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의 사회와 경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경주의 사회와 경제
1) 인구
2) 산업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중요한 것은 지금까지의 삼국시대 신라의 유물과 유적을 보여주는 것이 경주 관광의 모든 것인 현실은 바꿔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 조금 더 다양하고 고급화된 관광자원을 개발하고 홍보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경주시에서 국책사업을 유치하여 경제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을 월성 원자력 발전소 부근에 유치하였으며, 양성자기반 공학기술 개발사업 시설, 한국 수력 원자력 (주)의 본사 이전도 유치하였다. 비록 정부와 경주시간의 갈등, 경주시 내에서 찬성과 반대의 갈등이 아직까지 크게 남아있지만, 국고 3000억원 유치 경주시청 답사 중 도시계획과 직원의 설명을 들은 바로는 실제로는 양성자 가속기 시설로 2000억원이 들어가며, 원래 정부에서 맨 처음 약속하였던 국고 지원이 수 조원 규모에서 많은 액수가 축소되었다고 한다.
와 월성의 원자력 발전소를 오히려 지역 발전의 재도약 발판으로 활용하고 있는 모습은 침체일로를 걷고 있는 지방 중소도시에 시사 하는바가 크다고 할 수 있겠다.
3. 결론
경주는 과거의 영광이 살아있는 역사적인 도시이다. 비록 지역 경제가 침체하여 인구와 산업 모두 쇠퇴하고 있는 상태이지만 이를 해소하고 견인해 나갈 수 있는 원동력이 풍부한 도시이다. 포항과 울산의 배후 지역으로서 공업, 농업을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며, 관광 자원은 세계 어느 도시와 비교해 보아도 손색이 없다. 따라서 경주의 사회와 경제를 잘 분석한다면 경주의 발전 방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여기에서 문헌자료를 기초로 하고 답사를 통하여 직접 보고 느낀 점을 가지고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제시해 보았지만, 경주라는 도시를 모두 이해할 수 있었던 것은 아니다. 비록 이번 답사를 통해 경주의 사회와 경제를 몸으로 느끼면서 많은 것을 느꼈지만 부족한 점이 아직은 많은 것이다. 따라서 추후 경주 발전의 가능성에 대하여 지리적인 입장 외에도 다양한 분야의 의견을 수렴한다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경주시, 2007, 2007 경주시정, 경주시
이동희, 2001, “경주 구시가지 지구단위계획 : 노서동 일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이주현, 2006, “경주 불국사 일대 문화경관의 해석 : 1970년대 경주관광종합개발사업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인터넷자료]
경주시청 홈페이지 www.gyeongju.go.kr
경주문화예술관광 홈페이지 culture.gyeongju.go.kr
네이버 백과사전 월성 원자력 발전소 100.naver.com/100.nhn?docid=120920
연합뉴스 방폐장 관련기사
search.ytn.co.kr/ytn/view.php?s_mcd=0102&key=200604201117064606
search.ytn.co.kr/ytn/view.php?s_mcd=0103&key=200601080642488397
제주특별자치도청 홈페이지 www.jeju.go.kr
*목차
1. 서론
2. 경주의 사회와 경제
1) 인구
2) 산업
3. 결론
*참고문헌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10.02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25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