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신화의 정의
2. 신화의 기원
3. 중국신화의 특징
4. 중국신화와 신화서
5. 중국신화의 종류
6. 중국신화 속 인물들
7. 신화의 현실 속 용례
8. 중국신화 속 인물과 디지털 언어
2. 신화의 기원
3. 중국신화의 특징
4. 중국신화와 신화서
5. 중국신화의 종류
6. 중국신화 속 인물들
7. 신화의 현실 속 용례
8. 중국신화 속 인물과 디지털 언어
본문내용
서 고치고, 기울어진 땅을 바로잡기 위해 바다에 사는 거북이에게 네 다리를 얻어 그것으로 사방의 땅을 고여 바로잡아 놨다. 좀 서두르는 바람에 중국의 서북쪽은 높고 동남쪽은 우묵하게 낮은 이유가 되었다.
4) 만화 <봉신연의>
(1) 원시천존
곤륜의 교주로 옥허궁에 거주한다. 태공망의 스승. [봉신계획]을 세운 후 태공망에게 실행토록 했다. 별 할 일 없이 보이지만 하는 일도 많고 엄청나게 강하다.
보패 : 반고번
< 신화에서 원시천존 >
천존이란 도교의 고귀한 천신에 대한 존칭이다. 천존 중에서도 삼청이 가장 존귀한 존재로 도교의 최고위의 3신이다. 그리고 원시천존은 이 삼청중 제일신으로써 도교의 신 들 중 가장 높은 위치에 있다. 원시천존은 중국탄생신화에서 세상을 창조한 반고와 신성한 여자인 태원성녀의 아들이라고 한다. 신화에서는 반고가 천지를 구분하고 해와 달을 만든 뒤 공중을 기분 좋게 날아다니다가 공중에 있는 태원성녀를 보고 정결한 그녀를 좋아하여 그녀가 하늘을 보며 숨을 들이 쉴 때 한줄기 빛으로 변해 그녀의 입으로 들어갔다가 그녀의 등뼈 사이로 빠져나왔다고 한다. 그리고 등뼈사이로 나온 그가 원시천존이라는데 결국 태초에 세상을 창조한 반고와 원시천존은 동일인물인가 ? 아니면 반고가 태원성녀의 몸을 통해 변하게 된 것을 원시천존이라 부르는지 알 수 없다. 원시천존은 태어나면서부터 걷고 말할 수 있고 5색 채운이 그의 몸을 항상 둘러쌌다고 한다.
(2) 복희(왕혁)
여와가 부활했을 때를 위해 남겨진 혼자 남겨진 최초의 시조다. 여와와 동료였으며 여와를 멸하기 위해 [봉신계획]을 만든 사람이다. 여와가 눈치 채지 못하도록 태공망과 왕천군으로 나뉘어져 있다. 왕천군과 태공망은 각각 다른 자아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복희라는 하나의 인물이었다는... 태공망이 희미에게 봉신 당했을 때 왕천군에 의해 태공망이 자각하면서 부활하게 된다. 강하기도 엄청 강하다.
보패 : 태극도(타신편) 주선진 등.
(3) 여와
달기의 배후 인물이며 이른 바 \'역사의 도표\'로 불리는 역사의 조종자이다. 우주인이다. 목적은 지구를 자신이 예전에 살던(지금은 멸망한)별과 똑같은 역사를 가진 쌍둥이별로 만들어 자신의 별이 그대로 계속 발전해나갔다면 어떤 모습이 되었을지 보기 위해서라고한다. 엄청난 보패로 몇 번이나 지구를 다시 시작시켰으며 육체가 봉인되어 있지만 육체없이 움직일 수도 있다. 복희와 마찬가지로 혼백분열도 가능.힘이 엄청나다.
보패 : 사보검(뇌공편마저도 능가하며 여러 번이나 세계를 멸망시켰던 보패)
5) 만화 <환상게임>
줄거리
국립도서관에서 고등학교 입학시험을 준비하던 강미주(주작의 무녀)와 소진아(청룡의 무녀)
는 우연히 중국 고대의 책 ‘사신천지서’를 발견한다.
