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방언의 槪念
1. 한 나라의 국어를 의미하는 개념
2. 표준적인 언어 형식에서 이탈된 ‘사투리’라는 개념
3. 한 나라 안의 지방적 차이가 있는 언어의 개념
4. 표준어에 대한 상대적 개념
5. 의사소통과 국가를 기준으로 하는 개념
Ⅲ. 방언의 特徵
1. 유지성
2. 혼합성
3. 통일성
Ⅳ. 방언과 표준어
1. 비표준어 개념으로서의 방언
2. 언어의 하위개념으로서의 방언
Ⅴ. 방언의 종류
1. 지역방언(地域方言)
2. 사회방언(社會方言)
Ⅵ. 방언의 音韻
1. 음운 체계
2. 음운 변이
Ⅶ. 지역별 방언의 特徵
1. 방언의 지역 구분
1) 경상도 방언의 특징
2) 전라도 방언의 특징
3) 충청도 방언의 특징
4) 제주도 방언의 특징
5) 강원도 방언의 특징
Ⅸ. 경상북도 방언의 分類
1. 남부지역
2. 북부지역
3. 서북부지역
Ⅹ. 경상북도 방언 음운의 特徵
1. 모음체계
2. 자음체계
3. 성조
4. 구개음화 현상
5. 움라우트 현상
6. 전설모음화 현상
7. 어두경음화 현상
8. e > i 현상
9. 동사어간과 부사형어미 ‘-아’가 합쳐질 때의 현상
10. 동사 어간과 어미 ‘-아’가 통합될 때의 음운현상
11. 기타
Ⅺ. 경상도 방언형(북도)
Ⅻ. 표준어와 방언의 價値
표준어와 방언의 差異點
맺는말
※ 참고문헌
Ⅱ. 방언의 槪念
1. 한 나라의 국어를 의미하는 개념
2. 표준적인 언어 형식에서 이탈된 ‘사투리’라는 개념
3. 한 나라 안의 지방적 차이가 있는 언어의 개념
4. 표준어에 대한 상대적 개념
5. 의사소통과 국가를 기준으로 하는 개념
Ⅲ. 방언의 特徵
1. 유지성
2. 혼합성
3. 통일성
Ⅳ. 방언과 표준어
1. 비표준어 개념으로서의 방언
2. 언어의 하위개념으로서의 방언
Ⅴ. 방언의 종류
1. 지역방언(地域方言)
2. 사회방언(社會方言)
Ⅵ. 방언의 音韻
1. 음운 체계
2. 음운 변이
Ⅶ. 지역별 방언의 特徵
1. 방언의 지역 구분
1) 경상도 방언의 특징
2) 전라도 방언의 특징
3) 충청도 방언의 특징
4) 제주도 방언의 특징
5) 강원도 방언의 특징
Ⅸ. 경상북도 방언의 分類
1. 남부지역
2. 북부지역
3. 서북부지역
Ⅹ. 경상북도 방언 음운의 特徵
1. 모음체계
2. 자음체계
3. 성조
4. 구개음화 현상
5. 움라우트 현상
6. 전설모음화 현상
7. 어두경음화 현상
8. e > i 현상
9. 동사어간과 부사형어미 ‘-아’가 합쳐질 때의 현상
10. 동사 어간과 어미 ‘-아’가 통합될 때의 음운현상
11. 기타
Ⅺ. 경상도 방언형(북도)
Ⅻ. 표준어와 방언의 價値
표준어와 방언의 差異點
맺는말
※ 참고문헌
본문내용
“割子蓋→ 가■→가ㅇㆎ→가위” 같은 공식을 얻었다. 경상도방언에서의 이른바 ‘ ㅂ 변칙용언’ 인 “추버, 더버” 등에서 “ ㅂ→ㅸ→오/우”와 같은 변천도 알아낼 수 있다.
