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임용고시]형태론 - 국어 임용고사 완벽 서브노트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 임용고시]형태론 - 국어 임용고사 완벽 서브노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3. 단어
1. 단어의 형성
1.형태소
2.단어의 형성 (1)파생어
(2)합성어

2. 품사
1.체언: 명사, 대명사, 수사 (1)명사
(2)대명사
(3)수사
2.관계언: 조사 ⑴격조사
⑵접속조사
⑶보조사
3.용언: 동사, 형용사 ⑴동사, 형용사
⑵보조용언
(3)용언의 활용
4.수식언: 관형사, 부사
5. 독립언: 감탄사

4. 어휘
1. 어휘의 체계
1.어휘의 체계
2.고유어와 한자어
3.외래어

2. 어휘의 양상
1.방언
2.은어, 속어
3.금기어, 완곡어
4.관용어, 속담
5.전문어
6.새말

본문내용

기)만 안다니까요
애들이 어려서 저희들(=자기들)밖에 몰라요
돌아가신 아버님은 소나무를 좋아하셨어. 저 소나무도 당신께서 심으셨지
③재귀
대명사
앞에 한 번 나온 명사를
다시 가리킬 때 쓰이는
인칭대명사
(3)수사
①양수사
※ 수사와 수관형사의 구별 : 조사의 OX
※ 아라비아숫자 한글로 적을 때, 만단위로 띄어씀 ex) 칠억 오천삼만 오십오
②서수사
♥탐구 1. 시간표현→①시간 표현에 고유어+한자어
②수사가 우리의 문화와 밀접한 관계 O
③‘시’는 고유어와 어울림(오래전부터 있었다)
‘분.초’는 근대 이후 한자시계 문화
2. 관계언: 조사
국어의 특징 중 하나는 조사가 발달하였다는 점
기능
①문법적 관계 표시
(체언+문장성분구실하도록)
②연결(접속)표시
③뜻 첨가
1. 조사는 의존명사연결 출제 가능
2., 현대문법 -목적격 / 보격 조사
3. 중세 문법 연결
:주격조사/관형격조사
호격조사/접속조사
형태
활용 X (단, 서술격 조사는 활용
⇒높임표시 동반 / 높임등분)
①문법적 관계를 나타내기도 하고, 뜻을 더하여 주기도 함 ②같은 기능일지라도 앞말의 끝소리에 따라 형태가 달라짐 ex)모음+가,를 자음+이,을
③여러 개의 조사를 겹쳐서 쓰기도 함 ④체언, 용언, 부사어, 어말 어미에도 결합가능 ⑤조사가 생략되기도 함(구어체, 보조사X)
⑥단어는 띄어쓰기가 원칙이나, 조사는 여러 개라도 앞말에 붙여써야 한다 ⑦의존 형태소, 형식 형태소
개 념
기 타
※조 사
개 념
주로 체언 뒤에 붙어서(but, 관형사 빼고 다 붙을 수 있음)
①다양한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거나 ②의미를 추가하는 의존형태소
※조사의 단어 설정 논란
(1)격조사
개 념
체언이 문장 안에서 일정한 자격을 가지도록 도와주는 조사
※자격부여①격조사 ②어순에 의해
①주격
♥탐구1 본래가 그런 사람은 아닌데 말이야. →학교문법)보조사 “강조”용법
②목적격
♥탐구2
너는 또 어쩌자고 백화점에를 갔니? →학교문법)보조사 “강조”용법
①부사격
자리에
오는 경우
①방향, 처소(낙착점)표시어
+을 / 를
←이유: 의미 강조 위해(지적, 강세)
ex)
②위치, 거리 수량 표시어
+을 / 를
이중목적어 생김
해결①다른 조사로 대치
②수량표시어는 생략 가능
ex) 나에게 용돈을 1000원을 주었다.
→나에게 용돈 1000원을 주었다.
용돈을 1000원 주었다.
②목적격자리에
주격 조사
오는 경우
관형격이 주격으로
사용되는 경우와 함께 이해
ex)나는 물이 마시고 싶다.
나는 음악이 듣고 싶다
③관형격
관형격 조사는 생략 가능 (but, 주격으로 사용된 경우는 생략 X)
④부사격
※ 주격조사 \'에서\'와
부사격조사 ‘에서’의 구별
ex)우리 학교에서 상을 탔다. --(주격)
