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와인의 개요
2.와인의 성분
3.와인의 효과
4.와인의 역사
2.와인의 성분
3.와인의 효과
4.와인의 역사
본문내용
건
- 필록세라라는 진딧물은 전국의 모든 포도밭을 황폐화
- 저항력이 강한 미국 품종과 접목하면서 사건은 일단락
그리고 20세기를 맞이하면서 프랑스는 ‘원산지통제명칭(AOC)\' 제도를 도입
♠ 신대륙으로
1857년, 미국인 아고스톤 하라치(Agoston Harazthy)에 의해 300여종의 포도나무 10만점을 유럽에서 사가지고 캘리포니아 소노마 지역에서 포도 재배 시작
4년 후, 미국에서는 처음으로 와인을 양조했는데 이 와인이 유명한 진판델 와인이다. 그러나 1919년부터 시행한 금주령 때문에 와인사업은 좌절되고 만다.
1960년대 이후부터 와인 산업은 회복하기 시작했고 미국은 이제 세계적인 와인 생산국으로 부상하였다.
♠ 영원한 맞수
1980년대 이후부터 미국뿐만 아니라 칠레, 호주, 뉴질랜드 같은 나라에서 와인을 생산한다. 이 나라들은 전통적으로 와인을 생산했던 유럽국가들과 구분하기 위해 신세계(New World)라고 부른다.
반면에 프랑스, 이태리, 스페인, 독일 같은 유럽의 전통 와인 생산국가들은 구세계(Old World)라고 한다.
4. 와인의 분류(와인학개론 백산출판사 김성혁. 김진국 2003)
■ 제조방법: 여러 가지 방법으로 와인 만들기(제법에 의한 분류)
우리가 흔히 와인이라고 말하는 건, 1)스틸와인(Still Wine)을 두고 하는 말이다.
스틸와인은 기포가 없는 일반적인 와인으로 수도 많지만 그 종류도 가장 다양한 와인이다.
다음으로는 축제의 와인, 발포성 와인이 있다.
2)스파클링 와인(Sparkling Wine)이라고도 불리우며 말 그대로 기포가 일어나는 와인이다.
1차 발효가 끝난 와인에 효모와 설탕을 새로 첨가해서 탄산가스를 일으키도록 하는 방식을 사용하는데 이 탄산가스가 바로 기포를 만드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샴페인은 프랑스 상빠뉴지방에서 생산되는 발포성 와인이다. 그리고 3)주정강화 와인(Fortified Wine)이 있다.
발포성 와인이 효모와 설탕을 첨가했다면 주정강화 와인은 알코올을 첨가한 와인이다.
그래서 알코올 도수가 높을 뿐만 아니라 단 맛이 강한 와인이 많지만 단 맛이 없는 주정강화 와인도 있다. 대표적인 와인은 단 맛이 없는 스페인의 셰리(세계적인 식전주)와 단맛이 강한 포르투갈의 포트(세계적인 식후주)가 있다. 마지막으로 4)가향와인(Flavored)은 과실즙이나 약초를 첨가해서 향을 좋게 한 것이 특징이다. 베르무쓰가 대표적인 가향와인은 주로 서양요리나 칵테일용으로 쓰인다.
■ 색상 : 분홍, 빨강 그리고 하얀색(와인의 색)
와인 색깔이 다른 경우 와인의 맛도 당연히 달라진다. 와인의 색깔이 다른 건 바로 양조방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적포도주는 붉은 빛이 나는 와인이다. 포도즙을 발효하는 동안 껍질 속에 있는 색소와 탄닌 성분을 우려내기 때문에 적포도주는 색이 붉을 뿐만 아니라 탄닌 맛도 나는 것이 특징이다. 색깔은 루비색, 바이올렛색, 자주색, 붉은 체리색, 적색, 갈색 등이 있어서 농도와 채도가 다양하다. 반대로 백포도주는 포도즙만 발효한다.
그렇기 때문에 껍질의 색깔이 우러나지 않으며 탄닌 맛이 거의 없다.
