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임용고시]교학사 문학 (상) - 교과서와 지도서 정리본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 임용고시]교학사 문학 (상) - 교과서와 지도서 정리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갈래의 특성 알기 >
【 학습활동 】
( 내용 알기 )
1. 이 작품에 나타난 햄릿과 왕의 성격은 어떠한지 말해 보자.
▶답: 햄릿 - 이성적이고 우유부단하다
왕 - 간사하고 조심스럽게 행동한다.
2. 서정 문학 갈래에 속하는 ‘자수’와 서사 문학 갈래에 속하는 ‘비 오는 날’을 염두에 두고 ‘햄릿’의 특징을 지적해 보자.
(1) 화자“(또는 서술자)가 있는가, 없는가?
▶답: 없다.
(2) 시제는 현재형인가, 과거형인가?
▶답: 현재형
(3)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있는가, 없는가?
▶답: 있다.
( 원리, 확장 )
※ 다음 글을 읽고, 극문학의 하위 갈래로서 ‘햄릿’과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설명해 보자.
S# 109. 맹 진사 저택 대문
은 안장을 메운 말, 하늘 높이 히히힝 운다.
호피를 씌운 사인교꾼
청사초롱, 일산등을 든 군정들과 하인들
전송 나온 맹 진사, 한씨, 박 참봉, 그 밖의 친척들 초상난 집처럼 모두 기운이 없다.
말 위에는 미언이 올라탔다.
가마 속에는 입분이가 소곳이 머리를 숙이고 들어앉았다.
맹 진사 김명정에게
맹 진사 : 참봉이라도 후행을 가야겠지만 원체 바빠서............
김 명정 : 걱정 마십시오. 탄탄대로이니까 해지기 전에까지는 도라지골까지 대일 것입니다. 헛헛..........
서로 인사를 나누고 신혼 행차 천천히 움직인다. (O.L.)
오영진 ;시집 가는 날‘에서
▶답: 햄릿 - 공연을 목적으로 쓰여졌다.
시집 가는 날 - 영화를 찍는 목적으로 쓰여졌다.
( 발표, 토의, 토론 )
※ 소설 ‘서편제’ 연작과 영화 ‘서편제’를 비교해 보고, 영화 ‘서편제’에서 달라진 점을 조사하여 발표해 보자.
(1) 내용적인 면
(2) 형식적인 면
< 활동3 교술 문학 갈래의 특성 알기 >
【 학습활동 】
( 내용 이해 )
1. 오늘날의 환경 문제와 관련하여, ‘토실’이 뜻하는 바를 해석해 보자.
▶답: 환경을 파괴시키는 것.
2. 작가가 이 작품을 통해 말하고자 하는 바는 무엇인지 설명해 보자.
▶답: 세상은 이치에 따라 살아야 한다.
( 원리, 확장 )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해 보자.
(가) 난초는 열대 지방의 여러해살이풀로, 관상용으로 재배하며 향기가 진하다. 뿌리가 굵고, 잎이 홑잎이며, 꽃은 좌우 대칭이다. 현재까지 15,000종이 알려져 있다.
(나) 빼어난 가는 잎새 굳은 듯 보드랍고,
자줏빛 굵은 대공 하얀 꽃이 벌고,
이슬은 구슬이 되어 마디마디 달렸다. 이병기 ‘난초’에서
(다) 나는 어느 집에 가 그 난을 보면, 그 주인이 어떤 사람인가를 알겠다. 그서도 없고 난도 없이 되잖은 서화난 붙여 놓은 방은, 비록 화려 광활하다 하더라도 그건 한 요릿집에 불과하다. 두실 와옥이라도 고서 몇 권, 난 두어 분, 그리고 그 사이 술이나 한 병 두었더라면 삼공을 바꾸지 않을 것 아닌가! 빵은 육체나 기를 따름이지만 난은 정신을 기르지 않는가!
이병기 ‘풍란’에서
1. (가), (다)의 언어 표현 방식상의 차이점을 지적해 보자.
