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국제금융의 개념과 배경
1. 국제금융의 개념
2. 국제금융의 이론적 배경
1) 자본의 한계효율 이론
2) 이윤극대화 이론(Profit Maximization Theory)
3) 생산물 주기 이론(Product Cycle Theory)
4) 위험 분산 이론(Risk Diversification Theory)
5) 국제자본이동 이론
3. 금융 국제화의 경제적 효과
1) 긍정적 효과
2) 부정적 효과
4. 금융 국제화의 발전단계
1) 일반적인 은행의 국제화 단계
2) Steven I.Davis의 국제화 단계
3) Grubel의 국제화 이론
4) Giddy의 국제화 이론
Ⅲ. 국제금융의 기능
Ⅳ. 국제금융의 분류
Ⅴ. 국제금융의 영향
Ⅵ. 우리나라의 금융국제화
1. 배경
2. 금융 국제화의 현황
1) 외국은행의 국내진출
2) 국내은행의 해외진출
3) 자본자유화 현황
4) 외환 자유화 현황
Ⅶ. 외국의 금융국제화
1. 미국의 금융국제화
2. 일본의 금융국제화
3. 남미의 금융국제화
Ⅷ. 결론
참고문헌
Ⅱ. 국제금융의 개념과 배경
1. 국제금융의 개념
2. 국제금융의 이론적 배경
1) 자본의 한계효율 이론
2) 이윤극대화 이론(Profit Maximization Theory)
3) 생산물 주기 이론(Product Cycle Theory)
4) 위험 분산 이론(Risk Diversification Theory)
5) 국제자본이동 이론
3. 금융 국제화의 경제적 효과
1) 긍정적 효과
2) 부정적 효과
4. 금융 국제화의 발전단계
1) 일반적인 은행의 국제화 단계
2) Steven I.Davis의 국제화 단계
3) Grubel의 국제화 이론
4) Giddy의 국제화 이론
Ⅲ. 국제금융의 기능
Ⅳ. 국제금융의 분류
Ⅴ. 국제금융의 영향
Ⅵ. 우리나라의 금융국제화
1. 배경
2. 금융 국제화의 현황
1) 외국은행의 국내진출
2) 국내은행의 해외진출
3) 자본자유화 현황
4) 외환 자유화 현황
Ⅶ. 외국의 금융국제화
1. 미국의 금융국제화
2. 일본의 금융국제화
3. 남미의 금융국제화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 부도가 남에 따라 그 당시 세계에서 가장 신임도가 높은 미국계 은행으로 예금이 집중되었고, 오일머니 중개에 미국계 은행의 해외지점들이 절대적인 우위를 차지하게 된 것이다.
2. 일본의 금융국제화
1960년대 중반까지 만성적인 무역적자를 기록하고 있었기 때문에 외환 및 자본통제가 엄격하여 이 시기의 일본계 은행들의 국제 금융업무는 주로 무역금융의 제공에 제한되었다. 한편, 1973년 변동환율제도로의 이행을 시발로 하여 점진적으로 추진되어온 일본의 금융 국제화는 일본경제의 지속적인 성장에 크게 기여하였다. 이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요인에 기인한다. 첫째, 일본은 금융 국제화에 즈음하여 자의 및 타의에 의해 종래의 고도성장정책을 포기하고 안정성장을 추구하는 정책전환을 이룩했다. 이러한 정책전환의 배경에는 대내적으로 자본과 노동 등 부존자원이 완전고용됨에 따라 성장이 감속 될 수밖에 없었고, 대외적으로는 두 차례에 걸친 석유파동으로 고도성장이 불가능했던 측면도 있었다. 안정성장정책으로의 회귀는 두 가지 측면에서 일본의 금융 국제화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우선 성장이 감속됨에 따라 민간기업의 자금수요압박이 감소되었다. 안정성장의 두번째 효과로는 정부의 재정수입 감소에 따른 국채발행의 증가를 들 수 있다. 그 결과 국채의 발행조건이 다양해지고 거래물량이 증가함으로써 금리의 탄력화 및 금융유통시장의 확대 등 금융자율화의 기반이 조성될 수 있었다. 둘째, 일본의 금융 국제화는 경기순환과 국제수지의 변동에 따라 규제와 완화가 되풀이되는 가운데 점진적으로 추진되었다. 일본의 경우에는 경기가 악화하고 국제수지가 적자로 반전할 경우에는 자본유출을 억제하고 그 반대의 경우에는 자본유출을 촉진하면서 점진적으로 금융 국제화를 추진했다.
