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병호의 10년후 세계를 읽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병호의 10년후 세계를 읽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는가가 판단의 기준이다.
인간의 염색체가 분석되고, 유전자가 복제되며 곧 자신과 똑같은 복제인간의 탄생이 어렵지 않은 일이 된 지금, 우리의 존재의 정체성은 어디에 있는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점점 빠른 속도로 변화해 가는 경제체제의 와중에서 기회를 잡는 사람들도 많겠지만,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부류조차 빈곤층으로 떨어지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나름대로 준비한다 해도 수명이 늘어날수록 예상하지 못한 어려움에 빠져들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오래사는 일이 과연 축복인가 하는 고민에 이르게 한다.
고령화 사회, 고령층의 빈곤은 한국사회의 커다란 과제가 될 테지만, 국가가 이를 해결할 수 있을지는 정말이지 의문이 아닐수 없다. 고령화사회로 진입하기 전에 고성장을 이룰 수 있을지 불투명하기 때문이다. 한국은 과거 산업화사회에서 한번 뒤쳐졌기에 그뒤의 100년이 힘들었다.
이미 과거의 굴뚝산업은 산업자체의 한계에 직면한 것 외에 더 이상의 경쟁력이 없는 실정이다. 이제는 차세대, 차차세대 산업에 집중해야 할 때이다. 마침, 세계를 놀라게한 연구로 주목받은 황우석 박사와 같은 인재가 나타났다. 황 박사는 국적이 영미권이었다면 노벨상을 타도 어색하지 않은 메가톤급 인재이다. 이런 인재를 적극 육성하고, 미래에 대비해야 한다.
모든 변화와 발전에는 동전의 양면처럼 위험과 새로운 가능성이 동시에 존재하기 마련이다. 급속히 성장해 가는 생명공학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고 원칙을 세우며, 이제 전 국가적 차원에서 적극적인 지원을 해나가야 할 것이다. 그리고, 각각의 개인도 여기에 대비해 살아가야 할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11.23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45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