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뇌졸증
진단검사: 뇌혈관 조영술, CT, MRI
2. 천식
진단검사: 폐기능 검사, 동맥혈 가스 검사, 흉부 X-선 검사
3. 심근경색
진단검사: EKG, 심초음파, 효소검사
4. 당뇨병
진단검사: 공복혈당, 식후2시간혈당검사, 자가혈당검사, 당부하검사
5. 폐렴
진단검사: 객담도말, 배양과 민감도검사, 흉부X-선 검사
진단검사: 뇌혈관 조영술, CT, MRI
2. 천식
진단검사: 폐기능 검사, 동맥혈 가스 검사, 흉부 X-선 검사
3. 심근경색
진단검사: EKG, 심초음파, 효소검사
4. 당뇨병
진단검사: 공복혈당, 식후2시간혈당검사, 자가혈당검사, 당부하검사
5. 폐렴
진단검사: 객담도말, 배양과 민감도검사, 흉부X-선 검사
본문내용
잘 나오면 기침억제제를 가능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합병증
폐렴에 의한 합병증은 늑막염이 생길수 있다. 늑막염은 가슴벽과 폐사이에 있는 얇은 2장의 늑막 사이에 염증성 진물이 고이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늑막염이 심해지면 화농이 되면서 고름이 2장의 늑막 사이에 차게 되는데 이것을 농흉이라고 한다. 또한 폐렴이 심한 경우에는 뇌나 수막까지 감염증이 퍼질수 있으며 폐렴을 일으킨 병원균이 피 속으로 들어가서 패혈증을 일으킬수 있다, 이외에 기관지 확장증. 중이염, 부비동염, 복박염, 산증, 뇌증이 동반될수 있다.
진단검사
객담 검사
: 객담의 색깔 냄새, 혈액의 존재 등이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냄새가 나는 경우는 혐기성 세균 감염을 의심할 수 있고, 혈액이 섞여 나오면 출혈을 의미하므로 정밀검사를 해야한다. 폐렴환자는 객담 검사로 원인균의 50%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1. 객담 도말 검사
슬라이드 위에 객담을 도말 한 뒤 염색하여 검사한다. 가장 자주 쓰이는 염색 검사는 그람염색으로, 백테리아 중에서 형태가 비슷한 것을 그람음성이나 그람양성으로 분류함으로써 구별한다.
2. 배양과 민감도 검사
무균적으로 얻은 검사물을 배양하여 균을 확인한다. 민감도 검사는 균이 특별한 항생제에 대해 민감한지 혹은 내성이 있는지를 규명하여 가장 효과적인 약제를 선택하는 데 도움을 준다.
검사방법:
비공에서 배양할 때는 면봉을 구부리지 말고 가능한 뒤쪽으로 넣어서 부드럽게 돌린다.
인두 분비물을 배양할 때는 혀나 치아에 닿아 오염되지 않도록 설압자로 혀를 누르면서 목젖 아래 인두 후벽에서 면봉으로 분비물을 채취한다.
객담 배양은 무균 용기에 객담을 뱉게한다.
3. 흉부 X-선 검사
폐렴은 흉부 X-선 검사에서 폐분절, 폐엽, 한쪽 폐 또는 양쪽 폐 등의 밀도 증가를 보인다. 노인에게는 종종 증상들이 막연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흉부 X-선 검사는 폐렴의 조기진단에 있어 필수적이다.
후전방 촬영(P-A view) : 횡격막이 낮고 폐가 크기 때문에 직립자세에서 깊게 숨을 들이마신 다음 그 상태로 몇 초 동안 있게 한다. X-선은 대상자의 등 쪽에서 앞쪽으로 통과한다.
전후방 촬영(A-P view) : 촬영 방법은 후전방 촬영과 동일하나 X-선이 대상자의 앞쪽에서 등쪽으로 통과한다.
