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대체의학이란 무엇인가?
대체의학에 대한 관점
서양의학에 밀접한 대체의학
동양의학에 밀접한 대체의학
동,서의학 접목형의 대체의학
대체의학을 연구하는 일부 학자들의 염려 및 경고사항
암 환자의 생존율을 근거로 한 대체의학의 효능
대체의학에 대한 관점
서양의학에 밀접한 대체의학
동양의학에 밀접한 대체의학
동,서의학 접목형의 대체의학
대체의학을 연구하는 일부 학자들의 염려 및 경고사항
암 환자의 생존율을 근거로 한 대체의학의 효능
본문내용
ival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Bagenal FS, Easton DF, Harris E, Chilvers CED, McElwain TJ. Survival of patients with breast cancer attending Bristol Cancer Help Centre. Lancet 1990; 336: 606-610
1991년 Cassileth 등이 전통적 치료법만 시행하는 환자와 전통요법 및 대체의학을 함께 시행한 환자간의 matched-cohort study를 시행하여 생존율과 삶의 질에 대한 차이를 연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예상되는 평균 생존기간이 1년 미만인 말기 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에서도 두 군간의 생존기간에 대한 차이는 없었으며 평균 생존은 15개월이었다. 삶의 질 부분을 비교하였을 경우는 예상과 반대로 기존의 일반적 치료법을 사용한 환자들에게서 오히려 높게 나타났다. 대개의 경우 대체의학에서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이 되는데 이 연구는 그러한 가정을 반박하였다. 저자들의 의견에 의하면 이러한 결과는 질환의 치료에 사용되는 처치와 그에 관련된 부작용만이 삶의 질을 평가하는 요인이라기보다 이는 단지 하나의 영향 인자에 불과하고 질환으로 인한 요인들이 환자들의 증상에 크게 작용할 것으로 생각된다는 것이다. 또한 보조적인 의료적 처치(효율적인 통증관리, 화학요법과 관련된 부작용의 예방법 등)에 의해 환자의 삶의 질은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기도 한다. 가장 최근에 Norway에서 Risberg 등10)이 암 환자에서의 대체의학 사용 빈도 및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5년간의 추적 조사를 시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대체의학 사용자의 74%의 환자가 종교적 치료방법(단독 또는 타 대체의학과의 병용)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지역적인 특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252명의 환자에서 최초 설문 후 4, 12, 24, 60 개월 후 각각 추적 조사하였다. 이 연구의 cross-sectional part에서 대체의학 사용 환자 수는 17.4%-27.3%로 나타났으나 추적기간동안 대체의학을 시도하게 될 estimate cumulative risk는 45%로 나타났다. 성별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고(50% 대 31%), 75세 이상의 환자는 거의 대체의학을 시행하지 않았다. 5년간 관찰된 생존율에 있어서 대체의학의 사용은 환자들의 생존율에 아무런 영향이 없었다.
Bagenal FS, Easton DF, Harris E, Chilvers CED, McElwain TJ. Survival of patients with breast cancer attending Bristol Cancer Help Centre. Lancet 1990; 336: 606-610
1991년 Cassileth 등이 전통적 치료법만 시행하는 환자와 전통요법 및 대체의학을 함께 시행한 환자간의 matched-cohort study를 시행하여 생존율과 삶의 질에 대한 차이를 연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예상되는 평균 생존기간이 1년 미만인 말기 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에서도 두 군간의 생존기간에 대한 차이는 없었으며 평균 생존은 15개월이었다. 삶의 질 부분을 비교하였을 경우는 예상과 반대로 기존의 일반적 치료법을 사용한 환자들에게서 오히려 높게 나타났다. 대개의 경우 대체의학에서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이 되는데 이 연구는 그러한 가정을 반박하였다. 저자들의 의견에 의하면 이러한 결과는 질환의 치료에 사용되는 처치와 그에 관련된 부작용만이 삶의 질을 평가하는 요인이라기보다 이는 단지 하나의 영향 인자에 불과하고 질환으로 인한 요인들이 환자들의 증상에 크게 작용할 것으로 생각된다는 것이다. 또한 보조적인 의료적 처치(효율적인 통증관리, 화학요법과 관련된 부작용의 예방법 등)에 의해 환자의 삶의 질은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기도 한다. 가장 최근에 Norway에서 Risberg 등10)이 암 환자에서의 대체의학 사용 빈도 및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5년간의 추적 조사를 시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대체의학 사용자의 74%의 환자가 종교적 치료방법(단독 또는 타 대체의학과의 병용)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지역적인 특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252명의 환자에서 최초 설문 후 4, 12, 24, 60 개월 후 각각 추적 조사하였다. 이 연구의 cross-sectional part에서 대체의학 사용 환자 수는 17.4%-27.3%로 나타났으나 추적기간동안 대체의학을 시도하게 될 estimate cumulative risk는 45%로 나타났다. 성별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고(50% 대 31%), 75세 이상의 환자는 거의 대체의학을 시행하지 않았다. 5년간 관찰된 생존율에 있어서 대체의학의 사용은 환자들의 생존율에 아무런 영향이 없었다.
추천자료
아로마테라피(향기치료)
최면수사
통증관리
아로마테라피(AROMATHERAPY)
테라피요가
중국의 중의약과 한의약의 합작산업
아동들의 인스턴트 음식섭취의 문제점과 대안
추천자료[무용치료 Dance therapy] 무용치료 개념, 무용치료 역사, 무용치료 원리, 무용치료 ...
[농학과 공통] 1. 현재 유통되고 있는 가공식품을 선정하고 일괄표시면, 주표시면, 기타 표...
성사랑사회C : [성사랑사랑C형] 여성들의 몸에 가해지는 억압이나 사회적 통제 중에서, 과학...
간호학 특론B형 [ 서치만의 질병과정을 적용하여 만성질환자와 급성질환자의 의료이용행위를 ...
[두피모발관리] 두피모발의 개요와 두피모발관리방법 조사 - 두피모발관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