 유연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유연성은 신체 균형 유지에 필요한 요소이며, 조정력의 정도를 지배하는 것이다. 몸이 유연하면 아동의 운동 범위는 크게 확대된다. 이 운동 능력은 아동의 성장과 함께 저하하는 유일한 운동 속성이다. 이 능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몸을 수축시키기도 하고, 이완시키기도 하는 놀이를 계속적으로 해야만 한다. 균형 발달에 관련되는 놀이는 몸의 평형기능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아동의 성장과정을 예로 들면 처음에는 누워 있는 상태에서 차차 두발로 서려고 한다. 그리고 불안정하게 걷기 시작하면 자유롭게 걷는 현상은 평형 능력과 관계가 있다. 지구력 발달에 관련되는 놀이는 아동기에는 반드시 필요한 능력은 아니다. 그러나 몸이 약한 아동에게는 혈액순환 촉진을 위해 지구력을 높이는 놀이를 해주어야 한다. 허약한 아동을 위해 전신의 지구력을 높이는 놀이가 필요하며, 특히 근력을 강화시키지 않으면 안되는 아동에게는 특정 부위의 놀이가 좋다.
2) 지도 방법
놀이 지도 시 가장 중요한 원리는 아동과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다. 새로운 놀이나 활동을 도입할 때, 그것을 교사중심이 아니라, 아동의 관점에서 보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아동이 정말 그 활동에 관심을 갖고 흥미 있어 하는가, 아니면 교사가 그것을 강요해서 억지로 하는 것인지를 구분해야 한다. 그리고 진행속도와 목표도 활동의 결과에 따라 융통성 있게 조절해야 한다. 둘째, 활동을 아동이 이끌어 가도록 해야 한다. 즉 아동이 처음 집어든 장난감을 갖고 아동이 원하는 활동할 것이지, 아니면 교사가 미리 정해 놓고 있는 목표대로만 할 것인지를 생각해야 한다. 셋째, 아동에게 도움을 주어야 할 때를 잘 관찰해야 한다. 넷째, 과제를 분명하게 제시하고 혼란을 하지 않게 해야한다. 다섯째, 칭찬, 격려, 보상 등을 해야 한다. 장애아동들 가운데 전혀 놀이를 하지 않거나, 쉽게 산만해지거나. 파괴적이거나. 이 물건 저 물건을 만지고만 다니거나, 강박 관념에 사로잡혀 놀이를 잘 하지 못하는 아동에게는 적절하게 노는 것을 배우도록 체계적인 지도가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아동을 세심하게 관찰하는 것이다. 아동이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이며, 어떤 문제가 있는지를 먼저 파악해야 한다. 관찰 결과, 전혀 놀이를 하지 않거나, 장난감이나 놀이에 관심이 없는 아동들에게는 놀이를 하도록 체계적으로 지도해야 한다.
사람하고 노는 것은 좋아하지만 장난감을 갖고 노는 것을 싫어하는 아동은 공놀이나 자동차 놀이, 또는 미끄럼틀에서 공 떨어뜨리고 줍기 등 사회적 게임으로 시작한다. 장난감을 부수는 아동의 경우, 그 아동이 다루기 어려운 장난감은 따로 보관하고, 쉽게 다루거나 한번 가르쳐 주면 쉽게 갖고 놀 수 있는 장난감만 배치한다. 놀이지도에서 가장 중요한 변인은 아동의 관심의 정도이다. 아동의 관심은 내적인 것, 즉 활동이나 장난감 자체에 대한 관심일 수도 있고, 혹은 칭찬, 성인의 관심, 물질적 보상 등 외적인 것에 있을 수도 있다. 내적인 것에 관심이 있는 아동은 가능한 다양한 장난감과 놀이 활동을 제공해 주고, 어디에 관심이 있는지 관찰해야 하며, 제시할 때도 아동이 재미와 흥분을 느낄 수 있도록 제시하는 것이 좋다. 그것에도 관심이 없는 아동은 물질적 보상이나 그가 좋아하는 또 다른 장난감과 놀이를 보상을 제시함이 좋다. 장소와 시간은 개별적으로 하며 시간은 약 10분~ 20분이 적당하다.
참고문헌
○ 강수균(1996), 뇌성마비 언어치료, 한국언어치료학회
○ 김희순, 가족 중심의 아동간호학, 현문사
○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1998), 알고싶어요 뇌성마비
○ 리처드W. 브라이머, 중증 장애인의 교육과 재활,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 박화문(2000), 장애아 발달학, 대구대학교 출판부
○ 정재권(우석대학교), 정동일(한국경진학교), 정해동(국립특수교육원)(1997), 뇌성마비아 일상생활지도, 국립특수교육원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09.2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08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