Ⅶ. 지역별 방언의 특징
1. 방언의 지역 구분
우리나라는 남북으로 길게 뻗어 반도를 형성하고 동서의 산맥 따라 8도의 지역으로 나뉘어 오랜 세월동안 단일민족으로써 우리말 하나로 함께 살아왔다. 그러나 남북의 기온차가 심하고 동서의 햇살의 쪼임에 따른 일조시수의 차로 날씨가 다르며 바람과 비, 눈 그리고 바닷물의 민물, 썰물 시차 등으로 기후가 달라 삼라만상을 이룩하여 아열대와 온대, 한대지역을 이루어 사람의 생활과 말씨가 조금씩 다르게 전래되어 왔다. 우리나라의 말씨에 생겨난 지방의 근원을 살펴보면 백제가 서기 660년, 고구려가 668년에 멸망하고 그해의 문문왕 8년 신라는 삼국을 통일하였으며 그 후 685년 동서남북의 지방을 나누어 9주를 두었는데 우리 거제도는 양주에 속하는 상주군이라 하였다. 995년 9주를 10도로 나누거나 폐합을 하였다.
1. 관북(關北) : 함경북도
2. 관남(關南) : 함경남도
3. 관서(關西) : 평안도, 황해도
4. 영동(嶺東) : 경주, 금주, 강원도 동쪽
5. 영서(嶺西) : 강원도의 서쪽
6. 영남(嶺南) : 경상도의 중부
7. 산남(山南) : 진주 지방
8. 호서(湖西) : 충청도 속 : 호중(湖中)
9. 호남(湖南) : 전라도
10. 중부(中部) : 경기도
1314년 8도로 개편하였는데 관북과 관남을 함경도로, 영남과 산남을 경상도로, 영동과 영서를 강원도로 관서의 황해도를 분리 독립시켰다. 따라서 우리말이 남북과 동서 그리고 8도가 다르며 바다 건너 제주도는 특유의 사투리가 많으며 각 지방의 말씨는 빠르거나, 느리거나, 딱딱하거나, 무뚝뚝한 반면 중부지방의 상냥하고 부드러운 방언들을 정립하여 표준말을 제정하였지만 토착민의 늙은이는 아직 사투리를 일상생활의 통용어로 하는 곳이 많이 있다.
1) 경상도 방언의 특징
중간음 [--]은 주로 명사의 경우에는 [--] 음을, 형용사, 부사의 경우에는 [-β] 음을 많이 유지하고 있어 [-->-β->ㅇ]의 발달을 보여주고 있는데, 동일한 환경에서 순경음화되지 않는 것이 있어 원시 국어에는 두 종류의 \'ㅂ\' 음이 존재했었으리라는 추측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중간음 [--] 가 원래는 어떤 접미사가 음운적인 조건에 따라 탈락, 축소의 경로를 겪는 도중에 그 접미사의 한 유형으로서 [--] 또는 [-β-] 음으로 남아 유지되는 경우(예를 들면 \'쓰다\'(苦), \'짜다\'(감), \'차다\'(寒) 등)도 있여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많다. 결론적으로 어중자음군의 형성으로 인하여 원시 국어는 VC 어 주목된다.
외에도 이음절, 삼음절의 초성에서 \'\' \'-ㅂ\'음이 발견되는데, 어느 경우에는 분명한 \'\' \'-ㅂ으로 남아 있으나 어느 경우에는 다분히 약화되어 약간의 비음만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다.
또 어떤 경우 아무 흔적도 없이 완전 탈락하는 경우도 있기에 이 지방 방언의 경우 [-ㅂ-] 음은 점차로 약화 탈락의 음운 발전 과정에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어중자음군은 동사나 형용사의 어간 말음이 두 개의 받침이 되는 경우와 체언의 어말음이 두 개의 받침이 되는 경우이다.
두개의 받침을 가진 용언의 어간 말음이 모음이 아닌 자음으로 시작되는 어미가 연속되는 경우, 국어 방언에서는 그 두 개의 받침 중 어느 것이든 하나만 발음된다. 체언의 어말음의 경우에도 이와 같다.
경상도 방언에서는 이와 같은 규칙이 엄격히 지켜지고 있다.
예를들어 유음과 파열음이 결합하는 \'\' \'\' \'ㄿ\'의 경우 대구를 중심으로 한 경상북도 지방은 \'ㄹ\'로 발음하고 경상남도 지방은 \'ㄱ\'과 \'ㅂ\'으로, 그리고 \'ㄿ\'의 경우는 \'ㄹ\'로만 발음하고 있다.