3. 남미의 금융국제화
이제 금융 국제화의 대표적 실패 사례로 지적되고 있는 남미를 살펴보고 그에 따른 교훈을 검토해 보기로 한다. 칠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등 남미 3국의 금융 국제화는 개방전의 국내경제여건, 개방의 완급 등 여러 측면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이기는 했으나 대체로 1970년대 중반부터 80년대 초반 사이에 진행되었다. 그러나 남미의 금융 국제화는 아래에 지적하는 요인들에 의해 실패하고 말았다. 첫째, 남미의 경우 특히 아르헨티나의 경우 과도한 재정적자와 이에 따른 인플레이션의 부정적 영향을 들 수 있다. 과도한 재정적자는 국내의 실질이자율을 상승시키고 이에 따른 인플레이션은 명목이자율 역시 상승시켜 해외자본의 유입을 촉진하였다. 이에 따라 남미의 여러 국가는 거의 예외없이 대규모의 채무국으로 전락한 채 아직도 과중한 외채의 부담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뿐만아니라 도입된 자본이 추가적으로 인플레이션을 유발하는 악순환을 되풀이하여 유례없는 고율의 인플레이션으로 큰 비용을 지불하고 있다. 둘째, 금융 국제화의 과정에서 유입된 자본은 교역재산업으로 일부 투입되어 무역수지의 개선에 기여하기도 하였으나 상대적으로 볼 때는 오히려 비교역재산업에 더 광범위하게 투입되었다. 따라서 이는 생산과 경제성장을 촉진하기보다는 오히려 인플레이션 압력을 가중시키는 측면으로 작용하였다.
Ⅷ. 결론
국제적인 금융거래가 이루어지는 시장, 특히 단기자금에 대한 수요와 공급이 이루어지는 시장이다. 국제금융은 사실상 각국 금융시장의 금리(金利)에 차이가 있어, 보다 유리한 시장에서 자금을 차입하든지 대출하려는 것 때문에 국제금융시장이 생기게 된다. 즉, 각국의 외환(外換)을 다루는 은행은 잉여외환자금을 이런 시장에서 운용하며, 또한 부족한 외환자금을 조달하는 이외에 다각적인 외환거래 결제장소로 이용하고 있다. 한편 대부국(貸付國)과 차입국(借入國)이 주로 사용하는 통화도 다를 수 있고, 따라서 환율변동의 가능성은 언제나 존재하므로, 단지 금리차만이 문제가 될 수 없으며 국내금융과는 달리 대차 쌍방 사이에 신용이 충분하지 못한 점도 있어 여러 보조기관이 개재할 필요성이 생긴다. 이런 점이 금융시장의 특색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대차 기간의 장단에 따라 단기국제금융과 장기국제금융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전자만을 좁은 뜻에서 국제금융시장이라 하고 후자를 국제자본시장이라고 하여 구별할 때도 있다. 국제금융시장은 세계적인 금융기관들이 지점 또는 현지법인의 형태로 영업망을 집중시킴으로써 국제금융거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장소로 외환시장(Foreign Exchange Market), 단기 금융시장(Money Market), 중장기금융시장(Capital Market), 주식시장(Equity Market) 및 파생금융상품시장(Financial Derivatives Market) 등을 포괄한다. 전통적 국제금융시장은 상대적으로 우월한 경제규모, 자국 통화의 국제통용력 및 고도로 발달된 국내금융시장을 바탕으로 국제자본의 유출입거래 등을 위하여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된 국제 금융활동의 중심지로서 런던, 뉴욕, 동경 금융시장이 대표적이다. 국제금융시장으로서 자본주의 초기에 유명했던 곳은 암스테르담·브뤼셀·안트베르펜 등이었으나, 나폴레옹 전쟁 이후 런던과 파리로 옮겨졌다. 국제금융시장으로서의 바람직한 요건은 ① 안정적인 통화제도, ② 자유로운 외환거래의 보증, ③ 시장이 있는 나라의 통화에 대한 대량적이며 계속적인 수급(需給) 유지, ④ 시장이 있는 나라에서의 장기적인 국제수지의 균형, ⑤ 어음할인 시장과 은행제도의 발달 등이다. 이와 같은 요건을 갖춘 시장으로서 제1차 세계대전까지는 런던이 독점적인 위치에 있었으나, 전후(戰後)에 영국 파운드가 점차 약체화한 데 비해 미국 달러의 지위가 향상된 것을 배경으로 뉴욕 시장(市場)이 현저하게 대두되었고, 제2차 세계대전 이후로 뉴욕시장이 런던과 함께 2대 국제금융시장의 하나가 되었다.
