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공적부조제도의 경제적 효과
1. 한국 생활보호제도의 경제효과
2. 기타 공적부조제도의 경제효과
III. 연금제도의 경제적 효과
IV. 의료보험제도의 경제적 효과
V. 결론
II. 공적부조제도의 경제적 효과
1. 한국 생활보호제도의 경제효과
2. 기타 공적부조제도의 경제효과
III. 연금제도의 경제적 효과
IV. 의료보험제도의 경제적 효과
V. 결론
본문내용
대될 전망이다. 이와 같은 중저소득층으로의 소득의 재분배는 이들이 교육, 보건의료, 식료품 등 보다 생산적인 소비지출을 하고 있는 지출행태로 보아 복지제도의 생산적 기능이 매우 강하다.
종합하여 볼 때, 공적부조는 물론 사회보험에서 조차 최저생활의 보장에도 미흡한 우리의 복지제도에서 선진국에서 논의되고 있는 부정적 경제효과를 논하기는 어렵다. 서구의 복지병의 가장 큰 원인인 연금제도에서도 많은 가입자의 최저생계 유지를 어렵게 할 것으로 전망되는 실정에서 복지병을 염려함은 더욱 한국의 현실에 무감각한 입장이라고 볼 수 있다. 앞으로의 우리의 복지제도가 서구에서와 같은 과잉복지를 수반하지 않는다면 복지의 부정적 효과를 우려할 필요는 없다. 복지와 경제의 관계 정립방향은 현재는 외형으로만 그친 복지제도와 열등한 복지수준의 불균형을 전국민에 대한 기본적 생활의 보장이라는 복지수준까지 제고하는 것이고, 복지제도도 복지의 생산적 기능을 제고하기 위하여 보건의료, 교육 및 훈련, 주거 등에 대한 지원확대에 역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경제에서는 시장경제 및 자유사회의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새로운 기술의 획득에 두어야겠지만, 복지에서는 극빈층에 대한 최저생활의 보장 이외에는 인적 자본의 향상을 위한 영양, 기초 보건 및 위생, 교육 및 훈련 등의 비중을 강화하는 공적부조 및 사회보험의 복지체계로 전환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윤미 및 문옥륜,「공교의료보험대상자의 의료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국민보건연구소 연구논총 제2권, 161-183쪽, 1992년 9월.
나성린 및 현진권,「조세 및 사회부조정책의 효과분석-Tax-Benefit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조세연구원, 1993.
박순일 등,『한국의 저소득층의 의료복지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4.
박순일 등,『최저생계비계측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5.
박순일,『한국의 빈곤현실과 사회보장』, 일신사, 2판, 1995.
육효순,「공무원 및 사립학교교직원 의료보험의 소득재분배효과에 관한 분석」,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86.
의료보험연합회,『‘96 의료보험통계연보』.
Barr, Nicholas, The Economics of the Welfare Stat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87, pp. 108-124.
Blank, R. M. “The Effect Of Medical Need and Medicaid on AFDC Participation, The Journal of Human Resources, Winter 1989.
Boadway, R. W. & D. E. Wildasin, Public Sector Economics, 2nd ed. Little, Brown, and Company, 1984, pp.458-96: 사회보험의 경제적 효과 분석의 틀.
Burtless, G. & R. A. Moffit, Social Security and the Retirement Decision.
Danziger, S., Haveman, R. And R. Plotnick, “How Income Transfer Programs Affect Work,
Savings, and the Income Distribution: A Critical Review“,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Sep. 1981, pp. 975-1028.
Fraker T. & R. Moffit, “The Effect of Food Stamps on Labour Supply - A Bivariate Selection Model”, Journal of Public Economics, Vol. 35, 1988, pp. 25-56.
Garfinkel, I., Robins, P. R., Wong P., & D. R. Meyer, “The Wisconsin Child Support Assurance System - Estimated Effects on Poverty, Labour Supply, Caseloads, and Costs”, Journal of Human Resources, Winter 1990.
Kakwani, N., Analyzing Redistribution Polic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Moffit, R., “Incentive Effects of the U.S. Welfare System; A Review”,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Mar. 1992, pp. 1-61.
Moffit, R., & B. Wolfe, “The Effect of The Medicaid Program on Welfare Participation and Labour Supply”,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1992.
Ofer, Gur, “The Grobal Economy and Social Change At the Turn of the Century: The Interaction Between Economic Growth and Poverty”, Presented at WELFARE \'94, The 2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ICSW, July 3-7, 1994, Tampere, Finland.
Palme M. and I. Svensson, “Social Security, Occupational Pensions, And Retirement in Sweden”, NBER Working Paper Series, Aug. 1997.
Rosen, H. S., Public Finance, Irwin, 1988, pp. 193-229.
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 Social Security Bulletin, 1989.
Winkler, A. E., “The Incentive Effects of Medicaid on Women\'s Labour Supply”, Journal of Human Resources, spring 1991.
