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의_기초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상담의_기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형성하고, 이를 더욱 발전시켜야 한다. [그림 4-10]에서 볼 때 상담자(counselor; 변화매개자)에 해당하는 가운데 부분의 면적이 넓을수록 네 가지 체계들과 좋은 관계를 형성유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상담자가 형성해야 할 관계양상을 위에서 논의한 바와 조금 다르게 설명할 수도 있는데, 스페츠(Specht, 1986)에 의하면 상담자는 클라이언트와의 관계뿐만 아니라 그 밖의 대상과도 적극적인 상호작용관계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즉, 상담자는 ①클라이언트와의 임상적 상호작용(clinical intervention), ②클라이언트 환경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가족, 이웃, 친구 등의 방계적 상호작용(collateral interaction), ③동료적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다른 기관의 전문가들과의 동료적 상호작용(collegial encounters), ④기관이나 시설의 관리자나 정책입안자 등과의 사회정치적 상호작용(socio­political interaction) 등의 다양한 관계를 형성유지발전시켜야만 양질의 상담서비스를 계발하고 실행할 수 있다.
5) 면접의 기법
상담활동에서의 상담자와 내담자 간의 상호작용의 과정은 주로 면접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담의 목적이 효과적으로 달성되기 위해서는 면접이 제대로 이루어져야 한다. 면접의 일반적 기법으로는 ① 환언, ② 요약, ③ 명료화, ④ 재진술, ⑤ 반영(reflection), ⑥ 해석(interpretation), ⑦ 보장(reassurance; 확증), ⑧ 직면(confrontation; 맞닥뜨리기), ⑨ 구조화 등을 들 수 있다(고영인, 2000; 주은선 역, 2001).
(1) 환 언
환언은 내담자가 표현한 내용을 다른 말로 표현하는 것을 말하는데, 여기에서는 내담자의 말을 보다 간단하고 정확한 말로 표현하되, 상담자의 의견을 첨가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환은은 내담자가 표현한 내용을 상담자가 정확하게 이해하고 잇는지를 확인하게 하며,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내면세계의 심리적 특징을 이해하도록 돕고, 내담자가 요령없이 여러 이야기를 할 경우 그 핵심을 정리해 주는 기능을 갖는다.
(2) 요 약
요약은 내담자가 표현한 내용들을 간략하게 정리해 주는 것을 말하는데, 이는 내담자에게 대화가 어떤 방향으로 진전되고 있으며, 문제해결이나 새로운 학습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잇는가를 분명히 인식하도록 돕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요약은 내담자가 얘기한 내용을 상담자가 주의깊게 들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며, 상담자에 대하여 내담자가 신뢰를 갖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담자 자신의 지각의 정확성을 검토하게 하는 데 도움을 준다.
(3) 명료화
명료화는 내담자의 분명하지 않은 사고, 감정, 행동 등의 내용을 명백하게 하는 것으로서, 앞서 설명한 ‘환언’과 비슷한 기능을 가진다. 그러나 명료화는 내담자가 표현하고자 하면서도 분명하게 표현하지 못한 것에 대해 상담자가 추측하여, 이를 내담자에게 전달한다는 점에서 ‘환언’과는 다르다. 여기에서는 대체로 내담자가 표현한 것을 종합하여 잠정적 가설을 세운 다음, 이를 내담자에게 제시하여 확인하거나 수정받게 된다.
(4) 재진술
재진술은 상담자가 내담자가 표현한 내용을 그대로 되풀이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상담자가 내담자의 말을 경청하고 잇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나타내 주며, 내담자가 표현한 말을 그대로 다시 듣게 하여 자신의 말을 깊이 생각하고 느끼도록 하는 데 도움을 준다.
(5) 반 영
반영은 내담자가 표현한 내용의 이면에 깔려있는 감정, 태도, 사고를 상담자가 표면으로 끌어내어 구체적인 말로써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반영은 거울에 자신을 비추어 보듯이, 내담자는 자신이 표현한 감정, 태도, 사고의 의미를 상담자의 피드백을 통해 명백하게 되짚어 볼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반영은 상담자가 내담자에 대하여 감정이입적인 이해를 할 수 있어야만 가능해진다. 학생의 진로지도상황에서 이러한 반영 기법을 활용한 실례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내담자 : 부모님은 제가 의과대학에 진학해서 의사가 되기를 바라세요. 하지만 어려서부터 제 꿈은 좋은 선생님이 되는 갓이었거든요. 저는 사범대학에 진학해서 학생들을 잘 가르치고 지도하는 정말 좋은 선생님이 되는 꿈을 이루고 싶어요.
상담자 : 네가 장차 의사가 되었으면 하는 부모님의 기대와 교사가 되려는 너의 꿈이 일치하지 않아서 많이 혼란스러운가 보구나. 너는 네 꿈을 이루기 위해 의과대학보다는 사범대학에 진학하고 싶은가 본데...
내담자 : 맞아요, 선생님. 저는 꼭 사범대학에 진학하고 싶은데, 부모님을 어떻게 설득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저는 지금까지 한번도 부모님의 말씀을 거역한 적이 없었거든요.
(6) 해 석
해석은 내담자가 표현한 내용에 대하여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거나 관련성을 부여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해석은 내담자가 의도하는 의미와 그 말의 뒤에 숨겨져 있는 감정 등을 점검하거나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
(7) 보장(확증)
보장(확증)은 내담자에게 희망, 용기, 자신감 등을 제공하는 강화적 기법을 말한다. 이는 내담자가 바람직한 감정이나 행동을 나타낸 직후에 하는 것이 좋다. 여기에는 “참 잘했어”, “동감이야” 등의 언어적 칭찬과 격려, 그리고 무언의 미소, 눈표정, 고개 끄덕임 등의 비언어적 표현이 포함된다.
(8) 직면(맞닥뜨리기)
직면(맞닥뜨리기)은 내담자가 모르고 있는 내용이나 인정하기를 거부하는 생각과 느낌에 대하여 상담자가 짚고 넘어가거나, 그의 불일치성(discrepancy; 모순점)을 지적하는 것을 말한다. 이에 대해서는 앞에서 논의하였으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9) 구조화
구조화는 상담장면에서의 심리적 조력관계의 본질과 목표 및 제한점을 규정하고, 상담자와 내담자의 역할과 책임 및 약속 등의 윤곽을 명백히 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상담자는 내담자가 목표에 도달하는 과정을 인지하게 함으로써 어느 방향을 상담이 전개될 것이며, 또한 최종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서 얼마의 시간이 소요될 것인가에 대해 어느 정도 분명한 생각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8.11.25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57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