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건축에서의 포스트 모더니즘
- 탈근대의 이해
- 우리나라의 포스트 모더니즘
- 탈근대의 이해
- 우리나라의 포스트 모더니즘
본문내용
불어 온 탈 근대의 바람은 우리로 하여금 서구의 특정 시대의 역사적 산물 인 근대 건축을 서구 건축의 전부인 양 인식할 위험을 불식시키고 건축의 또다른 본질적 측 면에 대한 관심을 제기해 주었다는 데서 긍정적이라 평가할 수 있으나 포스트 모던에서 전 통이나 역사성을 도입하는 방법론을 응용, 한국 현대 건축의 현시점에 맞게 소화하는 것도 중요하다.
국내의 건축에서 표출되는 포스트 모더니즘은 아직 포장적 측면에 머무리고 있다. 찰스 무 어 등에 의해 외형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실내 공간적 장치나 개념이 제안되었음에도 불구하 고 국내 건축은 건축적 노하우를 취하는 것도 표피적 단계에서만 머무르고 있다는 것이다.
90년대에 들어선 이후 국내 건축에 있어서의 가장 커다란 변화의 하나는 포스트 모더니즘과 더불어 모더니즘에 대한 재조명 작업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것의 배경에는 해체주의라는 사조의 등장이 커다란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모더니즘 건축이 국제주의 양식과 기능주의라는 대표적 용어로만 축소됨으로써 포스트 모더니즘 건축은 모더니즘 건축에 대한 비판과 반대의 입장으로서만 이해 되었고 마찬가지로 포스트 모더니즘 건축이 고전적 요소 들의 인용이라는 단편적 사실만 부각됨으로써 해체주의 건축은 포스트 모더니즘 건축을 거 부하는 새로운 반대급부라는 인식이 등장했다.
그러나 포스트 모더니즘이 사용하는 수법들이 본질적으로는 이미 모더니즘에서 사용된 수법 들이며, 해체주의가 이용하는 수법들 역시 포스트 모더니즘의 수법과 근본적으로 같다는 점 은 이들이 전체적으로 커다란 하나의 맥락 안에 있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국내의 건축에서 표출되는 포스트 모더니즘은 아직 포장적 측면에 머무리고 있다. 찰스 무 어 등에 의해 외형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실내 공간적 장치나 개념이 제안되었음에도 불구하 고 국내 건축은 건축적 노하우를 취하는 것도 표피적 단계에서만 머무르고 있다는 것이다.
90년대에 들어선 이후 국내 건축에 있어서의 가장 커다란 변화의 하나는 포스트 모더니즘과 더불어 모더니즘에 대한 재조명 작업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것의 배경에는 해체주의라는 사조의 등장이 커다란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모더니즘 건축이 국제주의 양식과 기능주의라는 대표적 용어로만 축소됨으로써 포스트 모더니즘 건축은 모더니즘 건축에 대한 비판과 반대의 입장으로서만 이해 되었고 마찬가지로 포스트 모더니즘 건축이 고전적 요소 들의 인용이라는 단편적 사실만 부각됨으로써 해체주의 건축은 포스트 모더니즘 건축을 거 부하는 새로운 반대급부라는 인식이 등장했다.
그러나 포스트 모더니즘이 사용하는 수법들이 본질적으로는 이미 모더니즘에서 사용된 수법 들이며, 해체주의가 이용하는 수법들 역시 포스트 모더니즘의 수법과 근본적으로 같다는 점 은 이들이 전체적으로 커다란 하나의 맥락 안에 있다는 사실을 말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