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통신언어의 특성과 문제점
2.1 통신언어의 특성
2.1.1 어휘변위
2.1.2 소리나는대로 표기
2.1.3 은어
2.1.4 감탄사와 의성어 의태어
2.1.5 이모티콘
2.2 통신언어의 문제점
2.2.1 내용상의 문제
2.2.2 형식상의 문제
2.2.3 일상언어의 문제
3.통신언어 사용의 대안
4.결론
[참고문헌]
2. 통신언어의 특성과 문제점
2.1 통신언어의 특성
2.1.1 어휘변위
2.1.2 소리나는대로 표기
2.1.3 은어
2.1.4 감탄사와 의성어 의태어
2.1.5 이모티콘
2.2 통신언어의 문제점
2.2.1 내용상의 문제
2.2.2 형식상의 문제
2.2.3 일상언어의 문제
3.통신언어 사용의 대안
4.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목차
1. 서론
2. 통신언어의 특성과 문제점
2.1 통신언어의 특성
2.1.1 어휘변위
2.1.2 소리나는대로 표기
2.1.3 은어
2.1.4 감탄사와 의성어 의태어
2.1.5 이모티콘
2.2 통신언어의 문제점
2.2.1 내용상의 문제
2.2.2 형식상의 문제
2.2.3 일상언어의 문제
3.통신언어 사용의 대안
4.결론
[참고문헌]
1.서론
21세기인 지금 대부분의 가정이 컴퓨터를 가지고 있으며 인터넷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인터넷 사용이 보편화되기 전에도 pc통신이 있었지만 지금의 인터넷 사용만큼 활발하지는 않았다. 인터넷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 할 수 있다는 매력적인 장점을 가지고 있다. 어느 곳에서나 쉽게 인터넷에 접속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1999년 10월 이후 국민PC의 보급으로 1가구 1PC시대가 가까워 졌으며 최근 정보통신부가 밝힌 바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인터넷 사용인구가 2000년 9월 기준으로 1천6백만 명을 넘어섰다고 한다. 이러한 pc사용자의 급증으로 pc통신(인터넷)에서 사용되는 통신언어가 생겼다. 통신언어를 외계어 라고도 부르는데 외계어란 네티즌들이 자주 사용하는 언어에서부터 은어 비속어 등을 말한다. 외계어라 부르는 이유는 온갖 이상한 특수문자나 영문, 숫자, 심지어는 일어나 한자까지 조합해서 세종대왕님께서 지으신 한글만을 읽고 쓰는 사람이라면 도저히 알아보기 힘든 글들이기 때문이다. 그러한 글들을 외계어라고 하며 그런 글을 쓰는 사람을 외계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외계어나 사이버 언어 등의 다른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지만 채팅언어나 홈페이지 게시판의 글 이메일에 사용되는 글 등을 통신언어라 하여 알아보았다.
2. 통신언어의 특성과 문제점
2.1 통신언어의 특성
2.1.1 어휘변위
통신 언어의 가장 큰 특성 중 하나는 모든 말을 준말로 사용한다는 것이다. 아무리 타자를 빨리 친다고 하더라도 입으로 말하는 것보다는 느리기 때문에 음성으로 대화를 나누는 것만큼 원활하게 대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대화의 흐름이 끊기는 문제가 생기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다양한 준말을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준말사용
→ 짱나(짜증나), 남친(남자친구), 여친(여자친구), 설(서울), 젤(제일), 잼(재미), 겜(게임),앤(애인), 샘(선생님), 안냐셈/안냐세요(안녕하세요), 어솨요(어서 와요) 등이 있다. 조아(좋아), 마니(많이), 시로/시러(싫어), 셤(시험),
1. 서론
2. 통신언어의 특성과 문제점
2.1 통신언어의 특성
2.1.1 어휘변위
2.1.2 소리나는대로 표기
2.1.3 은어
2.1.4 감탄사와 의성어 의태어
2.1.5 이모티콘
2.2 통신언어의 문제점
2.2.1 내용상의 문제
2.2.2 형식상의 문제
2.2.3 일상언어의 문제
3.통신언어 사용의 대안
4.결론
[참고문헌]
1.서론
