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목차
<목 차>
Ⅰ. 서론
Ⅱ. 판소리계 소설의 이해
1. 조선 후기의 시대배경
2. 판소리계 소설의 특징
Ⅲ. 판소리계 소설
1. 춘향전
1.1. 연구사
1.2. 근원설화
1.3. 작품내용
1.4. 작품분석
2. 적벽가
2.1. 연구사
2.2. 근원설화
2.3. 작품내용
2.4. 작품분석
3. 흥부전
3.1. 연구사
3.2. 근원설화
3.3. 작품내용
3.4. 작품분석
4. 토끼전
4.1. 연구사
4.2. 근원설화
4.3. 작품내용
4.4. 작품분석
5. 심청전
5.1. 연구사
5.2. 근원설화
5.3. 작품내용
5.4. 작품분석
Ⅳ. 결론
※ 참고문헌
Ⅰ. 서론
Ⅱ. 판소리계 소설의 이해
1. 조선 후기의 시대배경
2. 판소리계 소설의 특징
Ⅲ. 판소리계 소설
1. 춘향전
1.1. 연구사
1.2. 근원설화
1.3. 작품내용
1.4. 작품분석
2. 적벽가
2.1. 연구사
2.2. 근원설화
2.3. 작품내용
2.4. 작품분석
3. 흥부전
3.1. 연구사
3.2. 근원설화
3.3. 작품내용
3.4. 작품분석
4. 토끼전
4.1. 연구사
4.2. 근원설화
4.3. 작품내용
4.4. 작품분석
5. 심청전
5.1. 연구사
5.2. 근원설화
5.3. 작품내용
5.4. 작품분석
Ⅳ.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주제는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에 초점을 두어 실제 생활에 기반하여 보다 합리적인 가치를 추구한다. 이것은 더 많은 민중을 소설로 이끄는 원동력이며 작가를 비롯한 모든 향유층이 공감하고 일치될 수 있는 요소인 것이다.
<춘향전>이 렬(烈)을 강조하고, <심청전>이 효(孝)를, <흥부전>은 우애를, <토끼전>은 충(忠)과 지(智)를 강조한다고 여겨지지만, 이들 모두는 현실은 그렇지 못하지만 마땅히 이래야만 된다는 당위의 삶을 설계하고 꿈꾸는 것 김진영, 차충환, 김동건 교주, 『흥보전』,민속원, 2005, p.13.
을 지향한다. 이를 판소리계 소설은 관념적 인과론과 현실적 합리주의를 통해 풍자와 해학을 가미하여 표현한다. 기존의 엄숙한 봉건적 가치관의 허망함을 직시하고 이를 깨뜨리기 위해 풍자와 해학을 사용하여 표면에 관념적 인과론을 내세우면서도 결과적으로 이를 부정하고, 현실적 합리주의를 비난하는 것 같으면서도 사실상 이를 긍정하고 있는 것이다. 장덕순, 조동일, 서대석, 조희웅, 『구비문학개설』, 일조각, 2006, p.226.
이 때문에 판소리계 소설은 조선후기 당대의 현실을 가장 잘 반영한, 근대지향의식과 전근대적 의식이 혼재하는 우리 민중의 적층문학이기에 더 큰 문학적 의의를 갖는다.
※ 참고문헌
권순긍,『고전, 그 새로운 이야기』, 숨비소리, 2007.
권순긍,『고전소설의 풍자와 미학』, 박이정, 2005.
김광옥,「조선후기 민중공론에 관한 연구-판소리 담론을 중심으로」, 경희대 대학원 박사논문, 1989.
김기동,『이조시대소설론』, 이우출판사, 1975.
김기형,『적벽가 연구』, 민속원, 2000, p.182.
김동욱,「열두마당의 근원설화 및 성립과정」,『한국가요의 연구』, 을유문화사, 1961.