어중자음군은 주로 2음절 이하의 음절에 있어서 모음 탈락으로 인하또는 CV 음절의 연속으로 이루어졌으리라는 추측이 가능하게 된다.
이밖에 경상도 방언에는 \'ㄱ ㄷ ㅂ ㅅ ㅈ\' 이 어두자음인 경우 농음화 되는 경향이 있다.
다만 \'ㅅ\'이 어두자음인 경우 대구를 중심으로 한 경산, 청도, 밀양, 영덕 등지에서는 농음화를 피하고 있다.
경상도 방언의 농음화 현상은 현 중앙어에 비해서 광범위하게 발달 되어 있다.
이러한 농음화 현상은 경상도 방언의 독자적인 발달이 아니라 국어의 일반적인 경향과 관계가 있으며, 또한 선진적인 발달을 수행하고 있는 것이다.
2) 전라도 방언의 특징
전남방언의 자음 체계는 표준어와 별 차이가 없으나, 모음에서는 단모음 9개와 중모음 8개의 체계로 되어있다.
이는 같은 전남방언이라도 동부전남의 단모음 10개와 중모음 10개와는 다르다.
영광방언에서 소실자 \', , \' 등의 음운을 보유하고 있다.
\'\'는 \'ㅏ, ㅗ, ㅓ, ㅜ, ㅣ, ㅐ\' 등으로 실현되며, 첫음절에서는 \'ㅏ\'로, 둘째 음절 이하에서는 \'ㅓ, ㅜ, ㅡ, ㅣ, ㅐ\' 등으로, 특히 설음, 순음, 치음 아래에서는 \'ㅗ\'로 실현된다.
\'\'는 마실모실, 모솔(村), 가실가슬(秋) 등의 명사와, 짓다(作), 낫다등의 용언에서 정칙으로 \'ㅅ\' 소리로 실현된다.
\'\'은 새비(새우), 버버리(啞) 등으로 실현되고 있다.
그외 모음현상(단모음, 중모음, 움라우트, 관습적 현상)과 자음현상(구개음화, 경음화, 격음화, 중간자음, 자음첨가, 자음교체), 모음탈락 등이 나타나는데 이는 주로 노력 경제의 원칙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받침소리에서 둘 받침이 연음될 때에는 표준어와 달리 나타나는데, \'ㄱ, , ㅋ\'은 \'ㄱ\'으로, \'ㄹ, , \'은 \'ㄹ\'로, \'ㅂ, , ㅍ\'은 \'ㅂ\'으로, \'ㅅ, ㅈ, ㅊ, ㅌ\'은 \'ㅅ\'으로 실현된다.
\'자리(case)\'를 나타내는 자리토씨, 체언과 체언을 잇는 이음토씨, 자신의 독특한 의미를 갖는 도움토씨, 그리고 특이하게 문장 뒤에 나타나는 토씨들이다.
3) 충청도 방언의 특징
1.문장의 맨마지막 단어의 끝말이 \'ㅐ\'나 \'ㅔ\'로끝나면 \'ㅑ\'로 바꾸어 말한다.
ex) 그랬데 → (그랬댜~)/ 피곤해 → (피곤햐~)/
쟤가 뭐래? → (쟈가 뭐랴~?, 쟤 → 쟈)
ex) 뱀에게 물렸데 → (
Ⅶ. 지역별 방언의 특징
1. 방언의 지역 구분
우리나라는 남북으로 길게 뻗어 반도를 형성하고 동서의 산맥 따라 8도의 지역으로 나뉘어 오랜 세월동안 단일민족으로써 우리말 하나로 함께 살아왔다. 그러나 남북의 기온차가 심하고 동서의 햇살의 쪼임에 따른 일조시수의 차로 날씨가 다르며 바람과 비, 눈 그리고 바닷물의 민물, 썰물 시차 등으로 기후가 달라 삼라만상을 이룩하여 아열대와 온대, 한대지역을 이루어 사람의 생활과 말씨가 조금씩 다르게 전래되어 왔다. 우리나라의 말씨에 생겨난 지방의 근원을 살펴보면 백제가 서기 660년, 고구려가 668년에 멸망하고 그해의 문문왕 8년 신라는 삼국을 통일하였으며 그 후 685년 동서남북의 지방을 나누어 9주를 두었는데 우리 거제도는 양주에 속하는 상주군이라 하였다. 995년 9주를 10도로 나누거나 폐합을 하였다.