사신이라 함은 동서남북 사방을 수호하는 청룡, 백호, 주작, 현무를 이르며, 이들은 하늘의 이십팔수를 사등분하여 칠성수로 나뉜 각각의 별자리를 관장한다. 그 사방 중에서 남방에 위치한 일곱 개의 별자리의 총칭인 「주작」-「남방주작 칠성수」의 글을 여기에 기록한다. 나라가 어지럽고 멸망하려 할 때, 다른 세계로부터 「주작」의 신통력을 얻기 위해 한 소녀가 나타난다. 「주작」의 힘을 손에 넣은 소녀는 그 힘으로 나라를 이끌어줄 것이다. 그 소녀는 「주작의 무녀」가 되어, 무녀를 지키기 위한 힘을 하늘에게 부여받은 「주작 칠성사」를 스스로의 힘으로 찾아내야만 한다. 「남방 주작 칠성수」가 모두 모였을 때, 홍남국을 지키는 신 「주작」이 모습을 드러내어 무녀에게 세 가지 신통력을 내려줄 것이다.
<남방주작 칠성수>
「정(井)」승(僧) 면(面)
「귀(鬼)」투(鬪) 민(閔)
「유(柳)」궁(宮) 무(武)
「성(星)」황(皇) 검(瞼)
「장(張)」지(知) 동(童)
「익(翼)」산(山) 염(炎)
「진(軫)」유(癒) 의(醫)
신수를 소환할때 무녀와 칠성하는 기를 가다듬어 「무(無)」가 되어야만 한다.
무녀는 다음에 적어놓은 축사를 낭독한 후, 불꽃 속으로 이 두루마리를 던져라.
<사궁의 하늘과 사방의 땅 깊은 법과 신과 선으로 남방주호의 「주작」에게 고하오니 칠성천에서 땅으로 나와 그 몸을 갈망하는 무리를 위해 이곳에 오시어 모든 악을 멸하고 그 신력으로 우리를 구호하사, 바라옵건데 저의 말을 듣고 이곳으로 내려오소서> 이를 천제의 말로 여기고, 이 주작의 서를 남방 홍남국 태조에게 전한다.
이것이 책 내용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주인공은 책 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왼쪽 - 주작, 오른쪽 - 청룡
<신화에서의 청룡, 백호, 주작, 현무 >
4령 ·4수라고도 한다. 동의 청룡, 서의 백호, 남의 주작, 북의 현무인데, 주작은 봉황, 현무는 거북과 뱀이 합쳐진 모습으로 표현되어 있다.
《회남자》 <천문훈>에는 오성을 설명하여 동방은 목이며, 그 짐승은 창룡, 남방은 화이며, 그 짐승은 주조, 중앙은 토이며, 그 짐승은 황룡, 서방은 금이며, 그 짐승은 백호, 북방은 수이며, 그 짐승은 현무라고 하여, 오행 사상에 입각한 천문 ·방위관과 색채판이 사신 사상의 성립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고 추정된다.
백호
흰털을 가진 호랑이 또는 중국 민화에 나오는 상상의 동물.
백호의 출현은 상서로운 현상으로 여긴다. 중국 설화 등에서는 청룡 ·주작 ·현무 등과 함께 하늘의 사신을 이룬다. 이들 4신은 하늘의 사방을 지키는 신으로 알려져 있는데, 백호는 서쪽의 수호신이다. 서쪽에는 28수 중 규 ·누 ·위 ·앙 ·필 ·시 ·삼의 7개 성좌가 있는데, ‘앙’성좌는 호랑이가 다스린다고 한다. 일설에는 ‘삼’성좌가 백호였다고도 한다. 《시경》은 백호를 의로운 짐승으로 보고 있는 반면, 《인원비광경》은 흉신으로 기록하고 있다. 백호를 그린 백호기는 천자가 거둥할 때 사용되었다.
주작
남방을 지킨다고 믿는 상징적인 동물.
주조라고도 한다. 중국 설화 등에서는 청룡 ·백호 ·현무 등과 함께 하늘의 4신을 이룬다. 주작은 남쪽의 수호신이다. 남쪽에는 28수 중 정 ·귀 ·유 ·성 ·장 ·익 ·진의 7개 성좌가 있다. 그 형상은 시대마다 약간의 양식적인 변화는 있지만 현실과 상상의 동물이 복합된 봉황의 모습으로 묘사되며, 무덤과 널의 앞쪽에 그렸다.
4) 만화 <봉신연의>
(1) 원시천존
곤륜의 교주로 옥허궁에 거주한다. 태공망의 스승. [봉신계획]을 세운 후 태공망에게 실행토록 했다. 별 할 일 없이 보이지만 하는 일도 많고 엄청나게 강하다.
