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임용고시]교학사 문학 (하) - 교과서와 지도서 정리본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 임용고시]교학사 문학 (하) - 교과서와 지도서 정리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 문학의 언어적 소통 규칙 이해하기 - 한계령 >
【 학습활동 】
( 내용이해 )
1. ‘나’가 ‘은자’의 전화를 기다리며 ‘오빠’에 대한 상념에잠기는 이유를 말해 보자.
▶답: 사이에 온 여동생의 전화에서 오빠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기 때문이다.
2. ‘은자’가 부른 노래 ‘한계령’을 찾아서 직접 감상해 보고, 이 작품의 주제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말해보자.
▶답: 운명과 그것을 이겨 내려 자신의 등에 책임과 여러 사람 몫의 삶을 끌어 안고 가는, 그러면서도 나름대로의 삶을 열심히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의 모습을 한계령이라는 노래에 빗대어 표현했다.
( 원리확장 )
시를 창작한 실제 시인과 시 작품 속의 말하는 이, 즉 시적 화자를 혼동해서는 안 된다. 마찬가지로 소설가와 소설 작품 속에서 말하는 이, 즉 서술자를 혼동해섣 안 된다. 이들은매우 가까운 심리적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결코 동일시될 수 없는 존재이다. 이와 아울러 서술자와 등장 인물을 혼동해서도 안 된다. 이 세 주체들이 소설을 이끌어 가는데, 작가는 독자에게 간접적인 방식으로 서술자를 동원하여 이야기를 전달한다. 서술자는 작중 인물들의 행동과 배경을 서술한다. 이 점에서 서술자는 작품속에 들어와 대신 말하는 작가의 분신이다. 물론 작중 인물들 사이에도 이야기가 오간다. 작품 속에 서술자의 아야기를 듣는 이로 상정된 사람이 잠재 독자이다. 잠재 독자가 직접 노출되는 경우도 없지 않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서사체의 기본 구조는 작품마다 변이형으로 나타나게 된다.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해 보자.
1. ‘한계령’에 나타난 ‘작가’, ‘서술자’, ‘등장 인물’의 이야기를 구분해서 말해 보자.
▶답: ‘한계령’에서 작가는 글 속에 노출되어 있지 않으며, 서술자는 이야기를 하는 사람 으로 글 속의 ‘나’가 속한다. 또한 등장인물에는 ‘나’의 여동생이나 ‘은자’가 속한다.
2. ‘한계령’에서 상정되어 있는 ‘잠재독자’는 어떤 사람일지 말해 보자.
▶답: ‘나’이다. ‘나’는 동생의 아야기나 은자의 아야기도 들으며 동시에 서술자이다.
( 발표토의토론 )
‘한계령’의 서술 구조를 ‘나’가 ‘은자’에게 직접 말을 건네는 방식으로 바꾼다면, 분위기가 어떻게 바뀔지에 대해 이야기해 보자.
▶답: 사색적인 분위기보다는 둘 사이에 유대감이 쌓여가는 인간적인 분위기가 주를 이룰 것이다.
< 활동2. 문학 소통의 관습 이해하기 - 테스 >
【 학습활동 】
( 내용이해 )
1. 이 소설은 내용이 대중적이라는 평가를 받은 바 있다. 문학 소통의 관습과 관련지어 그 이유를 말해보자.
▶답: 전달하고자 하는 주제가 당시 사회의 ‘도덕성’의 부조리이니만큼 현실성이 있고 인물이 평면적이지 않으며 어느시대에나 있을 법한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2. ‘싱싱한 별’과 ‘벌레먹은 별’의 상징적 의미를 ‘테스’가 처한 처지욕망과 관련지어 설명해 보자.
▶답: ‘싱싱한 별’은 행운이 있고, 처음부터 기반이 탄탄하며 주어진 것이 많은 환경 속에 있는 사람들이고, ‘벌레먹은 별’은 그에 반해 몰락한 자신의 처지를 빗댄 말이다.
