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영화 '왕과 나' 영화분석 및 의상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전영화 '왕과 나' 영화분석 및 의상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작품 선택

2. 영화 분석
-감독분석

3. 배우 분석

4. 시나리오 분석
- 작품 설명
- 작품 시대적 배경
- 전체 줄거리
- 등장 인물
- 장면 별로 나눠 본 줄거리

5. 의상 분석
- 전체 의상 분석
- 인상에 남는 점

본문내용

두번째 남편 피터 비에텔이 지켜보는 가운데 사망했다.
4. 시나리오 분석
■ 작품설명
- ‘왕과 나’의 처음 시작은 뮤지컬이었다. 원작인 뮤지컬은 마가렛 랜든(Margaret Landon)이 쓴 ‘안나와 샴의 왕’(Anna and the King of Siam)을 기초로 하고 있었다. 주인공인 안나는 실제 인물로 1860년대 초 샴의 왕 몽쿳(Monkut)의 아이들을 가르치던 안나 레노웬스(Anna Leonowens)라는 가정교사였다. ‘왕과 나’ 뮤지컬은 브로드웨이에서 1951년 3월 29일 초연되었다. 안나 역은 거트루드 로렌스(Gertrude Lawrence)가 맡았으며, 이때까지만 해도 거의 알려지지 않았던 배우, 율 브리너(Yul Brynner)가 왕 역할을 맡았었다.
그 후 20세기 폭스의 거물 대릴 F. 재넉(Darryl F. Zanuck)이 영화로 이 작품을 제작했고, 경쾌하고 유쾌한 연출은 월터 랭(Walter Lang)이 맡게된다. (1946년 존 크론웰 감독에 의해 처음 영화로 만들어졌었고, 이 작품은 1956년에 월터 랭 감독에 의해 두번째로 만들어진 작품이다) 감독은 1945년에 이미 로저스와 해머슈타인 콤비의 ‘스테이트 페어’(State Fair)를 연출했던 인연이 있기도 했다. 화려한 의상과 주옥같은 노래가 화면을 수 놓는 \'왕과 나\'는1956년 제 29 회 아카데미에서 남우주연상을 비롯한 5개 부문을 수상했으며 새삼 설명이 필요 없는 전설적인 명배우 데보라 카와 율 브리너가 인상적인 연기를 펼치고, \'사운드 오브 뮤직\' 등 뮤지컬 영화의 독보적인 존재였던 리차드 로저스와 오스카 헤머슈타인 2세가 황금의 콤비를 이뤄 아름다운 음악을 들려준다. 율 브리너는 이 영화로 남우주연상을 수상하여 일약 스타로 발돋움하였고 1980년 이 작품이 브로드웨이 뮤지컬로 만들어지자 직접 주연을 맡아 열연하기도 했다. 태국왕실을 왜곡했다는 이유로 태국에서는 상영이 금지되었다
- 원작 : 마거릿 랜든 (Magaret Landon) , 오스카 해머스테인 2세 (Oscar Hammerstein 2)
- 감독 : 월터 랭 (Walter lang)
- 각본 : 어니스트 레먼 (Ernest Lehaman)
- 출연 : 율 브린너(Yul Brynner), 데보라 카(Deborah Kerr),마니 닉손 (Marni Nixon), 리타 모레노 (Rita Moreno)
- 음악 : 알프레드 뉴만(Alfred Newman), 켄 다비(Ken Darby), 리챠드 로저스(Richard Rodgers), 오스카 햄머스타인(Oscar Hammerstein)
- 안무 : Jerome Robbins(Dances and Musical Numbers Staged)
- 미술 : 라일 R. 휠러 (Lyle R. Wheeler), 존 디커 (John DeCuir)
- 의상 : 아이린 세러프 (Irene Sharaff)
- 촬영 : 레온 샴로이 (Leon Shamroy)
- 상영시간 : 133분 ~ 146분
- 제작사 : 20세기 폭스
■ 작품 시대적 배경
- 1862년 당시 태국
흔히 태국의 왕 라마 4세(1851-1868)부터 라마 6세 (1910-1925) 까지의 시기를 태국의 근대화시기라고 부른다. 서양의 여러 나라와 우호통상조약을 체결한 태국은 영국과 프랑스 식민지의 사이에 끼어 서양 열강의 식민지 추구 정책의 압박을 받고 있었고, 한편으로는 국력을 앞세운 강대국들이 버니조약에 대신하여 자국에 유리한 조약을 체결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왕위에 오른 라마 4세(뭉쿳, 왕과 나 영화 주인공) 태국의 존립과 국익을 위한 새로운 정치를 모색해야만 하는 어려움 속에서 정치적 독립을 위한 타개책으로 1855년에 영국과 우호 통상조약(일명 바우링 조약)을 체결하였다.
라마 4세를 비롯한 태국 왕들은 태국의 근대화만이 계속 독립을 유지할 수 있는 길이라 믿고 영토를 할애하면서 태국의 근대화를 위한 기초를 닦았다. 한마디로 라마 4세의 재위기간은 태국 역사의 전환점이 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라마 4세의 뒤를 이은 라마 5세는 부왕의 뜻을 이어 영국을 모델로 행정개혁을 단행했으며, 노예를 폐지하고 프라이의 부역제를 폐지함으로서 사회적 변혁을 유도하였다. 이러한 개혁이 성공한 것은 라마 4세 때부터 시작된 서양식 교육의 보급과 활발한 잡지의 보급, 그리고 자본주의제도의 도입에 따른 부의 축적이 이루어지면서 비록 소규모이기는 해도 중산층이 생기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태국의 근대화를 위하여 라마 4세는 행정개혁을 비롯해 많은 개혁을 하였을 뿐 아니라 서양의 신학문을 스스로 공부하고 자녀를 비롯해 귀족과 관료 백성에게 배우도록 함으로써본격적인 근대화를 위한 기초를 닦았다. 서양과 같이 효율적인 행정을 위하여 라마 4세는 영국인과 미국인 등 전문인을 자문이나 관료로 초빙하였다.
앞서 말했듯이 국가 발전을 위해 새로운 방식의 교육이 절대 필요하다고 생각한 왕은 태국에 신학문을 교육하는 학교를 설립하여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국가 발전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위로는 왕자를 비롯한 왕족과 고급관료의 자녀로부터 아래로 일반 백성의 자녀에 이르기까지 훌륭한 인물은 신분의 고하를 가리지 않고 신식교육을 받을 기회를 갖게 해주었다. 그 첫 단계로 브래들리 부인 맷툰 부인 죤스 부인 등 미국 선교사의 부인을 왕궁의 교사로 초빙하여 왕비를 비롯한 궁녀와 후궁, 그리고 왕실내의 여성들에게 영어와 신학문을 가르치게 했으나 이 교육은 약 4개월간 지속되었을 뿐이었다.
후에, 왕자와 공주가 교육받을 나이가 되자 라마 4세는 1862년에 싱가포르로부터 미망인인 안나 레오노웬스 부인을 정식 교사로 초빙하여 5년간 왕궁에서 왕자와 공주들을 교육하게 했다. 이외에 서양의 선교사에게 방콕과 지방에 학교를 설립하도록 허용함으로서 일반 백성이 신식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이때 세워진 학교로 맥화랜드 부인이 1865년에 펫부리에 세운 여성기술학교가 있다. 이외에도 필요한 관료를 해외로 파견하여 견문을 넓히고 신기술을 배워오게 했는데 프랑스의 인쇄업과 인쇄술을 살피고 온 쿤마하씻티워한과 런던에서 시계수리기술을 배우고 온 믄짝끄라위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8.11.06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97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