보패 : 반고번
< 신화에서 원시천존 >
천존이란 도교의 고귀한 천신에 대한 존칭이다. 천존 중에서도 삼청이 가장 존귀한 존재로 도교의 최고위의 3신이다. 그리고 원시천존은 이 삼청중 제일신으로써 도교의 신 들 중 가장 높은 위치에 있다. 원시천존은 중국탄생신화에서 세상을 창조한 반고와 신성한 여자인 태원성녀의 아들이라고 한다. 신화에서는 반고가 천지를 구분하고 해와 달을 만든 뒤 공중을 기분 좋게 날아다니다가 공중에 있는 태원성녀를 보고 정결한 그녀를 좋아하여 그녀가 하늘을 보며 숨을 들이 쉴 때 한줄기 빛으로 변해 그녀의 입으로 들어갔다가 그녀의 등뼈 사이로 빠져나왔다고 한다. 그리고 등뼈사이로 나온 그가 원시천존이라는데 결국 태초에 세상을 창조한 반고와 원시천존은 동일인물인가 ? 아니면 반고가 태원성녀의 몸을 통해 변하게 된 것을 원시천존이라 부르는지 알 수 없다. 원시천존은 태어나면서부터 걷고 말할 수 있고 5색 채운이 그의 몸을 항상 둘러쌌다고 한다.
(2) 복희(왕혁)
여와가 부활했을 때를 위해 남겨진 혼자 남겨진 최초의 시조다. 여와와 동료였으며 여와를 멸하기 위해 [봉신계획]을 만든 사람이다. 여와가 눈치 채지 못하도록 태공망과 왕천군으로 나뉘어져 있다. 왕천군과 태공망은 각각 다른 자아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복희라는 하나의 인물이었다는... 태공망이 희미에게 봉신 당했을 때 왕천군에 의해 태공망이 자각하면서 부활하게 된다. 강하기도 엄청 강하다.
보패 : 태극도(타신편) 주선진 등.
(3) 여와
달기의 배후 인물이며 이른 바 \'역사의 도표\'로 불리는 역사의 조종자이다. 우주인이다. 목적은 지구를 자신이 예전에 살던(지금은 멸망한)별과 똑같은 역사를 가진 쌍둥이별로 만들어 자신의 별이 그대로 계속 발전해나갔다면 어떤 모습이 되었을지 보기 위해서라고한다. 엄청난 보패로 몇 번이나 지구를 다시 시작시켰으며 육체가 봉인되어 있지만 육체없이 움직일 수도 있다. 복희와 마찬가지로 혼백분열도 가능.힘이 엄청나다.
보패 : 사보검(뇌공편마저도 능가하며 여러 번이나 세계를 멸망시켰던 보패)
5) 만화 <환상게임>
줄거리
국립도서관에서 고등학교 입학시험을 준비하던 강미주(주작의 무녀)와 소진아(청룡의 무녀)
는 우연히 중국 고대의 책 ‘사신천지서’를 발견한다.
사신이라 함은 동서남북 사방을 수호하는 청룡, 백호, 주작, 현무를 이르며, 이들은 하늘의 이십팔수를 사등분하여 칠성수로 나뉜 각각의 별자리를 관장한다. 그 사방 중에서 남방에 위치한 일곱 개의 별자리의 총칭인 「주작」-「남방주작 칠성수」의 글을 여기에 기록한다. 나라가 어지럽고 멸망하려 할 때, 다른 세계로부터 「주작」의 신통력을 얻기 위해 한 소녀가 나타난다. 「주작」의 힘을 손에 넣은 소녀는 그 힘으로 나라를 이끌어줄 것이다. 그 소녀는 「주작의 무녀」가 되어, 무녀를 지키기 위한 힘을 하늘에게 부여받은 「주작 칠성사」를 스스로의 힘으로 찾아내야만 한다. 「남방 주작 칠성수」가 모두 모였을 때, 홍남국을 지키는 신 「주작」이 모습을 드러내어 무녀에게 세 가지 신통력을 내려줄 것이다.
<남방주작 칠성수>
「정(井)」승(僧) 면(面)
「귀(鬼)」투(鬪) 민(閔)
「유(柳)」궁(宮) 무(武)
「성(星)」황(皇) 검(瞼)
「장(張)」지(知) 동(童)
「익(翼)」산(山) 염(炎)
「진(軫)」유(癒) 의(醫)
신수를 소환할때 무녀와 칠성하는 기를 가다듬어 「무(無)」가 되어야만 한다.