참고문헌
◎ 곽태운(1998), 국제금융론
◎ 김문관 저(2000), 글로벌 경제시대에 신흥시장에서의 금융위기에 관한 연구,
◎ 금융의 세계화(2002), 기원 비용 및 노림
◎ 김희수 저, 글로벌 경영, 법문사
◎ 백현철(1998), 미국의 금융파워, 중앙 M&B
◎ 성용모, 글로벌 경영시대의 국제금융시장
◎ 프랑수아셰네, 금융의 세계화, 한울
2. 일본의 금융국제화
1960년대 중반까지 만성적인 무역적자를 기록하고 있었기 때문에 외환 및 자본통제가 엄격하여 이 시기의 일본계 은행들의 국제 금융업무는 주로 무역금융의 제공에 제한되었다. 한편, 1973년 변동환율제도로의 이행을 시발로 하여 점진적으로 추진되어온 일본의 금융 국제화는 일본경제의 지속적인 성장에 크게 기여하였다. 이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요인에 기인한다. 첫째, 일본은 금융 국제화에 즈음하여 자의 및 타의에 의해 종래의 고도성장정책을 포기하고 안정성장을 추구하는 정책전환을 이룩했다. 이러한 정책전환의 배경에는 대내적으로 자본과 노동 등 부존자원이 완전고용됨에 따라 성장이 감속 될 수밖에 없었고, 대외적으로는 두 차례에 걸친 석유파동으로 고도성장이 불가능했던 측면도 있었다. 안정성장정책으로의 회귀는 두 가지 측면에서 일본의 금융 국제화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우선 성장이 감속됨에 따라 민간기업의 자금수요압박이 감소되었다. 안정성장의 두번째 효과로는 정부의 재정수입 감소에 따른 국채발행의 증가를 들 수 있다. 그 결과 국채의 발행조건이 다양해지고 거래물량이 증가함으로써 금리의 탄력화 및 금융유통시장의 확대 등 금융자율화의 기반이 조성될 수 있었다. 둘째, 일본의 금융 국제화는 경기순환과 국제수지의 변동에 따라 규제와 완화가 되풀이되는 가운데 점진적으로 추진되었다. 일본의 경우에는 경기가 악화하고 국제수지가 적자로 반전할 경우에는 자본유출을 억제하고 그 반대의 경우에는 자본유출을 촉진하면서 점진적으로 금융 국제화를 추진했다.
3. 남미의 금융국제화
이제 금융 국제화의 대표적 실패 사례로 지적되고 있는 남미를 살펴보고 그에 따른 교훈을 검토해 보기로 한다. 칠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등 남미 3국의 금융 국제화는 개방전의 국내경제여건, 개방의 완급 등 여러 측면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이기는 했으나 대체로 1970년대 중반부터 80년대 초반 사이에 진행되었다. 그러나 남미의 금융 국제화는 아래에 지적하는 요인들에 의해 실패하고 말았다. 첫째, 남미의 경우 특히 아르헨티나의 경우 과도한 재정적자와 이에 따른 인플레이션의 부정적 영향을 들 수 있다. 과도한 재정적자는 국내의 실질이자율을 상승시키고 이에 따른 인플레이션은 명목이자율 역시 상승시켜 해외자본의 유입을 촉진하였다. 이에 따라 남미의 여러 국가는 거의 예외없이 대규모의 채무국으로 전락한 채 아직도 과중한 외채의 부담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뿐만아니라 도입된 자본이 추가적으로 인플레이션을 유발하는 악순환을 되풀이하여 유례없는 고율의 인플레이션으로 큰 비용을 지불하고 있다. 둘째, 금융 국제화의 과정에서 유입된 자본은 교역재산업으로 일부 투입되어 무역수지의 개선에 기여하기도 하였으나 상대적으로 볼 때는 오히려 비교역재산업에 더 광범위하게 투입되었다. 따라서 이는 생산과 경제성장을 촉진하기보다는 오히려 인플레이션 압력을 가중시키는 측면으로 작용하였다.