측면 촬영(lateral veiw) : 옆으로 서서 촬영한다. 후전방 자세에서 잘 볼 수 없는 종격동에 가운 폐의 앞부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사위 촬영(oblique view) : 사선으로 서서 촬영한다. 폐나 종격동의 종양, 병변과 늑막삼출의 윤곽 등을 확인하는데 도움이 된다.
측와위 촬영(lateral decubitis veiw) : 옆으로 누운 상태에서 촬영한다. X-선은 바닥과 나란히 평행으로 향하게 하며, 관련 부위를 필름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도록 한다. 소량의 유동성 늑막액, 기흉, 공동, 폐농양 등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한다.
전측 촬영(lordotic view) : 상체를 뒤로 젖힌 상태에서 촬영한다. 폐첨 부위를 좀더 자세히 검사하거나 허탈 여부를 알기 위해서 그리고 손상이 앞뒤 어느 부위에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찍는다.
일반적으로 흉부 X-선에서 분명히 발견할 수 있는 비정상 소견에는 밀도증가(무기폐, 폐렴, 기흉), 분비물 과다, 종양과 혈과의 증가 등이 있다.
검사 전 대상자에게
검사절차를 설명한다.
윗옷을 모두 벗고 뒤가 터진 면 가운을 입도록 한다. 상반신에 착용한 장신구 종류의 금속제품은 제거한다. 대상자가 인공호흡기를 연결하고 있다면 튜브를 가슴 높이보다 더 위에 두도록 한다.
대상자는 숨을 깊게 들이마신 상태에서 몇 초 동안 숨을 참고 그대로 있어야 한다.
급성 중증 대상자는 이동식 흉부 X-선 촬영기로 검사할 수 있다. 좋은 필름을 얻기 위해서 대상자는 똑바로 앉아 있어야 한다. 만약 병실에서 X-선 촬영을 한다면, 검사자는 방사선에 노출되지 않도록 납으로 된 앞치마를 입는다.
임신한 간호사나 방문개은 X-선에 노출되지 않아야 한다. 대상자가 임신했을때는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X-선을 피하고, 흉부 X-선 검사가 필요한 임신부는 납으로 된 앞치마로 복부를 보호한다.
4. 전혈 검사(CBC)
전혈구 검사(CBC)는 많은 질병을 진단하고 관리하는데 사용되기 위하여 시행된다. 이는 혈액의 세포수계 산, 적혈구 지수의 평가, 도말 염색 표본으로 세포의 형태를 보는 등 혈액의 중요한 구성요소의 상태를 측 정하는 것으로 다음을 포함한다.비정상적인 백혈구 수치 증가는 급성 감염이나 염증, 폐렴을 의미한다.
구성요소
영문
정상치
적혈구수
RBC
남자:4.7-6.1여자:4.2-5.4
백혈구 수
WBC
4,500-10,000
혈소판 수
Platelets count
150,000~450,000
헤마토크리트
hematocrit
남자:40.7-50.3 여자:36.1-44.3
헤모글로빈
hemoglobin
남자:13.8-17.2 여자:12.1-15.1
평균 혈구 용적
MCV
80-95
평균 혈구 헤모글로빈
MCH
27-31
평균 혈구 헤모글로빈 농도
MCHC
32-36
검사방법:
혈액의 채취는 주로 손이나 팔의 전박 부위의 정맥에서 다음과 같이 시행하게 된다.
① 채취할 정맥의 있는 피부를 소독솜으로 닦아 청결히 한다.
② 토니켓(tourniquet) 또는 굵은 고무 튜브를 팔의 상부에 감아 혈액의 흐름을 막아 주므로써 정맥의 굵기 를 증가시킬 수 있다.
③ 바늘을 정맥으로 천천히 삽입하고 토니켓을 제거한다. 이때 대상자는 순간의 따끔함을 느낄수 있다.
④ 정맥에서 바늘로 혈액이 흘러나오고 주사기나 채혈튜브에 혈액을 모은다.