대부분 청포도로 화이트와인을 만들지만 적포도 품종으로도 화이트 와인을 만드는 경우가 있다. 상빠뉴가 좋은예다.
흰색부터 시작해서 연노란색, 볏짚색, 황금색, 연두색까지 화이트와인의 색상농도와 채도 또한 다양하다. 로제와인은 적포도주 처럼 포도껍질, 씨와 함께 발효한다.
다른 점이 있다면 발효기간 동안 색소성분이 들어있는 포도껍질을 우려내는 시간이 적포도주보다 짧다는 것이다. 아름다운 장미 빛을 띤 로제와인은 가벼운 식사, 즉 부담 없이 시원하게 마신다.
■ 당도: 단맛에 따라(와인의 맛)
드라이와인(Dry Wine)은 단맛이 없는 와인이다.
여기서 ‘드라이’라는 건 건조한 느낌이 아니라 “달지 않다”는 뜻이다.
대부분의 적포도주는 드라이와인이며, 유명한 백포도주가운데에는 드라이와인들이 많다.
미디엄 드라이 와인(Medium Dry Wine)은 약간 단맛이 느껴지는 와인이다.
주로 미국이나 호주 같은 신세계국가에서 생산한 와인들이 많다.
드라이 와인이 달지 않은 와인이라면 단 맛의 와인을 스위트하다고 표현한다.
스위트와인은 단 맛이 강한 그래서 꿀물처럼 달콤한 와인이다.
스위트와인 가운데 잘 알려진 와인으로는 프랑스의 쏘떼른느(Sauterne) 와인과 독일의 아이스 와인(Ice Wine), 캐나다 아이스 와인 그리고 헝가리의 토카이(Tokaji) 와인이 있다.
■ 바디: 와인의 무게
바디(Body)는 입안에서 느껴지는 와인의 무게이다.
다시 말해 와인의 용량처럼 무게를 잴 수는 없지만 입안에서 느껴지는 볼륨이나 무게감을 바디하다고 표현한다. 다름 아닌 탄닌이나 알코올 같은 와인의 성분들 때문에 이렇게 입안을 가볍게도 무겁게도 느끼게 해준다.
라이트 바디와인(Light Bodied Wine)은 무게감이 가벼운 와인으로 맛도 가볍고 경쾌하다.
대표적인 와인으로는 프랑스의 보졸레 와인과 로제와인이 있다.
미디엄 바디와인(Medium Bodied Wine)은 무겁지도 가볍지도 않은 와인이다.
풀바디드 와인보다는 부드럽고 라이트 바디드 와인보다는 중후한맛이 있다.
풀바디 와인(Full Bodied Wine)은 헤비급 권투선수를 연상하면 된다.
입안에서는 묵직한 느낌이 들면서 맛과 향이 진한데 특히 탄닌 맛이 강하다.
까베르네 쏘비뇽 품종으로 만든 와인 가운데에는 풀바디드한 와인이 많다.
■ 용도: 식사와 함께 와인을..
식전용 와인(Aperitif Wine)은 식사하기 전에 입맛을 돋구워 주는 와인이다.
주로 스파클링 와인이나 드라이한 맛의 백포도주 또는 셰리 와인을 마신다.
손님이 왔을 때 가장 먼저 권하는 것이 식전용 와인이다.
식사용 와인(Table Wine)은 식사하는 동안 마시는 와인이다.
백포도주, 적포도주, 로제등 모든 와인이 무난하다.
어떤 음식과 먹을 것인지, 음식과 가장 잘 어울릴만한 와인을 고르는 것이 중요하다.
식후용 와인(Dessert Wine)은 케이크나 과자같은 후식과 함께 마시는 와인이다.
단맛의 스위트와인이 대부분이 디저트와인이다.