21세기인 지금 대부분의 가정이 컴퓨터를 가지고 있으며 인터넷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인터넷 사용이 보편화되기 전에도 pc통신이 있었지만 지금의 인터넷 사용만큼 활발하지는 않았다. 인터넷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 할 수 있다는 매력적인 장점을 가지고 있다. 어느 곳에서나 쉽게 인터넷에 접속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1999년 10월 이후 국민PC의 보급으로 1가구 1PC시대가 가까워 졌으며 최근 정보통신부가 밝힌 바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인터넷 사용인구가 2000년 9월 기준으로 1천6백만 명을 넘어섰다고 한다. 이러한 pc사용자의 급증으로 pc통신(인터넷)에서 사용되는 통신언어가 생겼다. 통신언어를 외계어 라고도 부르는데 외계어란 네티즌들이 자주 사용하는 언어에서부터 은어 비속어 등을 말한다. 외계어라 부르는 이유는 온갖 이상한 특수문자나 영문, 숫자, 심지어는 일어나 한자까지 조합해서 세종대왕님께서 지으신 한글만을 읽고 쓰는 사람이라면 도저히 알아보기 힘든 글들이기 때문이다. 그러한 글들을 외계어라고 하며 그런 글을 쓰는 사람을 외계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외계어나 사이버 언어 등의 다른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지만 채팅언어나 홈페이지 게시판의 글 이메일에 사용되는 글 등을 통신언어라 하여 알아보았다.
2. 통신언어의 특성과 문제점
2.1 통신언어의 특성
2.1.1 어휘변위
통신 언어의 가장 큰 특성 중 하나는 모든 말을 준말로 사용한다는 것이다. 아무리 타자를 빨리 친다고 하더라도 입으로 말하는 것보다는 느리기 때문에 음성으로 대화를 나누는 것만큼 원활하게 대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대화의 흐름이 끊기는 문제가 생기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다양한 준말을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준말사용
→ 짱나(짜증나), 남친(남자친구), 여친(여자친구), 설(서울), 젤(제일), 잼(재미), 겜(게임),앤(애인), 샘(선생님), 안냐셈/안냐세요(안녕하세요), 어솨요(어서 와요) 등이 있다. 조아(좋아), 마니(많이), 시로/시러(싫어), 셤(시험),
키워드
추천자료
청소년보호법의 특성, 청소년보호법의 필요성, 청소년보호법의 규제제도, 청소년보호법과 정...
이동통신사의 광고언어
사이버문학(인터넷문학, 온라인문학) 특징과 역사, 사이버문학(인터넷문학, 온라인문학) 대화...
성교육, 옛날이야기교육 교수자료(학습자료), 인성교육,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교수자료...
[컴퓨터활용학습][컴퓨터활용]컴퓨터활용학습(CBI), 컴퓨터관리수업(CMI), 컴퓨터보조언어학...
[커뮤니케이션]구전커뮤니케이션, 조직커뮤니케이션, 연극커뮤니케이션, 관광마케팅커뮤니케...
[외국어교육][외국어수업]외국어교육(외국어수업) 맥락적 언어학습, 외국어교육(외국어수업) ...
제7차교육과정의 특성, 제7차교육과정의 배경, 제7차교육과정의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
[학습전략]학습(교육, 수업)전략의 개념, 언어학습(교육, 수업)전략, 개별화학습(교육, 수업)...
[영국교육][대학][체육교육][교과서제도]영국교육의 특성, 영국교육의 대학, 영국교육의 체육...
[시 감상교육][총체적언어학습][시 감상교육의 지도방법]시 감상교육의 중요성, 시 감상교육...
청소년기 언어 발달과 신조어 사용 (통신어, 매스컴, 최근 신조어, 신조어 뜻, 신조어 원인, ...
[국어교육] 새로운 읽기 포트폴리오 틀과 특성 _ 기존의 읽기 포트폴리오의 문제점, 일기 포...
[방송통신대 1학년 언어의이해 E 형]인간 의사소통의 특징을 간략하게 서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