⑤ 바늘을 제거한 다음 바늘을 삽입했던 부위에 출혈을 예방하기 위하여 단시간 알코올 솜이나 밴드를 이용 하여 압박해 준다.
참고문헌
서문자 외(1999), 성인간호학(넷째판) 上(Ⅱ), 수문사.
전시자 외(2005), 성인간호학(제4판) 上 下, 현문사.
김광수 외(1998), 응급간호, 현문사
김귀분 외(1999), 중환자간호, 현문사
소희정 외(1999), 재활간호, 현문사
너스 케이프 http://www.nurscape.net
합병증
폐렴에 의한 합병증은 늑막염이 생길수 있다. 늑막염은 가슴벽과 폐사이에 있는 얇은 2장의 늑막 사이에 염증성 진물이 고이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늑막염이 심해지면 화농이 되면서 고름이 2장의 늑막 사이에 차게 되는데 이것을 농흉이라고 한다. 또한 폐렴이 심한 경우에는 뇌나 수막까지 감염증이 퍼질수 있으며 폐렴을 일으킨 병원균이 피 속으로 들어가서 패혈증을 일으킬수 있다, 이외에 기관지 확장증. 중이염, 부비동염, 복박염, 산증, 뇌증이 동반될수 있다.
진단검사
객담 검사
: 객담의 색깔 냄새, 혈액의 존재 등이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냄새가 나는 경우는 혐기성 세균 감염을 의심할 수 있고, 혈액이 섞여 나오면 출혈을 의미하므로 정밀검사를 해야한다. 폐렴환자는 객담 검사로 원인균의 50%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1. 객담 도말 검사
슬라이드 위에 객담을 도말 한 뒤 염색하여 검사한다. 가장 자주 쓰이는 염색 검사는 그람염색으로, 백테리아 중에서 형태가 비슷한 것을 그람음성이나 그람양성으로 분류함으로써 구별한다.
2. 배양과 민감도 검사
무균적으로 얻은 검사물을 배양하여 균을 확인한다. 민감도 검사는 균이 특별한 항생제에 대해 민감한지 혹은 내성이 있는지를 규명하여 가장 효과적인 약제를 선택하는 데 도움을 준다.
검사방법:
비공에서 배양할 때는 면봉을 구부리지 말고 가능한 뒤쪽으로 넣어서 부드럽게 돌린다.
인두 분비물을 배양할 때는 혀나 치아에 닿아 오염되지 않도록 설압자로 혀를 누르면서 목젖 아래 인두 후벽에서 면봉으로 분비물을 채취한다.
객담 배양은 무균 용기에 객담을 뱉게한다.
3. 흉부 X-선 검사
폐렴은 흉부 X-선 검사에서 폐분절, 폐엽, 한쪽 폐 또는 양쪽 폐 등의 밀도 증가를 보인다. 노인에게는 종종 증상들이 막연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흉부 X-선 검사는 폐렴의 조기진단에 있어 필수적이다.
후전방 촬영(P-A view) : 횡격막이 낮고 폐가 크기 때문에 직립자세에서 깊게 숨을 들이마신 다음 그 상태로 몇 초 동안 있게 한다. X-선은 대상자의 등 쪽에서 앞쪽으로 통과한다.
전후방 촬영(A-P view) : 촬영 방법은 후전방 촬영과 동일하나 X-선이 대상자의 앞쪽에서 등쪽으로 통과한다.
측면 촬영(lateral veiw) : 옆으로 서서 촬영한다. 후전방 자세에서 잘 볼 수 없는 종격동에 가운 폐의 앞부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사위 촬영(oblique view) : 사선으로 서서 촬영한다. 폐나 종격동의 종양, 병변과 늑막삼출의 윤곽 등을 확인하는데 도움이 된다.
측와위 촬영(lateral decubitis veiw) : 옆으로 누운 상태에서 촬영한다. X-선은 바닥과 나란히 평행으로 향하게 하며, 관련 부위를 필름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도록 한다. 소량의 유동성 늑막액, 기흉, 공동, 폐농양 등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한다.
