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본문내용
디딤돌 - 문학(하)
1. 문학 문화의 특성
(1) 국어 문화와 문학 문화
01 삼옹주(三翁主)에게 외(外)
< 친해지기 >
조선 시대에는 편지가 어떻게 전달되었을지 상상해 보자.
▶답 : 조선시대에는 오늘날과 같은 우편 제도가 없었기 때문에 인편을 통해 편지를 전달해야했고, 그로 인해 많은 시간이 소비되고 오늘날의 이메일처럼 쉽게 받고 삭제할 수가 없었기에 편지 한 통의 중요성이 매우 컸을 것이다.
< 꼼꼼히 읽기 >
한글로 쓴 편지를 언간(諺簡)이라 한다. 다른 이름으로는 유무라고 했다. 언간의 역할은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 없으나 본문의 두 편지처럼 주로 안부를 묻거나 간단한 사연을 전달하는 것이었다. 선조 대왕이 옹주에게 보낸 언간은 남성이 여성에게 보내는 편지이고, 어떤 부인이 이웃집 부인에게 보낸 언간은 여성이 여성에게 보내는 편지이다. 이처럼 발신인이나 수신인 중 한 사람 이상이 여성이면 반드시 한글로 편지를 썼다.
1. 선조 대왕이 전하고자 하는 것과 알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말해 보자.
▶답 : 전란을 피한 자신의 안부를 전하려 하였고 알려고 한 것은 옹주의 안부이다.
2. 두 번째 편지에서 편지를 쓴 여성이 이웃 여성에게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알아보자.
▶답 : <내훈>이나 <진대방전>등은 밤을 세우며 독서하기엔 재미가 없으니 책을 빌리고자 하는 내용과 자주 연락 할 것과 필요한 것이 있으면 자기에게 부탁하라고 하고 있다.
< 탐구 / 언간과 국어 문화 >
조선 시대에 편지는 가장 일반적인 통신 수단이었다. 따라서 누구나 편지를 제대로 쓰는 법을 배워야 했는데, 모범 편지 작성법을 알려 주는 책자들이 간행되었을 정도였다. 조선 후기의 실학자 이덕무(李德懋)는 사소절(士小節)이란 책에서 특히 부인이 언간을 잘 써야 함을 강조했다. 그는 훈민정음의 원리를 잘 알아야 편지할 때 촌스럽고 비루하지 않게 된다고 하며 또 언간을 쓸 때는 말은 반드시 분명하고 간략하게 하고, 글씨는 바르게 써야 하며, 두서 없는 말을 장황하고 지리하게 늘어놓아서는 안 된다고 하였다. 이 점으로 미루어 보아 언간을 잘 쓰는 것은 여성에게 중요한 교양이었음을 알 수 있다. 즉 언간은 생활의 필요에 의한 것이지만 그 지향은 문화에 있었던 것이다.
3. 선조 대왕의 언간을 표현상의 특징과 내용상의 특징으로 나누어 평가해 보자.
▶답 : 표현상의 특징은 상당한 간결성이 보이고 있고 내용상도 그저 안부만을 묻고 있다.
4. 두 번째 편지가 첫 번째 편지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쓰여진 이유를 분석해 보자.
▶답 : 첫 번째는 전란이라는 상황 속에서 신속히 자신의 안위를 전하기 위한 편지이므로 격식등을 따질 필요가 없으나 두 번째는 일상의 편지이므로 내용이나 격식 등을 따져야 하기 때문에 길게 쓰였다.
< 시야 넓히기 >
※ 명온 공주(明溫公主)가 순조 대왕(純祖大王)께 올린 언간을 읽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낫겻 잡오시고 안녕이 디내오시나니잇가. 이 글은 쇼인이 지어오니 감오시고 엇더온 보아 주오심 바라이다.
구츄샹야
1. 문학 문화의 특성
(1) 국어 문화와 문학 문화
01 삼옹주(三翁主)에게 외(外)
< 친해지기 >
조선 시대에는 편지가 어떻게 전달되었을지 상상해 보자.
▶답 : 조선시대에는 오늘날과 같은 우편 제도가 없었기 때문에 인편을 통해 편지를 전달해야했고, 그로 인해 많은 시간이 소비되고 오늘날의 이메일처럼 쉽게 받고 삭제할 수가 없었기에 편지 한 통의 중요성이 매우 컸을 것이다.