Ⅷ. 결론
국제적인 금융거래가 이루어지는 시장, 특히 단기자금에 대한 수요와 공급이 이루어지는 시장이다. 국제금융은 사실상 각국 금융시장의 금리(金利)에 차이가 있어, 보다 유리한 시장에서 자금을 차입하든지 대출하려는 것 때문에 국제금융시장이 생기게 된다. 즉, 각국의 외환(外換)을 다루는 은행은 잉여외환자금을 이런 시장에서 운용하며, 또한 부족한 외환자금을 조달하는 이외에 다각적인 외환거래 결제장소로 이용하고 있다. 한편 대부국(貸付國)과 차입국(借入國)이 주로 사용하는 통화도 다를 수 있고, 따라서 환율변동의 가능성은 언제나 존재하므로, 단지 금리차만이 문제가 될 수 없으며 국내금융과는 달리 대차 쌍방 사이에 신용이 충분하지 못한 점도 있어 여러 보조기관이 개재할 필요성이 생긴다. 이런 점이 금융시장의 특색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대차 기간의 장단에 따라 단기국제금융과 장기국제금융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전자만을 좁은 뜻에서 국제금융시장이라 하고 후자를 국제자본시장이라고 하여 구별할 때도 있다. 국제금융시장은 세계적인 금융기관들이 지점 또는 현지법인의 형태로 영업망을 집중시킴으로써 국제금융거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장소로 외환시장(Foreign Exchange Market), 단기 금융시장(Money Market), 중장기금융시장(Capital Market), 주식시장(Equity Market) 및 파생금융상품시장(Financial Derivatives Market) 등을 포괄한다. 전통적 국제금융시장은 상대적으로 우월한 경제규모, 자국 통화의 국제통용력 및 고도로 발달된 국내금융시장을 바탕으로 국제자본의 유출입거래 등을 위하여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된 국제 금융활동의 중심지로서 런던, 뉴욕, 동경 금융시장이 대표적이다. 국제금융시장으로서 자본주의 초기에 유명했던 곳은 암스테르담·브뤼셀·안트베르펜 등이었으나, 나폴레옹 전쟁 이후 런던과 파리로 옮겨졌다. 국제금융시장으로서의 바람직한 요건은 ① 안정적인 통화제도, ② 자유로운 외환거래의 보증, ③ 시장이 있는 나라의 통화에 대한 대량적이며 계속적인 수급(需給) 유지, ④ 시장이 있는 나라에서의 장기적인 국제수지의 균형, ⑤ 어음할인 시장과 은행제도의 발달 등이다. 이와 같은 요건을 갖춘 시장으로서 제1차 세계대전까지는 런던이 독점적인 위치에 있었으나, 전후(戰後)에 영국 파운드가 점차 약체화한 데 비해 미국 달러의 지위가 향상된 것을 배경으로 뉴욕 시장(市場)이 현저하게 대두되었고, 제2차 세계대전 이후로 뉴욕시장이 런던과 함께 2대 국제금융시장의 하나가 되었다.
참고문헌
◎ 곽태운(1998), 국제금융론
◎ 김문관 저(2000), 글로벌 경제시대에 신흥시장에서의 금융위기에 관한 연구,
◎ 금융의 세계화(2002), 기원 비용 및 노림
◎ 김희수 저, 글로벌 경영, 법문사
◎ 백현철(1998), 미국의 금융파워, 중앙 M&B
◎ 성용모, 글로벌 경영시대의 국제금융시장
◎ 프랑수아셰네, 금융의 세계화, 한울
추천자료
국제금융에 대한 논평
국제금융론 문답자료
[국제금융론]미국 서브프라임 사태와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분석 (A+리포트)
국제금융론에 대하여
[직업][직업관][유망직업][직종][유망직종][미래유망직업]직업 정의, 직업 성격, 직업관의 의...
[국제금융]외환시장과 환율 국제수지 국제통화제도
(국제금융 , 국제무역 , 경제 , 경영 ) 피셔 자본 이론으로 본 미국과 중국
(국제금융 , 경제 , 경영 , 외환 환율 ) 고환율 정책과 문제점
[국제금융론]빅맥지수를 통한 국가별 환율 분석
국제금융시장의 구조와 의의, 참가자
국제금융,글로벌경제-유럽시장,긍정효과,부정효과,복수균형이론
국제금융론 과제
국제금융론=1.2016년 1월부터 12월까지 원화와 미국 달러화 사이의 환율과 원화와 일본 엔화...
국제금융론: 코코본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