무녀는 다음에 적어놓은 축사를 낭독한 후, 불꽃 속으로 이 두루마리를 던져라.
<사궁의 하늘과 사방의 땅 깊은 법과 신과 선으로 남방주호의 「주작」에게 고하오니 칠성천에서 땅으로 나와 그 몸을 갈망하는 무리를 위해 이곳에 오시어 모든 악을 멸하고 그 신력으로 우리를 구호하사, 바라옵건데 저의 말을 듣고 이곳으로 내려오소서> 이를 천제의 말로 여기고, 이 주작의 서를 남방 홍남국 태조에게 전한다.
이것이 책 내용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주인공은 책 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왼쪽 - 주작, 오른쪽 - 청룡
<신화에서의 청룡, 백호, 주작, 현무 >
4령 ·4수라고도 한다. 동의 청룡, 서의 백호, 남의 주작, 북의 현무인데, 주작은 봉황, 현무는 거북과 뱀이 합쳐진 모습으로 표현되어 있다.
《회남자》 <천문훈>에는 오성을 설명하여 동방은 목이며, 그 짐승은 창룡, 남방은 화이며, 그 짐승은 주조, 중앙은 토이며, 그 짐승은 황룡, 서방은 금이며, 그 짐승은 백호, 북방은 수이며, 그 짐승은 현무라고 하여, 오행 사상에 입각한 천문 ·방위관과 색채판이 사신 사상의 성립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고 추정된다.
백호
흰털을 가진 호랑이 또는 중국 민화에 나오는 상상의 동물.
백호의 출현은 상서로운 현상으로 여긴다. 중국 설화 등에서는 청룡 ·주작 ·현무 등과 함께 하늘의 사신을 이룬다. 이들 4신은 하늘의 사방을 지키는 신으로 알려져 있는데, 백호는 서쪽의 수호신이다. 서쪽에는 28수 중 규 ·누 ·위 ·앙 ·필 ·시 ·삼의 7개 성좌가 있는데, ‘앙’성좌는 호랑이가 다스린다고 한다. 일설에는 ‘삼’성좌가 백호였다고도 한다. 《시경》은 백호를 의로운 짐승으로 보고 있는 반면, 《인원비광경》은 흉신으로 기록하고 있다. 백호를 그린 백호기는 천자가 거둥할 때 사용되었다.
주작
남방을 지킨다고 믿는 상징적인 동물.
주조라고도 한다. 중국 설화 등에서는 청룡 ·백호 ·현무 등과 함께 하늘의 4신을 이룬다. 주작은 남쪽의 수호신이다. 남쪽에는 28수 중 정 ·귀 ·유 ·성 ·장 ·익 ·진의 7개 성좌가 있다. 그 형상은 시대마다 약간의 양식적인 변화는 있지만 현실과 상상의 동물이 복합된 봉황의 모습으로 묘사되며, 무덤과 널의 앞쪽에 그렸다.
키워드
추천자료
세계신화 : 동양신화과 서양신화 모두 총정리 조사
고조선의 단군신화, 고구려의 주몽신화, 무속신화인 당금애기(제석본풀이)를 읽고 이들 신화...
[신화][단군신화][홍익인간][건국신화][단군][단군신화 교육]신화의 개념, 신화의 기능과 단...
[박혁거세 신화][동명왕 신화][금오신화][단군신화][김통정 전설][제주도][아기장수전설]박혁...
신화와 철학- 단군신화의 탈신화적 해석과 일상생활에서 찾아보는 신화이야기
[단군신화][단군신화의 교육적 의의][단군신화의 내용][단군신화의 해석]단군신화의 개념, 단...
신화 비교- 단군신화, 동명왕 신화, 제석본풀이의 비교-
[건국신화, 건국신화 체계, 가치관, 세계상, 중개자, 트릭스터, 신격기능체계론]건국신화의 ...
김시습 금오신화의 의미와 분류, 김시습 금오신화의 특징과 작가, 김시습 금오신화의 여성상,...
[이생규장전][김시습 금오신화]김시습 금오신화의 이생규장전 줄거리, 김시습 금오신화의 이...
[아시아][아시아 문명][아시아 신화][아시아 민족][아시아 언어][문명][신화][민족][언어]아...
그리스로마신화의 발생,그리스로마신화와 유럽통합,현대유럽에서 그리스로마신화의 의미ppt자료
신화의세계 2018-아폴로도로스 신화집-아래 책들 중 한 권을 택해 읽고 읽고 요약한 후 책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