1. 관북(關北) : 함경북도
2. 관남(關南) : 함경남도
3. 관서(關西) : 평안도, 황해도
4. 영동(嶺東) : 경주, 금주, 강원도 동쪽
5. 영서(嶺西) : 강원도의 서쪽
6. 영남(嶺南) : 경상도의 중부
7. 산남(山南) : 진주 지방
8. 호서(湖西) : 충청도 속 : 호중(湖中)
9. 호남(湖南) : 전라도
10. 중부(中部) : 경기도
1314년 8도로 개편하였는데 관북과 관남을 함경도로, 영남과 산남을 경상도로, 영동과 영서를 강원도로 관서의 황해도를 분리 독립시켰다. 따라서 우리말이 남북과 동서 그리고 8도가 다르며 바다 건너 제주도는 특유의 사투리가 많으며 각 지방의 말씨는 빠르거나, 느리거나, 딱딱하거나, 무뚝뚝한 반면 중부지방의 상냥하고 부드러운 방언들을 정립하여 표준말을 제정하였지만 토착민의 늙은이는 아직 사투리를 일상생활의 통용어로 하는 곳이 많이 있다.
1) 경상도 방언의 특징
중간음 [--]은 주로 명사의 경우에는 [--] 음을, 형용사, 부사의 경우에는 [-β] 음을 많이 유지하고 있어 [-->-β->ㅇ]의 발달을 보여주고 있는데, 동일한 환경에서 순경음화되지 않는 것이 있어 원시 국어에는 두 종류의 \'ㅂ\' 음이 존재했었으리라는 추측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중간음 [--] 가 원래는 어떤 접미사가 음운적인 조건에 따라 탈락, 축소의 경로를 겪는 도중에 그 접미사의 한 유형으로서 [--] 또는 [-β-] 음으로 남아 유지되는 경우(예를 들면 \'쓰다\'(苦), \'짜다\'(감), \'차다\'(寒) 등)도 있여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많다. 결론적으로 어중자음군의 형성으로 인하여 원시 국어는 VC 어 주목된다.
외에도 이음절, 삼음절의 초성에서 \'\' \'-ㅂ\'음이 발견되는데, 어느 경우에는 분명한 \'\' \'-ㅂ으로 남아 있으나 어느 경우에는 다분히 약화되어 약간의 비음만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다.
또 어떤 경우 아무 흔적도 없이 완전 탈락하는 경우도 있기에 이 지방 방언의 경우 [-ㅂ-] 음은 점차로 약화 탈락의 음운 발전 과정에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어중자음군은 동사나 형용사의 어간 말음이 두 개의 받침이 되는 경우와 체언의 어말음이 두 개의 받침이 되는 경우이다.
두개의 받침을 가진 용언의 어간 말음이 모음이 아닌 자음으로 시작되는 어미가 연속되는 경우, 국어 방언에서는 그 두 개의 받침 중 어느 것이든 하나만 발음된다. 체언의 어말음의 경우에도 이와 같다.
경상도 방언에서는 이와 같은 규칙이 엄격히 지켜지고 있다.
예를들어 유음과 파열음이 결합하는 \'\' \'\' \'ㄿ\'의 경우 대구를 중심으로 한 경상북도 지방은 \'ㄹ\'로 발음하고 경상남도 지방은 \'ㄱ\'과 \'ㅂ\'으로, 그리고 \'ㄿ\'의 경우는 \'ㄹ\'로만 발음하고 있다.
어중자음군은 주로 2음절 이하의 음절에 있어서 모음 탈락으로 인하또는 CV 음절의 연속으로 이루어졌으리라는 추측이 가능하게 된다.
이밖에 경상도 방언에는 \'ㄱ ㄷ ㅂ ㅅ ㅈ\' 이 어두자음인 경우 농음화 되는 경향이 있다.