- 필록세라라는 진딧물은 전국의 모든 포도밭을 황폐화
- 저항력이 강한 미국 품종과 접목하면서 사건은 일단락
그리고 20세기를 맞이하면서 프랑스는 ‘원산지통제명칭(AOC)\' 제도를 도입
♠ 신대륙으로
1857년, 미국인 아고스톤 하라치(Agoston Harazthy)에 의해 300여종의 포도나무 10만점을 유럽에서 사가지고 캘리포니아 소노마 지역에서 포도 재배 시작
4년 후, 미국에서는 처음으로 와인을 양조했는데 이 와인이 유명한 진판델 와인이다. 그러나 1919년부터 시행한 금주령 때문에 와인사업은 좌절되고 만다.
1960년대 이후부터 와인 산업은 회복하기 시작했고 미국은 이제 세계적인 와인 생산국으로 부상하였다.
♠ 영원한 맞수
1980년대 이후부터 미국뿐만 아니라 칠레, 호주, 뉴질랜드 같은 나라에서 와인을 생산한다. 이 나라들은 전통적으로 와인을 생산했던 유럽국가들과 구분하기 위해 신세계(New World)라고 부른다.
반면에 프랑스, 이태리, 스페인, 독일 같은 유럽의 전통 와인 생산국가들은 구세계(Old World)라고 한다.
4. 와인의 분류(와인학개론 백산출판사 김성혁. 김진국 2003)
■ 제조방법: 여러 가지 방법으로 와인 만들기(제법에 의한 분류)
우리가 흔히 와인이라고 말하는 건, 1)스틸와인(Still Wine)을 두고 하는 말이다.
스틸와인은 기포가 없는 일반적인 와인으로 수도 많지만 그 종류도 가장 다양한 와인이다.
다음으로는 축제의 와인, 발포성 와인이 있다.
2)스파클링 와인(Sparkling Wine)이라고도 불리우며 말 그대로 기포가 일어나는 와인이다.
1차 발효가 끝난 와인에 효모와 설탕을 새로 첨가해서 탄산가스를 일으키도록 하는 방식을 사용하는데 이 탄산가스가 바로 기포를 만드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샴페인은 프랑스 상빠뉴지방에서 생산되는 발포성 와인이다. 그리고 3)주정강화 와인(Fortified Wine)이 있다.
발포성 와인이 효모와 설탕을 첨가했다면 주정강화 와인은 알코올을 첨가한 와인이다.
그래서 알코올 도수가 높을 뿐만 아니라 단 맛이 강한 와인이 많지만 단 맛이 없는 주정강화 와인도 있다. 대표적인 와인은 단 맛이 없는 스페인의 셰리(세계적인 식전주)와 단맛이 강한 포르투갈의 포트(세계적인 식후주)가 있다. 마지막으로 4)가향와인(Flavored)은 과실즙이나 약초를 첨가해서 향을 좋게 한 것이 특징이다. 베르무쓰가 대표적인 가향와인은 주로 서양요리나 칵테일용으로 쓰인다.
■ 색상 : 분홍, 빨강 그리고 하얀색(와인의 색)
와인 색깔이 다른 경우 와인의 맛도 당연히 달라진다. 와인의 색깔이 다른 건 바로 양조방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적포도주는 붉은 빛이 나는 와인이다. 포도즙을 발효하는 동안 껍질 속에 있는 색소와 탄닌 성분을 우려내기 때문에 적포도주는 색이 붉을 뿐만 아니라 탄닌 맛도 나는 것이 특징이다. 색깔은 루비색, 바이올렛색, 자주색, 붉은 체리색, 적색, 갈색 등이 있어서 농도와 채도가 다양하다. 반대로 백포도주는 포도즙만 발효한다.
그렇기 때문에 껍질의 색깔이 우러나지 않으며 탄닌 맛이 거의 없다.
대부분 청포도로 화이트와인을 만들지만 적포도 품종으로도 화이트 와인을 만드는 경우가 있다. 상빠뉴가 좋은예다.
흰색부터 시작해서 연노란색, 볏짚색, 황금색, 연두색까지 화이트와인의 색상농도와 채도 또한 다양하다. 로제와인은 적포도주 처럼 포도껍질, 씨와 함께 발효한다.
