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용어사전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 124
  • 125
  • 126
  • 127
  • 128
  • 129
  • 130
  • 131
  • 132
  • 133
  • 134
  • 135
  • 136
  • 137
  • 138
  • 139
  • 140
  • 141
  • 142
  • 143
  • 14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복지 용어사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하여 조작하는 활동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눈의 기능과 손을 잘 연결하여 서로 잘 협응 하도록 하는 능력. 뇌성마비나 두뇌손상의 경우 눈과 손의 협응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학습장애 아동의 경우에도 좌우 구별이나 눈과 손의 협응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능력
어떤 행위를 실제로 수행하는 신체적심리적 힘. 이는 학습된 것일 수도 있고, 생득적(生得的)인 것일 수도 있다. 능력은 흔히, 지능과 유사한 개념으로 각종 과제(특히 인지적 또는 지적)를 수행하는 데 관련된 일반적공통적 능력과 특정과제의 수행에 관련된 특수 능력으로 구분된다. 능력(ability)과 관련된 개념으로는 적성성능(capacity)재능(talent)역량(competence) 및 능력(faculty) 등이 있다. 능력이란 특별한 훈련이 없이도 외적 상황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일정한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힘을 말하고, 적성이란 일정한 훈련에 의해서 특정 수준에 도달할 수 있는 개인의 능력을 지칭한다. 성능은 적성이란 용어와 유사하게 사용되나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개체의 잠재력을 말하고 최적의 훈련조건하에서 개체가 달성하는 최대의 효율성을 말한다. 재능이란 고도의 능력이나 적성 수준을 말하고, 역량이란 어떤 과제에 대한 개체의 적합성을 의미하며, 능력(faculty)이란 능력심리학에서 유래된 말로 인지의지상상기억력 등과 같은 일종의 정신기능을 가정한 개념으로 사용되었으나 근자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한편 능력이란 때로 퍼스낼리티(personality)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사용되나 넓은 의미에서 능력은 퍼스낼리티의 일부로 간주된다. → 적성, 지능
사회복지용어사전 []
단서
(1) 행동을 유발하는 신호. (2) 유기체가 학습을 통하여 반응하게 된 지각범위 속의 특수한 부분 또는 자극형태. (3) 어떤 자극을 식별 또는 인지하게 하는 표식. (4) 스키너(B.F Skinner)에 의하면 작동작용(operant response)을 생성, 유발하는 것.
단원
교수-학습장면에 있어서 일정한 과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학습내용 및 경험을 전체성과 통일성을 지니도록 조직해 놓은 분절(分節). 전체성과 통일성의 기초를 학습되는 내용에 두고 있느냐, 학습자의 경험에 두고 있느냐 혹은 내용과 경험에 균등히 두고 있느냐에 따라 교과형 단원경험형 단원학문형 단원으로 나누어진다.
단원목표
단원을 학습했을 때 학습자가 지녀야 할 바람직한 성과를 구체적인 용어에 의해 『내용 + 행동』형식으로 진술해 놓은 것. 이런 목표는 학년목표, 교과 또는 생활영역의 목표, 타 단원의 목표 등과 유기적인 관련을 맺고 있으며, 교수-학습과정 및 그 결과를 평가할 수 있는 준거(準據)를 마련해 준다.
단원전개
계획된 단원 내용을 실천해 나가는 과정. 단원이란 일반적으로 어느 포괄적인 주제에 초점이 맞춰짐으로써 상호 밀접하게 관련된 일련의 학습경험이나 활동을 의미한다. 한 단원이 지속되는 시간은 보통 10-15 시간이며 2주에서 4주 정도에 걸쳐 가르쳐진다. 또한 하나의 단원에는 단원 나름대로의 분명한 목표와 목표달성정도를 확인하는 평가단계가 포함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10-15시간에 걸쳐 지속되는 학습활동이 하나의 통합된 경험의 단위로서 운영, 전개되기 위해서는 치밀한 사전의 계획이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계획을 단원계획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러한 단원계획에 따라 단원을 실제로 운영, 전개하는 것을 단원 전개라고 한다. 일반적인 경우 단원의 전개 양식은 전적으로 단원의 내용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러나 때에 따라서는 전개 양상이 계획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수도 있다. 따라서 단원전개의 가장 효율적인 방식은 단원의 계획 단계에서 대부분 처방되지만 그 실제의 모습은 전개의 과정 과정에서 구현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단원을 성공적으로 전개, 운영하기 위하여 교사는 단원의 성격, 단원내용들의 배열, 계획된 지도방법 및 교사와 학생간 상호작용의 특징 등과 같은 요소에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단원학습
단원계획에 의한 학습. 이런 학습에 있어서는 활동성통합성현실성과제성이 강조된다. 따라서 학습자들은 스스로 다양한 학습활동을 하되 그런 활동이 어떤 핵심을 중심으로 해서 집약되어 당면과제의 해결과정을 학습하게 된다. 논제학습(論題學習)문제학습생활학습 등이 활동성통합성현실성과제성의 모든 성질을 지니지 아니하고 어느 한 두 개의 성질에 집중되는 반면에, 단원학습은 이런 모든 성질을 포괄하고 있다는 것이 그 특징이다.
대가족제도
한 가족의 구성원이 삼대(三代)이상이 되며, 결혼한 자녀들이 분가(分家)하지 않고 함께 사는 가족형태, 대체로 가족 구성원의 수가 많고 엄격한 가부장적 권위로 다스려진다. 주로 근세 이전의 가족형태이며 특히 우리 나라에서는 과거 양반들의 가족형태가 대가족제도였다. 흔히 가족구성원의 수가 상대적으로 많다는 점에서 우리 나라 가족제도를 대가족제도로 보기도 하나, 혼인한 자녀중 한 사람만이 부모와 함께 가족을 이루는 제도로 보아 직계가족(stem family)이라고 하여 구별한다. → 확대가족
대근육 운동
신체의 목이나 팔, 다리 등 사지와 관계된 행동을 대근육 운동이라고 하는데 운동기능(locomotion skill)과 비운동기능(nonlocomotion skill)으로 나뉘어진다. 운동 기능에는 기기, 걷기, 달리기, 뛰기(jump), 구르기, 나르기, 오르내리기 등이 속하고 비운동 기능에는 들기, 밀기, 끌어당기기, 던지기, 받기, 차기 등이 이에 포함된다. 대근육 운동은 큰 근육들의 협응능력을 꾀하여 운동기능을 발달시키고, 신체의 균형적 발달, 눈과 손의 협응력, 그리고 균형 있는 바른 자세 유지를 그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신체 전체를 사용하는 운동을 시키는 것은 심신의 정상적인 발달에 필요한 신체의식 능력과 감각운동 기능의 토대를 정확히 획득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대뇌증
뇌수액(腦髓液)의 집적(集積)이 지나칠 정도로 많은 상태. 두뇌에 필요 없는 압박을 주어 두뇌신경 조직의 발달을 저해하며 한편으로는 두개골이 커지는 결과를 낳는다. 때로는 수두(手頭, waterhead)라고 불리어지기도 한다.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144페이지
  • 등록일2008.10.20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66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