전측 촬영(lordotic view) : 상체를 뒤로 젖힌 상태에서 촬영한다. 폐첨 부위를 좀더 자세히 검사하거나 허탈 여부를 알기 위해서 그리고 손상이 앞뒤 어느 부위에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찍는다.
일반적으로 흉부 X-선에서 분명히 발견할 수 있는 비정상 소견에는 밀도증가(무기폐, 폐렴, 기흉), 분비물 과다, 종양과 혈과의 증가 등이 있다.
검사 전 대상자에게
검사절차를 설명한다.
윗옷을 모두 벗고 뒤가 터진 면 가운을 입도록 한다. 상반신에 착용한 장신구 종류의 금속제품은 제거한다. 대상자가 인공호흡기를 연결하고 있다면 튜브를 가슴 높이보다 더 위에 두도록 한다.
대상자는 숨을 깊게 들이마신 상태에서 몇 초 동안 숨을 참고 그대로 있어야 한다.
급성 중증 대상자는 이동식 흉부 X-선 촬영기로 검사할 수 있다. 좋은 필름을 얻기 위해서 대상자는 똑바로 앉아 있어야 한다. 만약 병실에서 X-선 촬영을 한다면, 검사자는 방사선에 노출되지 않도록 납으로 된 앞치마를 입는다.
임신한 간호사나 방문개은 X-선에 노출되지 않아야 한다. 대상자가 임신했을때는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X-선을 피하고, 흉부 X-선 검사가 필요한 임신부는 납으로 된 앞치마로 복부를 보호한다.
4. 전혈 검사(CBC)
전혈구 검사(CBC)는 많은 질병을 진단하고 관리하는데 사용되기 위하여 시행된다. 이는 혈액의 세포수계 산, 적혈구 지수의 평가, 도말 염색 표본으로 세포의 형태를 보는 등 혈액의 중요한 구성요소의 상태를 측 정하는 것으로 다음을 포함한다.비정상적인 백혈구 수치 증가는 급성 감염이나 염증, 폐렴을 의미한다.
구성요소
영문
정상치
적혈구수
RBC
남자:4.7-6.1여자:4.2-5.4
백혈구 수
WBC
4,500-10,000
혈소판 수
Platelets count
150,000~450,000
헤마토크리트
hematocrit
남자:40.7-50.3 여자:36.1-44.3
헤모글로빈
hemoglobin
남자:13.8-17.2 여자:12.1-15.1
평균 혈구 용적
MCV
80-95
평균 혈구 헤모글로빈
MCH
27-31
평균 혈구 헤모글로빈 농도
MCHC
32-36
검사방법:
혈액의 채취는 주로 손이나 팔의 전박 부위의 정맥에서 다음과 같이 시행하게 된다.
① 채취할 정맥의 있는 피부를 소독솜으로 닦아 청결히 한다.
② 토니켓(tourniquet) 또는 굵은 고무 튜브를 팔의 상부에 감아 혈액의 흐름을 막아 주므로써 정맥의 굵기 를 증가시킬 수 있다.
③ 바늘을 정맥으로 천천히 삽입하고 토니켓을 제거한다. 이때 대상자는 순간의 따끔함을 느낄수 있다.
④ 정맥에서 바늘로 혈액이 흘러나오고 주사기나 채혈튜브에 혈액을 모은다.
⑤ 바늘을 제거한 다음 바늘을 삽입했던 부위에 출혈을 예방하기 위하여 단시간 알코올 솜이나 밴드를 이용 하여 압박해 준다.
참고문헌
서문자 외(1999), 성인간호학(넷째판) 上(Ⅱ), 수문사.
전시자 외(2005), 성인간호학(제4판) 上 下, 현문사.
김광수 외(1998), 응급간호, 현문사
김귀분 외(1999), 중환자간호, 현문사
소희정 외(1999), 재활간호, 현문사
너스 케이프 http://www.nurscape.net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