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의 선정성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TV의 선정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 방송의 선정성 대한 문제점 제시

2. 본론
1)방송 프로그램들의 선정성 실태
2)방송 등급 표시
3)방송 프로그램들의 선정성
(1)드라마의 선정성
(2)오락 프로그램의 선정성
(3)뉴스의 선정성과 폭력성
(4)대중음악의 선정성
4)방송의 선정성과 시청률과의 관계

3.결론 - 방송이 나아가야 할 방향.

*참고자료

본문내용

수 있는 부적절한 가사 때문이었다. ‘take two’의 경우 가사중 ‘머저리같은 네가’ ‘깡통같은 자식들’ ‘더럽게 굴지마’ ‘내 마이크에 껌을 붙여놨다’ 등의 가사가 청소년들의 정서를 해칠수 있는 유해한 용어 란 지적을 받았다.
이 외에도 방송불가 판정을 받은 곡들은 굉장히 많다. 예를 들어 DJ.DOC의 L.I.E 에서는 “씨발아 집어쳐라 닥쳐라, 저리 꺼져라”와 같은 비속거가 거침없이 반복되어있으며 박지윤의 할줄알아 에서는 “할줄알어 할수있어 내가 소리를 아 지르게 만들수있어” 라는 선정적인 가사로 방송불가 판정을 받았었다.
②방송불가 판정 : 뮤직 비디오
사례 1. “죽어도 좋아” 뮤직 비디오.
“죽어도 좋아” 뮤직 비디오 방송 불가판정.
18세 상영가 판정을 받은 영화 <죽어도 좋아>의 뮤직비디오는 방송불가 판정을 받았다. 공중파 방송국 중 MBC를 제외한 KBS와 SBS에서 방송불가 판정을받은 <죽어도 좋아 >의 뮤직비디오는 영화의 엔딩타이틀인 MK. Shin이 부른 랩음악 \"Too young to die\" 에 영화<죽어도 좋아 >의 영상을 사용한 뮤직비디오이다. <죽어도 좋아 > 뮤직비디오에 방송불가 판정을 내린 KBS측은 \'첫째, <죽어도 좋아>라는 자막이 없어야 한다. 둘째, 카메라의 상표가 보인다. 셋째, 선정적이다.\'라는 이유로 방송불가 판정을, SBS측은 \'달력에 낯거리라고 표기하는 부분과 문틈사이로 보이는 할아버지와 할머니의 첫날밤 장면, 즉 속옷 차림으로 할아버지가 할머니를 사랑하려고 하는 느낌의 장면이 불특정 다수가 볼 수 있는 TV를 통해서 방송이 된다면 TV를 시청하는 청소년들에게 유해할 수 있기 때문\'에 방송불가 판정을 내린다며 그 이유를 밝혔다. SBS측은 이에 덧붙여 \'할아버지와 할머니의 가벼운 스킨쉽이나 뽀뽀 장면들은 예쁘게 봐줄 수 있다\'고 얘기했다. 18세 이상 상영가 판정을 받으며 국민적인 지지를 얻었던 영화<죽어도 좋아 >가 뮤직비디오 심의에서도 이같은 난관을 겪자 이를 예상하지 못했던 음반제작사 M&F의 한 관계자는 \'불륜을 다룬 TV드라마에서 이보다 훨씬 심한 강도로 사랑의 수위를 묘사한 것은 방영이 되고 국내를 넘어 세계에서 인정받은 영화 <죽어도좋아>의 뮤직비디오가 방송심의를 통과하지 못한 것은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말하기도 했다고 한다. 하지만 뮤직 비디오는 공중파 방송 뿐만 아니라 음악전문 프로그램. 그리고 공공장소에서도 보여질 수 있는 매체이기 때문에 지나치게 선정성인 내용은 방송하지 말아야 할 것이며, 방송사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 할 것이다.
사례2. 러브홀릭 2집 뮤직 비디오.
러브홀릭의 \'SKY\' 뮤직비디오가 방송 3사 심의에서 지나치게 폭력적이어서 방송에 적합하지 않다는 판정을 받았다. 문제가 된 부분은 뮤직비디오 중 피가 흐르는 장면으로, 여자 주인공이 피가 흥건히 젖은 채 쓰러져 있는 모습이나, 남자 주인공이 이마에 피범벅이 된 채 총을 맞아 죽는 장면 등이, 폭력적이라는 지적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③방송불가 판정 : 무대연출
듀크 \'섹스안무\' 방송불가…KBS 새앨범 모두 불가
듀크가 4집을 공개하는 첫 방송무대에서 성행위를 묘사하는 춤을 선보여 결국 편집되는 소동을 일으켰었다. 신곡 \'헌터스\'를 부르며 여성 댄서 위에 겹쳐 누워 성행위를 연상케 하는 춤을 연출했기 때문이었다. 제작진은 너무 노골적이고 선정적인 이 장면을 결국 삭제하고 편집해 방송을 했었다.
대중가요란 말 그래도 대중이 모두 즐길 수 있는 음악이다. 하지만 요즘 가요프로그램에서는 민망한 장면들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여자가수들은 신체적 노출이 굉장히 심한 옷을 입고 나와 무대에 서고, 안무도 성적인 이미지를 강조한 선정적인면을 부각시켜 보여주기도 한다. 하지만 가요프로그램을 가장 즐겨보는 시청자층은 청소년인만큼 방송사에서는 적절한 수위를 조절해야 할 필요가 있다. 물론 표현은 자유는 보장되어야겠지만 불필요한 선정성을 통한 표현의 자유는 어느정도 제한되어야 할 것이다.
4)방송의 선정성과 시청률과의 관계
우리는 선정적인 방송의 시청률은 높다고 생각 할 수 있다. 하지만 한국 방송 진흥회에 따르면 일반의 통념 또는 주장과는 달리 선정성, 폭력성이 시청률을 증가시킨다는 주장을 뒷받칠만할 통계적 근거는 찾을 수 없다고 한다. 방송위 심의 제재를 받은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심의제제를 받을 정도의 선정성과 폭력성을 가진 프로그램일지라도 시청률이 높지 않음알아냈다고 한다. 선정적인 부분이 나오는 곳에서는 순간 시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10.12
  • 저작시기200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47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