다만 \'ㅅ\'이 어두자음인 경우 대구를 중심으로 한 경산, 청도, 밀양, 영덕 등지에서는 농음화를 피하고 있다.
경상도 방언의 농음화 현상은 현 중앙어에 비해서 광범위하게 발달 되어 있다.
이러한 농음화 현상은 경상도 방언의 독자적인 발달이 아니라 국어의 일반적인 경향과 관계가 있으며, 또한 선진적인 발달을 수행하고 있는 것이다.
2) 전라도 방언의 특징
전남방언의 자음 체계는 표준어와 별 차이가 없으나, 모음에서는 단모음 9개와 중모음 8개의 체계로 되어있다.
이는 같은 전남방언이라도 동부전남의 단모음 10개와 중모음 10개와는 다르다.
영광방언에서 소실자 \', , \' 등의 음운을 보유하고 있다.
\'\'는 \'ㅏ, ㅗ, ㅓ, ㅜ, ㅣ, ㅐ\' 등으로 실현되며, 첫음절에서는 \'ㅏ\'로, 둘째 음절 이하에서는 \'ㅓ, ㅜ, ㅡ, ㅣ, ㅐ\' 등으로, 특히 설음, 순음, 치음 아래에서는 \'ㅗ\'로 실현된다.
\'\'는 마실모실, 모솔(村), 가실가슬(秋) 등의 명사와, 짓다(作), 낫다등의 용언에서 정칙으로 \'ㅅ\' 소리로 실현된다.
\'\'은 새비(새우), 버버리(啞) 등으로 실현되고 있다.
그외 모음현상(단모음, 중모음, 움라우트, 관습적 현상)과 자음현상(구개음화, 경음화, 격음화, 중간자음, 자음첨가, 자음교체), 모음탈락 등이 나타나는데 이는 주로 노력 경제의 원칙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받침소리에서 둘 받침이 연음될 때에는 표준어와 달리 나타나는데, \'ㄱ, , ㅋ\'은 \'ㄱ\'으로, \'ㄹ, , \'은 \'ㄹ\'로, \'ㅂ, , ㅍ\'은 \'ㅂ\'으로, \'ㅅ, ㅈ, ㅊ, ㅌ\'은 \'ㅅ\'으로 실현된다.
\'자리(case)\'를 나타내는 자리토씨, 체언과 체언을 잇는 이음토씨, 자신의 독특한 의미를 갖는 도움토씨, 그리고 특이하게 문장 뒤에 나타나는 토씨들이다.
3) 충청도 방언의 특징
1.문장의 맨마지막 단어의 끝말이 \'ㅐ\'나 \'ㅔ\'로끝나면 \'ㅑ\'로 바꾸어 말한다.
ex) 그랬데 → (그랬댜~)/ 피곤해 → (피곤햐~)/
쟤가 뭐래? → (쟈가 뭐랴~?, 쟤 → 쟈)
ex) 뱀에게 물렸데 → (
키워드
추천자료
지역사회의 개념 [인문과학]
전통의 개념과 재해석
심상치료 개념과 특징 및 치료이론과 주의사항 조사분석
문화의 개념, 정의, 분류, 문화의 여러 측면, 문화 속성, 문화 상대주의, 문화 보편성, 특수...
경영전략의 개념
사회복지정책의 개념을 서술하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
사회복지실천의 중심개념인 환경속의 인간에 대해 설명하시오.
아동문학의 개념과 아동문학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교육적 가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시오 : ...
사회보험의 개념과 특성
치매의 개념과 정의, 치매의 원인(요인) 및 분류(종류) - 뇌신경성의 퇴행성 변화에 의한 일...
스트레스의 개념과 원리, 스트레스의 평가, 발달단계별 스트레스(유아기, 학령기, 사춘기, 청...
교과서의 개념과 성격,교과서의 위상과 기능,교과서의 기능,교수 학습 방법과 교과서 체제
지역사회간호학-건강증진- 개념, 역사, 원칙
아동문학의 개념을 설명하고 아동문학의 조건 및 언어활동의 기능과 독자반응 이론 및 원형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