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접사의 생산성 측정 - '맨-, 한-, -스럽-, -답-'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 접사의 생산성 측정 - '맨-, 한-, -스럽-, -답-'을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조사 목적

Ⅱ. 조사 대상
1. 선정 기준
2. 대상의 특징

Ⅲ. 조사 방법
1. 국어 대사전 검색(기존의 단어 목록 수집)
2. 말뭉치를 이용한 수집
3. 웹 검색엔진을 이용한 수집
4. 목록비교

Ⅳ. 조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답-’이 가지는 ‘어근의 성질, 그 특성이 있다’는 특성과는 다르게 화자의 욕구가 반영되는 것이라서 훨씬 더 큰 생산성을 지니는 것이 아닌가 한다. 접두사 ‘맨-’과 ‘한-’은 근소한 차이로 ‘맨-’이 더 생산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맨-’이 가지는 고유어와의 결합만 가능한 제약 관계를 생각해 볼 때 의외의 결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한-’이 가지는 5가지 의미 중 1, 3, 5의 의미는 현대국어에서 거의 쓰이지 않는 환경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Ⅴ. 결론
국어의 접사 ‘-스럽-, -답-, 맨-, 한-’이 가지는 생산성에 대한 조사를 해보았는데 그 결과는 ①-스럽- ②-답- ③맨- ④한-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것으로 우리는 접미사가 접두사보다 생산성이 높은 것으로, 형용사를 파생하는 것이 명사를 파생하는 것보다 생산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을 일반화하기에는 4개라는 용례는 턱없이 부족하다. 따라서 접두사와 접미사, 형용사와 명사의 파생에 있어서 생산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서는 훨씬 더 많은 용례를 검토해 보아야 할 것이다.
*참고자료
국어 대사전 , 국립 국어연구원
유현정, 새국어생활 제13권 2호, 국립국어연구원
김계곤, 현대국어의 조어법 연구
강범모, 언어, 컴퓨터, 코퍼스 언어학, 고려대학교 출판부
*목차
Ⅰ. 조사 목적
Ⅱ. 조사 대상
1. 선정 기준
2. 대상의 특징
Ⅲ. 조사 방법
1. 국어 대사전 검색(기존의 단어 목록 수집)
2. 말뭉치를 이용한 수집
3. 웹 검색엔진을 이용한 수집
4. 목록비교
Ⅳ. 조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09.27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14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