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형설계학 프레스금형설계제도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금형설계학 프레스금형설계제도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프레스금형 설계제도법

2.프레스금형의 표준화

3.금형도면의 제도법

4.금형부품의 구조

본문내용

6.6, 11×10은 6.6의 드릴 구멍이며, 11로 깊이 10의 카운터 보링이 4군데라는 표현이다. 2- 6H7은 6 맞춤핀의 H7급 구멍이 2군데라는 의미이다. 2-M6×18은 M6의 탭으로 18mm깊이까지 이평면도의 뒤쪽에서 2군데라는 표현이다.
볼트, 맞춤핀, 탭, 펀치등의 구멍이 하나의 금형부품에 많이 존재하고 또한 그들의 도형만으로 구별하는데 혼동이 클 경우는 각 구멍의 가까이에 A, B, C.......,또는○,×,△등의 표를 붙여서 표시한다. (지시선 위의 일일이 써 넣어 주면 편리하다.)
8)왼쪽. 오른쪽의 방향만 다르고 기본형상이 같은 부품의 경우에는 그들을 대칭시켜서 도형을 그리고 그한쪽의 부품에 치수를 기입하고, 다른 한쪽의 대칭인 금형 부품에는, 「가공방향이 다름에 주위」 라는 주기를 기재하고 치수는 기입하지 않는다.
9)치수표시 기준에서 가공한 나머지 중요하지 않은 부분은 치수는 생략하여도 좋지만, 기입할 경우는 ( )를 붙여서 표시한다.
10)치수 기입은 그 금형 부품을 대표하는 도형(정면도 또는 평면도)에 가능한한 집중하고 거기에 표시할 수 없는 치수만 다른 도면에 기입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1)금형 공작법을 금형 부품도에 표시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가공을 위한 임시 생크,
가공 후에 깎아버리는 부가(덧붙기) 재료 등 상상선으로 그려도 좋다 보통 그 상상선은 중간 굵기의 2점쇄선이 좋다.
12)금형 부품을 직접 측정이 불가능 또는 부정확할 때 측정 볼이나 롤러 등의 측정 부품을 금형 부품에 그려 넣고 측정법을 명시하여도 좋다.
13)금형 부품의 일부분에 특수 가공 또는 처리를 필요로 하는 경우는 필요한 부분의 구간 화살표로 하고. 그 가공이나 처리 방법을 기입한다.
14)부품도마다, 부품번호, 필요개수, 척도, 재질, 표면처리(경도를 표시할 경우가 많다)를 첨부하여 기입한다.
15)금형용 표준부품은 도형으로 표시하지 않고, 호칭명과 주치수 호칭으로 표시함.
① 6각 홈붙이 볼트는 호칭명과 나사지름×머리 아래의 볼트 길이로 표시한다.
② 맞춤핀은 호칭명과 끼워맞춤 기호에 연속하여 호칭지름×전체 길이로 표시한다.
③ 기타 표준 부품은 KS 규격의 표시방법을 준용한다.
16)코일 스프링의 조립의 표시는 약식 제도로 한다. 평행 두줄의 2점쇄선은 외경치수 이다. 부품도는 작성 하지 않으며, 주요 치수값의 호칭으로 표시 한다. 그것은 외경, 선지름, 자유길이, 유효 코일수나 또는 외경 자유길이, 디플렉션의 단위 길이에 대한 하중이다.
2. 프레스금형의 표준화
2.1 프레스금형의 합리적 설계 및 제작
프레스 가공제품을 얻는데 있어서 금형은 품질, 원가 및 납기 등에 있어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들의 제한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보다 합리적인 금형의 설계와 제작이 필요한 것이다.
금형은 설계 및 제작기간이 보다 빠르고, 보다 값싼 것이 요구되고 있다.
금형은 제품의 종류 및 가공방법 등에 따라 다양하며, 지금까지는 설계 및 제작에 많은 경험과 숙련이 필요하다고 하고 있다.
그러나, 금형의 설계와 제작에 있어 기술의 진보는 눈부시고, 표준화, NC화 CAD/CAM등 종래의 경험이나 숙련만으로는 대처할 수 없는 부분도 많이 있다는 것을 깊이 인식하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금형을 잘 설계하려면 필요한 기초적인 지식을 잘 알아두어야 한다.
프레스가공제품은 단공정 가공으로 만들어지는 것은 드물고, 몇 가지의 가공법을 조합해서 하나의 제품을 얻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프레스 가공제품을 얻으려면 제품을 몇 개의 공정으로 분할하여 가공한다. 분할한 공정에 대하여 각각의 금형을 만드는 경우와 공정을 몇 개로 조합하여 하나의 금형으로 만드는 것도 있다.
프레스제품을 보고 어떤 가공법을 사용하는지. 어떤 공정으로 이루어지는가를 판단하고 금형을 구상하는 것이 금형설계와 제작에서 가장 어려운 일이라고 말할 수 있다.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프레스가공의 종류, 프레스가공법, 금형의 역할 등을 잘 알아두는 것이 중요하다. 설계의 구상을 구체화하기 위해서는 공정도를 작성할 필요가 있다.
금형도면의 제도법을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프레스금형 설계의 흐름을 알고 그 과정에서 필요시 되는 도면의 제도법과 특징을 잘 알아두어야 한다.
금형은 펀치,다이 등의 주요부품 이외에도 많은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부품의사용 목적을 분명하게 알아야한다. 가공의 내용과 방법에 따라 부품의 형상과 배치가 바뀌고,각기 다른 금형구조가 될 수 있다. 금형의 기본적인 구조와 부품의 기능을 이해하면 여러 가지 다양한 금형에 응용할 수 있는 기초가 된다.
(표준화의 목적이나 순서의 개요, 금형제작의 순서가 어떻게 되는 가 등...)
2.1-1 프레스가공의 종류와 특징
프레스가공은 왕복운동을 주로 하는 프레스 기계 등의 가공기계와 형공구를 사용 하여 금속 및 여러 가지 재료의 일부 또는 전체에 영구변형(소성변형)을 주어, 분리,성형, 및 집합 등을 행하는 가공법을 말한다.
분리, 성형, 접합을 프레스가공의 대분류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 그것들은 더욱 중,세분류로 구분하여 가각의 고유 명칭이 붙여지고 있다.
분리가공은 재료에 전단력을 가하고 파단형상을 이용하는 가공법으로 전단가공된 재료의 절단면에는 시어 드루프면-전단면-파단면-버가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제품에 대해서는 이면의 상태가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도 있어 그것을 개선한 방법으로 셰이빙가공, 정밀 블랭킹, 다듬질 블랭킹 등의 가공이 있다.
성형가공에는 벤딩, 드로잉, 포밍, 및 구멍 플랜지성형, 플랜지성형과 같이 기초소재의 형상을 크게 변화해서 형상을 만드는 방법이 있다. 전자는 금형의 형상에 가깝도록 밀어넣어 필요한 형상을 만드는 가공이고 후자는 점토세공처럼 재료를 심하게 변형시켜 금형의 형상에 따르게 하는 가공이라고 비교 할 수 있다.
성형가공에서는 포밍 구멍플랜지성형 및 플랜성형과 드로잉의 일부를 좁은 의미의 성형이라고 하는데, 일반적으로 성형이라고 부르는 경우에는 좁은 의미의 성형으로 판단 하는 것 이 적당한 경우가 많다.
접합가공은 두 개이상의 부품을 일체화하거나, 판재를 파이프 모양으로 만들기위하여 접합하는 등의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8.10.08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37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