( 원리 확장 )
‘테스’는 출판에서부터 물의가 많았다. 맥말란 사와 머레이 사는 다 같이 자기네 잡지에 이 소설을 연재하는 것을 거절했다. 소설의 내용이 너무 부도덕하다는 이유에서였다. 비통한 심정에 빠진 하디는 작품의 일부 내용을 삭제하여 그래픽 지에 보내어 게재 승낙을 받았다. 1891년 6월에 ‘테스’가 연재 형식으로 나오자 어떤 독자들은 맹렬하게 비난했고, 어떤 독자들은 열렬한 성원을 보냈다. 1891년 단행본으로 나왔을 때에도 비난과 두둔이 교차했다. 물론 맹렬한 공격이 주를 이뤘고, 차분하게 두둔하는 쪽은 적었다. 그런 가운데 런던 타임지의 평자는 ‘테스’를 하디의 최우수 작품이라고 전제하고, “인습적 관념을 대담하게 다루었으며, 애틋한 비애감이 작품 속에 서려 잇는 동시에, 매우 감동적인 비장함가지 갖추었다.”고 찬사를 아끼지 않았다.
이렇듯 비난과 지원이 교차하는 가운데 ‘테스’는 판을 거듭하여 출판되었으며, 하디로서는 이로 인해 충분한 경제적 여유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 뿐만 아니라 하디는 ‘테스;로 인해 훗날 영국 문학사의 으뜸가는 소설가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해 보자.
1. ‘테스’ 전편을 읽고, 이 소설의 내용의 도덕성에 대한 각자의 의견을 말해 보자.
▶답: 도덕성을 해친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테스는 자신이 처한 상황에 절망하기보다 언제나 사는 것을 꿈꾸고 행동했을 뿐이다.
2. 동일한 작품을 두고 위와 같이 평가가 엇갈리는 이유가 무엇인지 말해 보자.
▶답: 테스의 ‘삶’을 중심으로 보느냐, ‘행동’을 중심으로 보는가의 차이이다. 문학의 사회적 모방성과 문학의 개혁성이 대립되기 때문이다.
( 발표토의토론 )
거울때문에나는거울속의나를만져보지못하는구료마는
거울이아니어든내가어찌거울속의나를만나보기라도했겠소. 이상‘거울’에서.
문학 소통의 관습과 관련하여, 띄어쓰기를 하는 것과 하지 않는 것의 차이에 대해 이야기해 보자.
▶답: 띄어쓰기를 할 경우 언어의 리듬감,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비해 띄어쓰기를 하지 않는 경우 독자가 자신이 이해되기 편한 쪽으로 생각해서 해석의 다양성을 가져온다.
< 활동3. 문학 소통의 관습을 고려하며 문학 활동하기 - 만가 >
【 학습활동 】
( 내용이해 )
1. 이 노래가 어떤 문화적 의식과 관련이 있는지 말해 보자.
▶답: 장례와 관련된 노래로 유교적 인식이 짙게 나타나 있음을 알 수 있다.
2. “북망산이 멀다드니/ 오날 보니 앞동산이 북망”이라는 노랫말 속에 담긴 삶의 태도에 대해 말해 보자.
▶답: 죽기 전가지는 죽음을 생각하지 않고 살 날이 아직 많다고 생각하여 삶을 긍정적으로 바라본다.
( 원리확장 )
다음은二月(이월)ㅅ 보로매, 아으 노피 현燈(등)ㅅ블 다호라.
萬人(만인) 비취실 즈샷다.
아으 動動다리.
五月(오월) 五日(오일)애, 아으 수릿말 아 藥(약)은
즈믄 長存(장존)샬 藥이라 받노이다.
아으 動動다리.
六月(유월)ㅅ 보로매 아으 별해 룐 빗 다호라.
도라보실 니믈
  • 가격2,000
  • 페이지수58페이지
  • 등록일2008.11.26
  • 저작시기2006.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58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