장소에서------------(부사격)
⑤보격
※주격/ 보격의 구별법
→보어의 정의
(서술어를 보충하는 말)
1.문장제시 순서에 따라(주+보+술)
2.‘되다, 아니다’의 바로 앞에 ‘이/가’
※보어 설정 문제의 논란(=불완전 용언의 범위 문제)♥▶학교문법의 대답
1. 왼쪽의 조사들은 보격조사보다 부사격 조사로 사용되는 경우가 더 많다.
어느 경우에는 보어로, 어느 경우엔 부사어로 볼 것인가?
2. 동사는 자동사/ 타동사로 나뉜다. ←목적어의 유무에 따라
but, 필수부사어를 보어로 본다면, 동사구별 기준이 또 필요하다
①자동사 ②타동사 ③필수부사어를 필요로 하는 동사 ⇒동사체계가 흔들린다.
3. 보편적 특징들을 발견할 수가 없다∴되다 아니다로만 한정한다.
⑥호격
⑦서술격
※서술격조사 ‘이다’의 특성
㉠조사의 성격-체언에 의존
㉡용언의 속성-활용
㉢모음으로 끝나면 ‘이’가 생략가능
ex) 나무이다 →나무다
♥탐구2 -서술격 조사의 다른 이름 ①지정사
②접 사(용언화 접사 ‘이다’의 ‘이’)
(=※지정사 설정 논란 ⇒ 지정사 설정하라!)
개념
서술격 조사 ‘이다’
논 란
특성
같은 점
다른 점
격조사의 성격O - 체언과 결합
활용O(시제 표시)
①9품사+3품사=12(너무 많다)
②품사는 공통된 것들의 성질인데,
일부만 가지고 설정하면 혼란O
(2)접속조사
개 념
두 단어를 같은 자격으로 이어주는 구실을 하는 조사
종 류
~와/ 과 : 문어에서 잘 쓰임
~랑/하고 : 구어 “
♥탐구- 접속 조사와 비교 부사격 조사의 구별
※접속조사와 부사격조사의 구별 (=조사 ‘와’ ‘과’의 기능)
: ‘ 와’ ‘과’의 성분 위치로 가능하다
▶접속조사 ①문장접속 : 두 문장이 분해가능 / 대등하게 이어짐---(겹문장)
②단어접속 : 두 문장으로 분해X----------------------(홑문장)
▶부사격조사 -주어, 목적어 + ‘와’ ‘과’→ 부사격조사
ex)철수는 영어와 독일어를 할 줄 안다
--------(문장접속...겹문장)
철수와 영철이는 키가 비슷하다
철수와 승호는 골목에서 서로 마주쳤다.
---------(단어접속...홑문장)
ex) 철수와 영희는 우등생이다.....(접속조사)
→철수는 우등생이다./ 영희는 우등생이다.
ex) 철수와 영수는 닮았다.
ex) 책이며 연필이며 공책을 샀다.
감하고 사과를 샀다............(접속조사)
※철수 또는 영희..(단어접속부사)
ex) 영수는 철수와 함께
여행을 떠났다.
이것은 저것과 다르다...
...............................(부사격조사)
(3)보조사
종류
만-한정 / 도-역시 / 은- 대조
요-상대높임보조사
♥탐구-보조사 ‘은, 는’ 탐구
1. ex) 귤은 노랗다.-----------------------주어
귤은 까서 먹고 배는 깎아서 먹는다.----대조의 의미
2. ‘은/는’이 격조사가 아니고 보조사인 이유-‘은/는’은 주어, 목적어 표지 대치
but, 여기서는 아님→주어, 목적어 구실X→부사어에도 붙을 수O→대조의 보조사
3.용언: 동사, 형용사
형태
활용 = 어 간 + 어 미
기능
※주기능-서술기능
서술의미 분명하게
드러내기 위해
서술구 형태로
본용언+보조용언
+시제표시
선어말어미
높임표시
문장종결
어말어미
연결
품사전성
개 념
기 타
⑴동사, 형용사
①자동사
※자동사 타동사 구별법
-목적어 유무로
♥탐구- 이다 아니다①이다:체언+이다(서
  • 가격2,2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8.11.25
  • 저작시기2006.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58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