▶답: (가) - 객관적인 입장
(나) - 주관적인 입장
2. (나), (다)의 문학 갈래상의 특징을 각각 지적해 보자.
▶답: (나) - 함축적이고 상징적이다.
(다) - 주관적으로 의미를 해석하고 있다.
3. (다)와 ‘토실을 허문 데 대한 설’이 같은 기본 갈래에 속한다고 볼 수 있는지 말해 보자.
▶답: 자유롭게 쓴 수필 형식이다.
( 발표, 토의, 토론 )
※ ‘토실을 허문 데 대한 설’을 현대를 배경으로 한 소설을 개작하고자 한다. 이 때 고려해야 할 점이 무엇인지 모둠별로 토의해 보고 그 결과를 발표해 보자.
(2) 문학 하위 갈래의 체계와 변화
< 활동1 한국 문학 하위 갈래의 체계 알기 >
【 학습활동 】
( 내용 이해 )
1. ‘제망매가’를 통해 10구체 향가의 갈래적 특성에 대해 설명해 보자.
2. ‘농가월령가’를 통해 가사의 갈래적 특성에 대해 설명해 보자.
( 원리, 확장 )
※ 다음 글을 참고하여 향가 시대의 갈래 체계와 국문 소설 시대의 갈래 체계의 차이점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 보자.
갈래는 하나씩 등장하고 외톨이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가형 경기체가 시대라고 한 시기에, 우선 쉽사리 떠오르는 것들만 들어도 시조나 가사가 경기체가와 함께 존재했다. 그러므로 공준하는 갈래들 사이의 체계적인 관계, 그런 의미에서의 갈래 체계가 문제이다. 갈래 체계를 검토하기 위해서는 갈래의 기본적인 성향에 대한 논의가 있어야 한다, 경기체가는 가사와 함께 교술시인데, 시조는 서정시이다. 교술시와 서정시의 공존이 그 시대 갈래 체계의 기본적인 특징인데, 향가 시대라고 불러 본 그 앞 시대도 그렇지 않았고, 오늘날의 문학에 와서도 사정이 달라졌다. 이 점에 착안해서 향가 시대는 서정시과 교술시의 공존이 아직 나타나지 않은 서정시 시대라고 고쳐 말할 수 있다. 같은 근거에서, 국문 소
설 시대는 서사인 소설이 교술, 서정시와 함께 공존한 시대이다. 그러다가 교술시가 오랫동안 우지하고 있던 지위를 상실하고 희곡이 희곡문학의 갈래로 등장해서, 문학이 서정시, 소설, 희곡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하는 커다란 변화가 나타났다.
- 조동일(한국 문학 통사)에서
( 발표, 토의, 토론 )
※ 오늘날 향가, 경기체가, 가사 등이 창작되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지 토의해 보자.
< 활동2 문학 갈래의 지속과 변화 양상 알기 >
【 학습활동 】
1. 이 소설에 나타난 윤 직원의 성격에 대해 설명해 보자.
▶답: 이기적이고 처세에 능하다.
2. 작가가 이 소설을 통해 풍자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지 말해 보자.
▶답: 반민족적이고 친일적인 인물의 몰락에 대해서
( 원리, 확장 )
※ 다음은 ‘흥부전’의 일부이다. ‘태평 천하’와 비교해 보고 소설 갈래의 지속과 변화에 대해 말해 보자.
놀부 심 무거여 형뎨끼리 내외하여 구박이 태심니 흥뷔 일 업셔 뜰 아래셔 문안니, 놀뷔 뭇는 말이, “네가 뉜고?” “내가 흥부오.” “흥부가 뉘 들인고?” “애고 형님 이거시 우엔 말이오. 비이다 형님 젼의 비이다. 셰끼 굴머 누은 식 살너낼 길 젼혀 업스니 쌀이 돼 벼가 되 냥단 간의 듀시면 품을 판들 못갑흐며 일을 들 공 손가. 부듸
  • 가격2,000
  • 페이지수58페이지
  • 등록일2008.11.26
  • 저작시기2006.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58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