김동욱,「판소리 근원설화 첨보(添補)」,『대동문화연구』3집, 성균관대, 1966.
김병국,「춘향전의 문학성에 관한 비평적 접근 시론」, 『고전문학연구2』, 한국고전문학연구회, 1974.
김성기,「울산어문논집」제1집, 1984.
김영희·이대형,「춘향전 연구사」, 설성경 편,『춘향전 연구의 과제와 방향』, 국학자료원, 2003.
김일렬,『고전소설신론』, 새문사, 1991.
김종철,「춘향전의 근원설화」, 장덕순 외,『한국문학사의 쟁점』, 집문당, 1986.
김진영·김현주,『토끼전』, 박이정, 1998.
김진영, 김현주 역주,『화용도』, 박이정, 2000.
김진영·차충환·김동건 교주,『토끼전』, 민속원, 2004.
김진영·차충환·김동건 교주,『흥보전』,민속원, 2005.
김태준,『조선소설사』, 학예사, 1939.
김태준,『흥부전/변강쇠가』,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5.
김현주,「<토끼전>의 우의적 성격」,『고전작가작품의 이해』, 집문당, 1998.
김흥규,「판소리의 사회적 성격과 그 변모」,『세계의 문학』10호, 민음사, 1978.
민찬,『조선후기 우화소설 연구』, 태학사, 1995.
박기석 외,『한국고전문학입문』, 집문당, 2005.
박황,『판소리 소사』, 신구문화사, 1973.
박황,『판소리 이백년사』, 사사연, 1987.
사재동,『심청전연구서설』,「어문연구」7,1971.
서종문,「신재효본 적벽가에 나타난 작가의식」,『국어국문학』72·73호, 국어국문학회, 1976.
설중환,「춘향전의 인물구조와 사회성격」, 한국고소설연구회 편,『춘향전의 종합적 고찰』, 아세아문화사, 1991.
송성욱 편,『춘향전』, 민음사, 2004.
이경선,『삼국지연의의 비교문학적 연구』, 일지사, 1976.
이문규,「흥부전의 문학적 특질에 대한 고찰」,『흥부전연구』, 집문당, 1991
이상보 주해,『춘향전심청전』, 범우사, 1988.
이상택,「고전소설의 사회와 인간」,『한국고전소설의 탐구』, 중앙출판, 1981.
이상택,『한국 고전소설의 이론Ⅰ』, 새문사, 2003.
이정수,「華容道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박사논문, 1993.
인권환,「수궁가 동편제와 강산제」,『민족문화연구』25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2.
인권환,「수궁가의 형성과 창자의 전승 계보」,『배달말』11, 배달말학회, 1986.
인권환,『토끼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3.
인권환,「토끼전 근원설화연구」,『아세아연구』25,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1967.
인권환,「토끼전 이본고」,『아세아연구』29,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1968.
인권환,「토끼전의 구조와 주제」,『고전소설의 이해』, 문학과 비평사, 1991.
인권환,「토끼전의 서민의식과 풍자성」,『어문논집』14·15합집,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연구회, 1973.
임형택,「판소리사에 있어서 신재효와 토끼전」,『한국문학사의 시각』, 창작과 비평사, 1984.
임형택,「흥부전의 역사적 현실성」,『한국문학사의 시각』, 창작과 비평사, 1984.
임형택,「흥부전의 현실성에 관한 연구」, 『문화비평』1권 4호, 1969.
장덕순,「심청전연구」,『국문학통론』, 신구문화사, 1960.
장덕순,『국문학통론』, 신구문화사, 1988.
정노식,『조선창극사』, 조선일보사, 1940.
정출헌,「조선후기 우화소설의 사회적 성격」,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1992.
정충권,『흥부전 연구』, 월인, 2003.
정하영,「춘향전 주제론」,『춘향전의 탐구』, 집문당, 2005.
정학성,「우화소설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72.
조동일,「심청전에 나타난 비장과 골계」,『계명논총』7, 계명대학교, 1971.
