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풍의 한의학과 양의학 (비교)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풍의 한의학과 양의학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A.연구의 필요성

Ⅱ. 본론
A. 문헌고찰(pathology)
1. 질병의 정의 및 분류
2.질병의 원인
3.질병의 증상
4. 중풍 진단방법
5.치료
6. 간호
7.중풍예방 10대 수칙

본문내용

직이지 못하며 마비감이 있다
② 또는 두통이나 발열 오한 오풍이 있고 목에 담(痰)이 있어 천식소리가 그치지 않고 정신 이 맑지 못하다
③ 눈으로 볼 수만 있다거나 입으로 말만 할 수 있고, 대소변이 막힌다
④ 간혹 일정하지는 않지만 쓰러진다거나 정신이 혼미한 증상이 나타나고 일시적인 현기증 이나 어지러움이 보이며 의식이 모호하기도 하고, 한쪽으로는 구안와사가 있으며, 상 하 지가 마비되기도 한다
5) 중장(中臟)
① 갑자기 쓰러져서 인사불성이 되는데 그 발병이 매우 급박하여 생명이 위험하다
② 비교적 가벼운 증상 : 정신이 혼미해져 쓰러져서 수시간 혹은 수일 동안을 혼수상태에 있다가 깨어나면 의식이 점차로 회복된다.
③ 심한 증상 : 쓰러진 후에 다시 깨어나지 못하며 사망에까지 이른다
④ 가벼운 증상은 비록 의식을 회복하기는 하나 구안와사나 반신불수, 말을 더듬거나 침을 흘리는 것, 기억력 감퇴 등의 후유증을 남긴다
임상적으로 폐증(閉證)과 탈증(脫證)으로 구별할 수 있다
-폐증(閉證) : 실증에 속하는 경우가 많고, 쓰러진 후에 정신이 혼미하여 말을 못하거나 담이 목구멍에 많고, 얼굴색은 붉으며, 숨이 거칠고, 눈을 뜨지 못하며, 입을 굳게 다물고, 대소변이 막힌다. 한쪽으로 수족이 마비되고 다른 한측은 수족을 휘저으며 설태는 노랗고 건조하다.
-탈증(脫證) : 허증에 속하는 경우가 많고, 쓰러진 후에 혼수상태를 나타내며, 입은 벌어지고 손은 벌어져 있으며 코를 골기도 한다. 담소리가 들리며, 얼굴색은 창백하고 땀이 많이 나면서 오줌을 흘리고 손발은 차갑다. 설태는 엷고 하얗거나 반짝거리면서 붉기도 하다.
** 중풍4대증상(中風4大症)
① 편고증(偏枯症)
-기와혈이 허약하여 오는 반신마비증상에 따라 특징은 근육이 위축되고 관절에 통증이 오고 언어는 정상이고 정신도 혼란하지 않는다.
②풍비증(風痺症))
-정신이 맑고 신체 아픈곳이 없으며 4지가 운동장애가 있고 혹, 한쪽팔만 못쓰는 경우도 있다.
③풍의증(風懿症)
-갑자기 정신이 혼미해지고 졸도하면서 말이 잘 나오지 않고 목이 잠겨 가래 소리와 코고는 소리가 난다.
졸도한 후에 눈과 입이 삐뚤어 지면서 말을 못하고 몸이 늘어지고 땀이 나는 사람은 살수 있으나 몸이 뻣뻣해지고 땀이 안나는 사람은 치료되지 못한다 하였다.
④풍비증(風痺症)
-이 비증은 풍(風), 한(寒), 습(濕)의 합병으로 인한 음(陰)적인 병으로 치료하기 어렵고 중병에 속한다. 이병의 시발은 땀 난후에 풍한(風寒: 바람과 찬기운)이 인체에 상해를 주어 발생한다.
★양방
-손상된 혈관이나 뇌혈관의 관류에 따라 임상 증상이 매우 다양하다. 증상은 보통 여러 가지가 함께 나타난다. 두통은 지주막하 출혈이나 경색을 의미하는 징후일 수 있다. 자발성 지주막하 출혈로 인한 갑작스런, 심한 두통은 두 개내 낭성 뇌동맥류 또는 뇌동적맥 기형의 파열로 인한다. 이는 갑작스럽고 심한 두통, 뇌막자극 징후, 신경기능 손상을 초래한다. 몸 한쪽이나 양쪽의 저림, 쇠약 혹은 운동소실, 연하곤란, 실어증[표현성, 운동(수용성), 양측성], 시야손상(시야의 절반 소실), 인지능력의 변화와 심리적 장애, 자가간호결핍등이 나타난다.
