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햏자체'및 '하오체'의 발생과 사용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햏자체'및 '하오체'의 발생과 사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햏자체’ 및 ‘하오체’의 발생 배경
2. ‘햏자체’의 사용
(1) 오타 및 잘못된 단어 사용에서 온 것
(2) 일상어투에서는 잘 사용치 않은 단어들의 사용
(3) 독특한 서술어의 사용
(4) 신조어
(5) 아무 의미 없는 말들의 남용
(6) 특정 인물을 가리키는 말
(7) 고어 체의 사용
(8) 그 외의 특징

3. 국어의 ‘하오체’와 인터넷 언어의 ‘하오체’

Ⅲ. 결론

본문내용

세대들의 ‘~하오’체가 나타난 것은 독특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네티즌 특히 ‘쥑자’들이 생각하는 ‘하오체’는 다음과 같다.
\"하오체\" : 이 것은 ‘~했소.’, ‘~그렇소.’, ‘~알겠소.’ 등의 말투인데 득쥑의 길을 걷고자 하는 상대방을 배려함과 동시에 자신을 깎지 않는 오묘한 말투라고 한다.
●Toy-여전히 아름다운지●
첨엔 혼자라는게 편했지 ■자유로운 선택과 시간에 ■너의 기억을 지운 듯 했어 정말 난 그런줄로 믿었어 하지만 말야 이른 아침 혼자 눈을 뜰때 내 곁에 ■니가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될 때면 ■나도 모를 눈물이 흘러 변한 건 없니 날 웃게 했던 ■예전 그 말투도 여전히 그대로니 ■난 달라졌어 예전만큼 웃질 않고 좀 야위었어 널 만날때보다 ■
****************************************************************
=하오체=
첨엔 혼자라는게 편했다오 자유로운 선택과 시간에 ■너의 기억을 지운 듯 했다오 ■정말 난 그런줄로 믿었다오 하지만 말이오 ■이른 아침 혼자 눈을 뜰때 내 곁에 ■니가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될 때면 나도 모를 눈물이 흐르오 변한 건 없소? 날 웃게 했던 예전 그 말투도 여전히 그대로오? 난 달라졌다오 예전만큼 웃질 않고 좀 야위었다오 널 만날때보다
다음은 노래 가사를 ‘하오체’로 바꾼 것인데 이것을 보면 조금 더 수월하게 지금 네티즌이 사용하고 있는 ‘하오체’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기존의 말끝에 ‘~하오’나 ‘~소’등을 붙이면 되는 것이다.
옛날에 사용한 예사높임법의 ‘하오체’는 예절을 중시 여겼던 우리 조상들의 말투에서 나온 것이고 아주 높일 수는 없지만 그렇다고 하대하기 어려운 상대 예를 들어 장인이 사위에게 사용했던 언어이다.
하지만 지금 사용하고 있는 ‘하오체’는 그런 것과는 조금 거리가 멀다.
사극 열풍이 불면서 기존의 인터넷언어에 질렸던 신세대들에게 요즘 사용되지 않고 옛날에 사용되었던 ‘하오체’는 신선했을 것이다. 그리하여 재미로 그것들을 따라하게 되었던 것이 이렇게 큰 인기를 끌게 되었던 듯 하다.
Ⅲ. 결론
요즘 컴퓨터만 하는 신세대들이 스스로를 폐인이라 자처하면서 나타난 것이 바로 ‘쥑자체’이다. 그들은 자신들의 폐인 생활을 내세우면서 자신들만의 집단을 형성한다. 익명성 아래 특정인을 비하한다는 말도 많이 있지만 그들 나름대로의 특유의 언어로 사회를 풍자하고 있는 것 역시 이 언어를 사용하는 집단의 큰 특징이라고 하겠다.
특이하게 이들은 발음이 거의 불분명한 ‘ㅎ’의 사용을 남용하고 있어 우리말을 어지럽힌다는 비난을 받기도 한다. 발음하기 어려운 단어들의 사용은 음성적이지 않고 시각적으로만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인터넷언어의 특징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인터넷언어와 같이 음운축약을 사용하지 않고 오히려 오래된 말투인 하오체를 사용하는 것은 그 다른 쪽에서 전혀 알아보지 못한 외계어의 사용과 반대되는 양극적 현상을 보여준다. 이런 말투의 큰 원인은 바로 대중매체들인데, 여기서 다시한터 대중매체에 대한 큰 영향력을 볼 수 있다.
하지만 금방 식상해 하는 신세대들 그리고 네티즌에게 이러한 언어가 언제까지 지속될지는 두고 봐야 할 일이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쥑자체’ 및 ‘하오체’의 발생 배경
2. ‘쥑자체’의 사용
(1) 오타 및 잘못된 단어 사용에서 온 것
(2) 일상어투에서는 잘 사용치 않은 단어들의 사용
(3) 독특한 서술어의 사용
(4) 신조어
(5) 아무 의미 없는 말들의 남용
(6) 특정 인물을 가리키는 말
(7) 고어 체의 사용
(8) 그 외의 특징3. 국어의 ‘하오체’와 인터넷 언어의 ‘하오체’
Ⅲ. 결론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8.10.13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51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