< 꼼꼼히 읽기 >
한글로 쓴 편지를 언간(諺簡)이라 한다. 다른 이름으로는 유무라고 했다. 언간의 역할은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 없으나 본문의 두 편지처럼 주로 안부를 묻거나 간단한 사연을 전달하는 것이었다. 선조 대왕이 옹주에게 보낸 언간은 남성이 여성에게 보내는 편지이고, 어떤 부인이 이웃집 부인에게 보낸 언간은 여성이 여성에게 보내는 편지이다. 이처럼 발신인이나 수신인 중 한 사람 이상이 여성이면 반드시 한글로 편지를 썼다.
1. 선조 대왕이 전하고자 하는 것과 알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말해 보자.
▶답 : 전란을 피한 자신의 안부를 전하려 하였고 알려고 한 것은 옹주의 안부이다.
2. 두 번째 편지에서 편지를 쓴 여성이 이웃 여성에게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알아보자.
▶답 : <내훈>이나 <진대방전>등은 밤을 세우며 독서하기엔 재미가 없으니 책을 빌리고자 하는 내용과 자주 연락 할 것과 필요한 것이 있으면 자기에게 부탁하라고 하고 있다.
< 탐구 / 언간과 국어 문화 >
조선 시대에 편지는 가장 일반적인 통신 수단이었다. 따라서 누구나 편지를 제대로 쓰는 법을 배워야 했는데, 모범 편지 작성법을 알려 주는 책자들이 간행되었을 정도였다. 조선 후기의 실학자 이덕무(李德懋)는 사소절(士小節)이란 책에서 특히 부인이 언간을 잘 써야 함을 강조했다. 그는 훈민정음의 원리를 잘 알아야 편지할 때 촌스럽고 비루하지 않게 된다고 하며 또 언간을 쓸 때는 말은 반드시 분명하고 간략하게 하고, 글씨는 바르게 써야 하며, 두서 없는 말을 장황하고 지리하게 늘어놓아서는 안 된다고 하였다. 이 점으로 미루어 보아 언간을 잘 쓰는 것은 여성에게 중요한 교양이었음을 알 수 있다. 즉 언간은 생활의 필요에 의한 것이지만 그 지향은 문화에 있었던 것이다.
3. 선조 대왕의 언간을 표현상의 특징과 내용상의 특징으로 나누어 평가해 보자.
▶답 : 표현상의 특징은 상당한 간결성이 보이고 있고 내용상도 그저 안부만을 묻고 있다.
4. 두 번째 편지가 첫 번째 편지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쓰여진 이유를 분석해 보자.
▶답 : 첫 번째는 전란이라는 상황 속에서 신속히 자신의 안위를 전하기 위한 편지이므로 격식등을 따질 필요가 없으나 두 번째는 일상의 편지이므로 내용이나 격식 등을 따져야 하기 때문에 길게 쓰였다.
< 시야 넓히기 >
※ 명온 공주(明溫公主)가 순조 대왕(純祖大王)께 올린 언간을 읽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낫겻 잡오시고 안녕이 디내오시나니잇가. 이 글은 쇼인이 지어오니 감오시고 엇더온 보아 주오심 바라이다.
구츄샹야
추천자료
[방송대] 기말고사 대비 국어요약정리
[과외]중학 국어 1-1학기 기말 4-7단원 최종 모의고사 2회분(교사용)
[과외]중학 국어 2-2학기 중간 3단원-보조자료 활용하기
[과외]중학 국어 3-2학기 중간 1-3단원 최종 모의고사 2회분(교사용)
[과외]중학 국어 1-2학기 기말 7단원 최종 모의고사 02회
[과외]중학 국어 중1-1학기 04 단원 중간 모의고사 02
[과외]중학 국어 중1-2학기 03 단원 중간 모의고사 01
[과외]중학 국어 중3-1학기 06 단원 기말 모의고사 02
[과외]중학 국어 중3-2학기 03 단원 중간 모의고사 02
[국어국문학과 A형] 2014년 한 해 동안 이슬람세계에서 일어난 사건이나 현상들 중 하나를 선...
[국어국문학과 B형] 2014년 한 해 동안 중국에서 일어난 사건이나 현상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국어국문학과 C형] 2014년 한 해 중남미에서 일어난 사건이나 현상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
[국어국문학과 D형] 2014년 한 해 러시아에서 일어난 사건이나 현상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
[국어국문학과 E형] 2014년 한 해 동안 유럽 경제와 관련한 사건이나 현상들 중 하나를 선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