4. 중풍 진단방법
★한방
1) 전조증상
손발이 저리거나 한쪽 팔다리가 무력해지는 환자
두통, 어지러움, 메스꺼움 등이 있는 환자
안면근육 및 팔다리의 근육이 떨리거나 감각이 저하된 환자
간혹 언어장애가 나타나는 환자
가슴이 답답하거나 아픈 환자
기억력이 갑자기 저하된 환자
2) 진찰 : 환자나 보호자를 통해 어떤 증상이 있었는지, 환자의 병력, 가족력을 조사하고 신경학적 검사를 통해 중풍의 유무를 확인
3) 설문지 작성, 체질검사 : 성격, 병적인 소인, 체질 등을 파악
4) 한방 진단
① Meridian(생기능 진료기)
: 내부 장기와 손발을 연결하는 생체 에너지의 통로를 국제언어로meridian이라 한다. 생기능 진료기는 손발의 에너지 반응점들을 통해 인체내부 장기들의 기능변화를 파악하고 재조정 해준다.
② 양도락
: 내장역할을 지배하고 있는 자율신경통로에 미량의 전기를 통과시켜 그 흐름의 정도를 보아 병의 유/무를 판단
③ T.C.D(초음파 뇌혈류 검사)
: 비 침습적으로 뇌속의 각 혈관의 모양과 혈류속도를 측정함으로써 뇌혈관의 협착, 폐쇄 또는 다른 혈류상의 장애요인을 발견
④생체혈액검사
: 특수 현미경을 이용하여 혈액 속에 있는 물질의 형태 등을 검사하여 체내 면역상태와 질병을 진단.
5) 특수 촬영 - 컴퓨터단층촬영(CT)이나 자기공명영상촬영(MRI)으로 중풍 여부를 검사. 자
기공명뇌혈관촬영기(MRA)나 초음파혈류측정기(TCD)
6) 일반검사 - 혈액검사, 흉부 X선 검사, 소변검사등을 통해 기저질환을 진단
7) 검사 순서
설문지 작성, 체질검사 - 성격, 병적인 소인, 체질 등을 파악
X-ray, 혈액 검사, 심전도 검사- 중풍을 유발하는 당뇨, 고지혈증, 심장질환 및 다혈구
등의 위험요소를 찾아낸다.
컴퓨터 맥진, 컴퓨터 양도락, 뇌혈류 진단 - 한의학적인 변증에 의해 중풍의 가능성을
알아내고 현재의 증상을 눈으로 확인
뇌 전산화 단층 촬영 (CT) - 해부학적인 뇌손상 부위를 알 수 있다.
★양방
① 경동맥 초음파촬영- 경동맥 협착 검사
② CT촬영- 출혈과 경색을 구분한다.
③ 혈관조영술- 혈관의 병인을 밝힌다.
④ PET, MRI는 허혈성 손상을 국소화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5.치료
★한방
☞약물치료
<고전처방>
① 정신을 잃었을 때는 우황청심환을 쓴다
② 뇌출혈의 남은 증세에는 소속명탕을 쓴다
③ 얼굴에 신경마비가 온 때에는 견정산, 이기거풍산을 쓴다
④ 손발을 잘 쓰지 못하여 몹시 저릴 때에는 소풍탕을 쓴다
⑤ 언어장애 증세가 있을 때에는 지황음자 1, 도담탕을 쓴다
1) 중풍전구증
강활유풍탕 - 풍사를 헤치고 경맥을 통하게 하며 영위를 고르게 하고 간신을 보하여 중풍 을 미리 막게 한다
천마환 - 풍사를 없애고 피를 보하며 영, 위를 잘 돌게 하고 근골을 든든하게 한다
고혈압병, 신경쇠약, 팔다리의 지각 장애 때 쓸 수 있다
2) 졸중풍
우황청심환(牛黃淸心元) - 기혈을 보하고 표와 이의 열을 내리며 정신을 말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8.10.06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32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