다른 점이 있다면 발효기간 동안 색소성분이 들어있는 포도껍질을 우려내는 시간이 적포도주보다 짧다는 것이다. 아름다운 장미 빛을 띤 로제와인은 가벼운 식사, 즉 부담 없이 시원하게 마신다.
■ 당도: 단맛에 따라(와인의 맛)
드라이와인(Dry Wine)은 단맛이 없는 와인이다.
여기서 ‘드라이’라는 건 건조한 느낌이 아니라 “달지 않다”는 뜻이다.
대부분의 적포도주는 드라이와인이며, 유명한 백포도주가운데에는 드라이와인들이 많다.
미디엄 드라이 와인(Medium Dry Wine)은 약간 단맛이 느껴지는 와인이다.
주로 미국이나 호주 같은 신세계국가에서 생산한 와인들이 많다.
드라이 와인이 달지 않은 와인이라면 단 맛의 와인을 스위트하다고 표현한다.
스위트와인은 단 맛이 강한 그래서 꿀물처럼 달콤한 와인이다.
스위트와인 가운데 잘 알려진 와인으로는 프랑스의 쏘떼른느(Sauterne) 와인과 독일의 아이스 와인(Ice Wine), 캐나다 아이스 와인 그리고 헝가리의 토카이(Tokaji) 와인이 있다.
■ 바디: 와인의 무게
바디(Body)는 입안에서 느껴지는 와인의 무게이다.
다시 말해 와인의 용량처럼 무게를 잴 수는 없지만 입안에서 느껴지는 볼륨이나 무게감을 바디하다고 표현한다. 다름 아닌 탄닌이나 알코올 같은 와인의 성분들 때문에 이렇게 입안을 가볍게도 무겁게도 느끼게 해준다.
라이트 바디와인(Light Bodied Wine)은 무게감이 가벼운 와인으로 맛도 가볍고 경쾌하다.
대표적인 와인으로는 프랑스의 보졸레 와인과 로제와인이 있다.
미디엄 바디와인(Medium Bodied Wine)은 무겁지도 가볍지도 않은 와인이다.
풀바디드 와인보다는 부드럽고 라이트 바디드 와인보다는 중후한맛이 있다.
풀바디 와인(Full Bodied Wine)은 헤비급 권투선수를 연상하면 된다.
입안에서는 묵직한 느낌이 들면서 맛과 향이 진한데 특히 탄닌 맛이 강하다.
까베르네 쏘비뇽 품종으로 만든 와인 가운데에는 풀바디드한 와인이 많다.
■ 용도: 식사와 함께 와인을..
식전용 와인(Aperitif Wine)은 식사하기 전에 입맛을 돋구워 주는 와인이다.
주로 스파클링 와인이나 드라이한 맛의 백포도주 또는 셰리 와인을 마신다.
손님이 왔을 때 가장 먼저 권하는 것이 식전용 와인이다.
식사용 와인(Table Wine)은 식사하는 동안 마시는 와인이다.
백포도주, 적포도주, 로제등 모든 와인이 무난하다.
어떤 음식과 먹을 것인지, 음식과 가장 잘 어울릴만한 와인을 고르는 것이 중요하다.
식후용 와인(Dessert Wine)은 케이크나 과자같은 후식과 함께 마시는 와인이다.
단맛의 스위트와인이 대부분이 디저트와인이다.
추천자료
포도주에 관한 조사와 정리
화이트 와인 제조
블루오션전략을 읽고 독후감
[마케팅관리]소주시장 '처음처럼'과 '참이슬' 마케팅 비교분석(리포트)
[뉴질랜드][뉴질랜드문화][뉴질랜드의 문화][뉴질랜드 풍습][가볼 만한 여행지][관광지]뉴질...
'블루오션 전략'을 읽고
[현대생활과패션]사회,문화 경제적 배경이 패션에 미치는 영향
경영, 경제 필독도서 블루오션전략블루오션 전략 요약
와인과 소믈리에론 (Olivier Leflaive )
[독후감] 블루오션 전략 (김위찬 저)
와인의 분류, 프랑스와인의 종류
[창업] 업종과 업태의 결정 - 창업업종 및 업태 결정시 유의사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