조동일,「토끼전(별쥬전)의 구조와 풍자」,『계명논총』8, 계명대학교, 1972.
조동일,「춘향전 주제의 새로운 고찰」,『우리 문학과의 만남』, 홍성사, 1981.
조동일,「판소리의 전반적 성격」, 조동일·김흥규 편,『판소리의 이해』, 창작과 비평사, 1978.
조동일,「<흥부전>의 양면성」,『흥부전연구』, 집문당, 1991
최남선,「외국으로서 귀화한 조선고담」,『동명』3호, 1922.
최동현 유영대 편,『심청전 연구』, 태학사, 1999.
최래옥,「적벽가의 해학적 구조」,『한국고전소설의 탐구』, 일조각, 1978.
한국고소설연구회편,『춘향전의 종합적 고찰』, 아세아문화사, 1991.
한국고전소설 편찬위원회 편,『한국고전소설론』, 새문사, 2002.
<춘향전>이 렬(烈)을 강조하고, <심청전>이 효(孝)를, <흥부전>은 우애를, <토끼전>은 충(忠)과 지(智)를 강조한다고 여겨지지만, 이들 모두는 현실은 그렇지 못하지만 마땅히 이래야만 된다는 당위의 삶을 설계하고 꿈꾸는 것 김진영, 차충환, 김동건 교주, 『흥보전』,민속원, 2005, p.13.
을 지향한다. 이를 판소리계 소설은 관념적 인과론과 현실적 합리주의를 통해 풍자와 해학을 가미하여 표현한다. 기존의 엄숙한 봉건적 가치관의 허망함을 직시하고 이를 깨뜨리기 위해 풍자와 해학을 사용하여 표면에 관념적 인과론을 내세우면서도 결과적으로 이를 부정하고, 현실적 합리주의를 비난하는 것 같으면서도 사실상 이를 긍정하고 있는 것이다. 장덕순, 조동일, 서대석, 조희웅, 『구비문학개설』, 일조각, 2006, p.226.
이 때문에 판소리계 소설은 조선후기 당대의 현실을 가장 잘 반영한, 근대지향의식과 전근대적 의식이 혼재하는 우리 민중의 적층문학이기에 더 큰 문학적 의의를 갖는다.
※ 참고문헌
권순긍,『고전, 그 새로운 이야기』, 숨비소리, 2007.
권순긍,『고전소설의 풍자와 미학』, 박이정, 2005.
김광옥,「조선후기 민중공론에 관한 연구-판소리 담론을 중심으로」, 경희대 대학원 박사논문, 1989.
김기동,『이조시대소설론』, 이우출판사, 1975.
김기형,『적벽가 연구』, 민속원, 2000, p.182.
김동욱,「열두마당의 근원설화 및 성립과정」,『한국가요의 연구』, 을유문화사, 1961.
김동욱,「판소리 근원설화 첨보(添補)」,『대동문화연구』3집, 성균관대, 1966.
김병국,「춘향전의 문학성에 관한 비평적 접근 시론」, 『고전문학연구2』, 한국고전문학연구회, 1974.
김성기,「울산어문논집」제1집, 1984.
김영희·이대형,「춘향전 연구사」, 설성경 편,『춘향전 연구의 과제와 방향』, 국학자료원, 2003.
김일렬,『고전소설신론』, 새문사, 1991.
김종철,「춘향전의 근원설화」, 장덕순 외,『한국문학사의 쟁점』, 집문당, 1986.
김진영·김현주,『토끼전』, 박이정, 1998.
김진영, 김현주 역주,『화용도』, 박이정, 2000.
김진영·차충환·김동건 교주,『토끼전』, 민속원, 2004.
김진영·차충환·김동건 교주,『흥보전』,민속원, 2005.
김태준,『조선소설사』, 학예사, 1939.
김태준,『흥부전/변강쇠가』,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5.
