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목적
2. 배경 이론
3. 실험 기구 및 시약
4. 실험 방법
5. 실험 결과 및 분석
6. 논 의
7. 참고문헌
2. 배경 이론
3. 실험 기구 및 시약
4. 실험 방법
5. 실험 결과 및 분석
6. 논 의
7. 참고문헌
본문내용
보면 dye 용액을 정확히 사용하지 않으면 오차가 심해진다고 주의 사항이 나와있어서 최대로 정확히 하려고 했으나 조금 차이가 생겼을 수 있다. 만약 비타민 C의 분자량이 176.13이 나오기 위해서는 반응한 dye의 질량이 0.00184g 되어야 하는데 우리 조의 실험 결과는 0.00194g 으로 0.0001g 의 차이가 있다. dye 용액은 이미 만들어진 것을 공동으로 사용하였으므로 우리와 같이 실험한 다른 조의 결과와 비교하여 보면 더 자세한 오차의 원인을 분석할 수 있겠으나 여건상 이렇게 하지는 못했다.
세 번째로 적정할 때 종말점을 찾는 과정에서 약간의 오차가 생겼을 수 있다. 육안으로 색깔이 변하는 것만 보고 판단하였으므로 실제로는 완전히 반응하지 않았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오차가 생겼을 수 있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오차의 원인은 아주 미세한 차이이고 또한 미숙한 실험자에게서 나올 수 있는 어쩔 수 없는 오차라고 생각한다. 만약 오차율이 20%이상을 넘어간다면 큰 오차가 있는 것이고 더 많은 오차의 원인을 생각해볼 수 있겠지만 우리 조의 경우는 대체로 오차가 크지 않았으므로 만족할만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실제로 반응비가 1:1 이 되지 않는 이유 역시 위에서 언급한 분자량이 왜 176.13이 되지 않는가와 같은 원인이라고 생각하므로 다시 언급하지 않겠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주스안에 들어있는 비타민 C의 질량을 계산하여 보았는데 이것은 실제로 주스에 표기된 것과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아야 하는데 조교님이 어떤 주스를 사용하였는지 가르쳐주지 않아서 할 수 없었다. 따라서 오차가 얼마인지 알 수 없고, 다만 오차가 있다면 그 원인은 실험 1에서 언급한 것과 비슷할 것이다.
왜 비타민 C를 녹일 때 oxalic acid을 이용하는지를 생각해보면 비타민 C는 수용성 비타민이지만 물에 완전히 녹지 않는다. 대신 oxalic acid에는 증류수에 비해 더 잘 녹는다. 또한 비타민C는 강한 환원성을 가지고 있는데 이 환원성은 산화, 환원 적정을 이용하게 되는 이번 실험에서는 중요한 성질이다. 만약 비타민 C를 물에 녹이게 되면 물에 의해서 환원성이 약해질 수 있다. 대신 oxalic acid에 녹이게 되면 비타민 C 분자 주위에 수소원자가 증류수에 녹였을 때 보다 많게 되고 따라서 비타민C의 환원성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비타민C를 물에서가 아닌 oxalic acid에서 녹여서 사용하게 된 것이다.
이번 실험에서 우리는 비타민 C의 분자량을 직접 구해보았고, 책에서만 배웠던 산화, 환원적정을 하게 되어 좋았고, 또한 주스 속의 비타민 C의 질량을 직접 구해보아서 좋았다. 한가지 아쉬운 점은 주스에 표기되어 있는 비타민 C 함유량과 비교해 보면 더 좋았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7. 참고문헌
대한화학회, 일반화학실험, 천문각, 5판, pp. 126 ~ 132.
Oxtoby 外3명, Principles of Modern Chemistry, Saunders, 4판, pp. 323 ~ 344.
세 번째로 적정할 때 종말점을 찾는 과정에서 약간의 오차가 생겼을 수 있다. 육안으로 색깔이 변하는 것만 보고 판단하였으므로 실제로는 완전히 반응하지 않았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오차가 생겼을 수 있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오차의 원인은 아주 미세한 차이이고 또한 미숙한 실험자에게서 나올 수 있는 어쩔 수 없는 오차라고 생각한다. 만약 오차율이 20%이상을 넘어간다면 큰 오차가 있는 것이고 더 많은 오차의 원인을 생각해볼 수 있겠지만 우리 조의 경우는 대체로 오차가 크지 않았으므로 만족할만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실제로 반응비가 1:1 이 되지 않는 이유 역시 위에서 언급한 분자량이 왜 176.13이 되지 않는가와 같은 원인이라고 생각하므로 다시 언급하지 않겠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주스안에 들어있는 비타민 C의 질량을 계산하여 보았는데 이것은 실제로 주스에 표기된 것과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아야 하는데 조교님이 어떤 주스를 사용하였는지 가르쳐주지 않아서 할 수 없었다. 따라서 오차가 얼마인지 알 수 없고, 다만 오차가 있다면 그 원인은 실험 1에서 언급한 것과 비슷할 것이다.
왜 비타민 C를 녹일 때 oxalic acid을 이용하는지를 생각해보면 비타민 C는 수용성 비타민이지만 물에 완전히 녹지 않는다. 대신 oxalic acid에는 증류수에 비해 더 잘 녹는다. 또한 비타민C는 강한 환원성을 가지고 있는데 이 환원성은 산화, 환원 적정을 이용하게 되는 이번 실험에서는 중요한 성질이다. 만약 비타민 C를 물에 녹이게 되면 물에 의해서 환원성이 약해질 수 있다. 대신 oxalic acid에 녹이게 되면 비타민 C 분자 주위에 수소원자가 증류수에 녹였을 때 보다 많게 되고 따라서 비타민C의 환원성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비타민C를 물에서가 아닌 oxalic acid에서 녹여서 사용하게 된 것이다.
이번 실험에서 우리는 비타민 C의 분자량을 직접 구해보았고, 책에서만 배웠던 산화, 환원적정을 하게 되어 좋았고, 또한 주스 속의 비타민 C의 질량을 직접 구해보아서 좋았다. 한가지 아쉬운 점은 주스에 표기되어 있는 비타민 C 함유량과 비교해 보면 더 좋았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7. 참고문헌
대한화학회, 일반화학실험, 천문각, 5판, pp. 126 ~ 132.
Oxtoby 外3명, Principles of Modern Chemistry, Saunders, 4판, pp. 323 ~ 344.
추천자료
화학실험 2학기 퀴즈
웰빙음식 (SDI 서비스)
[브랜드마케팅]녹차음료의 종류와 마케팅 전략 분석
르노삼성, 미녀는 석류를 좋아해의 마케팅 성공사례 분석
HPLC 예비레포트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 그래피 예비 레포트
식재료 50가지
[민간요법][두통 민간요법][감기 민간요법][부종][불면증][건망증][암]두통에 좋은 민간요법,...
[과일][과실][과채류]과일(과실, 과채류)의 효능 - 딸기와 레몬, 과일(과실, 과채류)의 효능 ...
토마토에 대해
아동 요로감염 케이스
[화학 보고서] 산-염기 반응, 산화-환원 반응, 에너지와 탄화수소, 유기화합물과 고분자
아마스빈 사업계획서 p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