종합하여 볼 때, 공적부조는 물론 사회보험에서 조차 최저생활의 보장에도 미흡한 우리의 복지제도에서 선진국에서 논의되고 있는 부정적 경제효과를 논하기는 어렵다. 서구의 복지병의 가장 큰 원인인 연금제도에서도 많은 가입자의 최저생계 유지를 어렵게 할 것으로 전망되는 실정에서 복지병을 염려함은 더욱 한국의 현실에 무감각한 입장이라고 볼 수 있다. 앞으로의 우리의 복지제도가 서구에서와 같은 과잉복지를 수반하지 않는다면 복지의 부정적 효과를 우려할 필요는 없다. 복지와 경제의 관계 정립방향은 현재는 외형으로만 그친 복지제도와 열등한 복지수준의 불균형을 전국민에 대한 기본적 생활의 보장이라는 복지수준까지 제고하는 것이고, 복지제도도 복지의 생산적 기능을 제고하기 위하여 보건의료, 교육 및 훈련, 주거 등에 대한 지원확대에 역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경제에서는 시장경제 및 자유사회의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새로운 기술의 획득에 두어야겠지만, 복지에서는 극빈층에 대한 최저생활의 보장 이외에는 인적 자본의 향상을 위한 영양, 기초 보건 및 위생, 교육 및 훈련 등의 비중을 강화하는 공적부조 및 사회보험의 복지체계로 전환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윤미 및 문옥륜,「공교의료보험대상자의 의료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국민보건연구소 연구논총 제2권, 161-183쪽, 1992년 9월.
나성린 및 현진권,「조세 및 사회부조정책의 효과분석-Tax-Benefit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조세연구원, 1993.
박순일 등,『한국의 저소득층의 의료복지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4.
박순일 등,『최저생계비계측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5.
박순일,『한국의 빈곤현실과 사회보장』, 일신사, 2판, 1995.
육효순,「공무원 및 사립학교교직원 의료보험의 소득재분배효과에 관한 분석」,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86.
의료보험연합회,『‘96 의료보험통계연보』.
Barr, Nicholas, The Economics of the Welfare Stat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87, pp. 108-124.
Blank, R. M. “The Effect Of Medical Need and Medicaid on AFDC Participation, The Journal of Human Resources, Winter 1989.
Boadway, R. W. & D. E. Wildasin, Public Sector Economics, 2nd ed. Little, Brown, and Company, 1984, pp.458-96: 사회보험의 경제적 효과 분석의 틀.
Burtless, G. & R. A. Moffit, Social Security and the Retirement Decision.
Danziger, S., Haveman, R. And R. Plotnick, “How Income Transfer Programs Affect Work,
Savings, and the Income Distribution: A Critical Review“,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Sep. 1981, pp. 975-1028.
Fraker T. & R. Moffit, “The Effect of Food Stamps on Labour Supply - A Bivariate Selection Model”, Journal of Public Economics, Vol. 35, 1988, pp. 25-56.
Garfinkel, I., Robins, P. R., Wong P., & D. R. Meyer, “The Wisconsin Child Support Assurance System - Estimated Effects on Poverty, Labour Supply, Caseloads, and Costs”, Journal of Human Resources, Winter 1990.
Kakwani, N., Analyzing Redistribution Polic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Moffit, R., “Incentive Effects of the U.S. Welfare System; A Review”,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Mar. 1992, pp. 1-61.
Moffit, R., & B. Wolfe, “The Effect of The Medicaid Program on Welfare Participation and Labour Supply”,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1992.
Ofer, Gur, “The Grobal Economy and Social Change At the Turn of the Century: The Interaction Between Economic Growth and Poverty”, Presented at WELFARE \'94, The 2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ICSW, July 3-7, 1994, Tampere, Finland.
Palme M. and I. Svensson, “Social Security, Occupational Pensions, And Retirement in Sweden”, NBER Working Paper Series, Aug. 1997.
Rosen, H. S., Public Finance, Irwin, 1988, pp. 193-229.
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 Social Security Bulletin, 1989.
Winkler, A. E., “The Incentive Effects of Medicaid on Women\'s Labour Supply”, Journal of Human Resources, spring 1991.
추천자료
[보호관찰제도][보호관찰]보호관찰제도의 연혁, 보호관찰활동의 실태와 보호관찰대상 청소년...
예금보험제도(예금자보호제도)의 특징과 도입배경, 예금보험제도(예금자보호제도)와 사전적 ...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정책분석 - Gilbert & Specht의 정책분석틀을 중심으로 -
저소득층을 위한 사회복지행정(국민기초생활보상제도)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장점 및 문제점
부양의무자 기준중심의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인권, 소수자보호제도, 학생인권보호제도, 통신실명제도, 호적제도(주민등록제도)]인권과 소...
[사회보장론] 국민기초 생활보장제도의 장점과 문제점
[사회복지보장론]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장점과 문제점
의료사회사업론2B) 우리나라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변천, 기본원리, 급여, 문제점 및 개선...
우리나라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 대하여 논하시오.
의료사회사업론, A형) 우리나라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사업내용을 간단히 설명하고 개선점...
우리나라의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 대해 설명하고, 개선방안을 논하시오.
[사회복지정책론]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정책분석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