김현주,「<토끼전>의 우의적 성격」,『고전작가작품의 이해』, 집문당, 1998.
김흥규,「판소리의 사회적 성격과 그 변모」,『세계의 문학』10호, 민음사, 1978.
민찬,『조선후기 우화소설 연구』, 태학사, 1995.
박기석 외,『한국고전문학입문』, 집문당, 2005.
박황,『판소리 소사』, 신구문화사, 1973.
박황,『판소리 이백년사』, 사사연, 1987.
사재동,『심청전연구서설』,「어문연구」7,1971.
서종문,「신재효본 적벽가에 나타난 작가의식」,『국어국문학』72·73호, 국어국문학회, 1976.
설중환,「춘향전의 인물구조와 사회성격」, 한국고소설연구회 편,『춘향전의 종합적 고찰』, 아세아문화사, 1991.
송성욱 편,『춘향전』, 민음사, 2004.
이경선,『삼국지연의의 비교문학적 연구』, 일지사, 1976.
이문규,「흥부전의 문학적 특질에 대한 고찰」,『흥부전연구』, 집문당, 1991
이상보 주해,『춘향전심청전』, 범우사, 1988.
이상택,「고전소설의 사회와 인간」,『한국고전소설의 탐구』, 중앙출판, 1981.
이상택,『한국 고전소설의 이론Ⅰ』, 새문사, 2003.
이정수,「華容道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박사논문, 1993.
인권환,「수궁가 동편제와 강산제」,『민족문화연구』25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2.
인권환,「수궁가의 형성과 창자의 전승 계보」,『배달말』11, 배달말학회, 1986.
인권환,『토끼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3.
인권환,「토끼전 근원설화연구」,『아세아연구』25,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1967.
인권환,「토끼전 이본고」,『아세아연구』29,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1968.
인권환,「토끼전의 구조와 주제」,『고전소설의 이해』, 문학과 비평사, 1991.
인권환,「토끼전의 서민의식과 풍자성」,『어문논집』14·15합집,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연구회, 1973.
임형택,「판소리사에 있어서 신재효와 토끼전」,『한국문학사의 시각』, 창작과 비평사, 1984.
임형택,「흥부전의 역사적 현실성」,『한국문학사의 시각』, 창작과 비평사, 1984.
임형택,「흥부전의 현실성에 관한 연구」, 『문화비평』1권 4호, 1969.
장덕순,「심청전연구」,『국문학통론』, 신구문화사, 1960.
장덕순,『국문학통론』, 신구문화사, 1988.
정노식,『조선창극사』, 조선일보사, 1940.
정출헌,「조선후기 우화소설의 사회적 성격」,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1992.
정충권,『흥부전 연구』, 월인, 2003.
정하영,「춘향전 주제론」,『춘향전의 탐구』, 집문당, 2005.
정학성,「우화소설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72.
조동일,「심청전에 나타난 비장과 골계」,『계명논총』7, 계명대학교, 1971.
조동일,「토끼전(별쥬전)의 구조와 풍자」,『계명논총』8, 계명대학교, 1972.
조동일,「춘향전 주제의 새로운 고찰」,『우리 문학과의 만남』, 홍성사, 1981.
조동일,「판소리의 전반적 성격」, 조동일·김흥규 편,『판소리의 이해』, 창작과 비평사, 1978.
조동일,「<흥부전>의 양면성」,『흥부전연구』, 집문당, 1991
최남선,「외국으로서 귀화한 조선고담」,『동명』3호, 1922.
최동현 유영대 편,『심청전 연구』, 태학사, 1999.
최래옥,「적벽가의 해학적 구조」,『한국고전소설의 탐구』, 일조각, 1978.
한국고소설연구회편,『춘향전의 종합적 고찰』, 아세아문화사, 1991.
한국고전소설 편찬위원회 편,『한국고전소설론』, 새문사, 200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