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격조사
1. 1. 주격 조사
1. 2. 목적격 조사
1. 3. 관형격 조사
1. 4 서술격 조사
1. 5. 보격 조사
1. 6. 부사격 조사
Ⅱ. 접속 조사
Ⅲ. 보조사
3. 1. 성분 보조사
3. 2 의문 보조사
Ⅳ. 맺음말
1. 1. 주격 조사
1. 2. 목적격 조사
1. 3. 관형격 조사
1. 4 서술격 조사
1. 5. 보격 조사
1. 6. 부사격 조사
Ⅱ. 접속 조사
Ⅲ. 보조사
3. 1. 성분 보조사
3. 2 의문 보조사
Ⅳ. 맺음말
본문내용
1975:337)에서는 체언의 끝음절 모음이 평성으로 되어 있으면 상성으로 바뀌는데, “내해 :리 업도다(두시언해 권25, 7장)”가 그 용례이다.
“아, 여 : , , ; , ; 나모, 구무” 따위 말에 주격 조사가 결합하면 앞 체언의 끝 홀소리가 줄어든다. ‘놀이(노+이(용가 43장)’, ‘이(아우가, 용가103장)’로 체언의 형태가 변한다.
1. 2. 목적격 조사
목적격 조사는 ‘ㄹ’인데 음운 환경에 따라 ‘/을’,‘/를’ 등의 이형태로 나타난다. ‘ㄹ’은 ‘, 를’과 같이 모음 아래에 쓰이는데, 그 선택 조건은 분명하지 않다. 또한 ‘, 를’의 선택 규칙은 엄격한 편이 아니었다. “너 뵈노니(내훈 2하: 52)”, “전나귀 …… 빌이건마(두언 25:41) 등이 그 예이다.
<표2> 15세기 국어 목적격 조사
선행 음운
목적격 조사
용례
양성과 자음
남(용가86장)
음성과 자음
을
帝業을 (용가3장)
양성과 모음
션(용가80장)
음성과 모음
를
번게를(용가30장)
모음
ㄹ
가칠 므러(용가 7장)
이 중 ‘ㄹ’과 ‘’, ‘를’은 선택 조건은 분명하지 않고, 임의로 변동된 것으로 추측된다. 허웅(1775:340)은 ‘/를’을 역사적으로 ‘-ㄹ’과 ‘/을’이 겹쳐진 것으로 추측한다. 모음 아래 ‘ㄹ’만 쓸 경우 목적어 표시가 분명하지 않기에 격 표시를 분명히 하기 위한 것으로 추측한다.
1. 3. 관형격 조사
15세기 국어의 관형격 조사는 ‘/의’, ‘ㅅ’, ‘ㅣ’ 등이 쓰여 복잡한 양상을 보인다.
<표 3> 15세기 국어 관형격 조사
선행 음운
관형격 조사
용례
양성 모음과 자음
사(사+, 88장)
음성 모음과 자음
의
宮監의 다시언마 (17장)
모음
ㅣ
公州ㅣ 江南(15장)
유성음 뒤
ㅅ
나랏 小民(52장)
부로(부텨ㅅ) 모미(석보상절 권6, 41)
한편, ‘나, 너’의 관형형인 ‘내, 네’인데, 여기에 다시 ‘’나 ‘의’가 붙는 경우도 있다.
“네 어찌 내 母陀羅手를 보라(능엄 2:13)”
이러한 형태는 관형어 다음에 오는 서술어에 대해서 심층구조에 있어서 주어가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경우 ‘내, 네’ 대신에 ‘내, 네의’의 형태로 사용된다.
또한 ‘ㅅ’은 유정명사의 존칭과 무정명사에 후속하는 체언의 소유주임을 표시한다. 선행 명사의 음성 환경에 따라 ‘ㄱ, ㄷ, ㅂ, ㅸ, ㆆ, ㅿ’으로 표기되기도 한다. ‘ㅅ’은 ‘/의’와 달리 체언의 끝소리가 유성음일 때만 나타난다.
15세기 국어에서는 관형절과 명사절 서술어의 주어가 주격조사와 결합하기보다는 관형격 조사와 결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뷰로 니샤 듣고”는 “부처가 말씀하심을 들으시고”로 해석되는데, 관형격 조사가 결합해 있다. 오늘날에도 “학생의 할 일”과 “나의 살던 고향은”과 같은 곳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관형격 ‘/의’가 ‘ㅣ’ 모음으로 끝나는 체언 뒤에 결합하는 경우에는 체언의 ‘ㅣ’모음이 줄어드는 것도 특징이다. 그 예로 “아(아기+) 비디(월석 8:97), 어버(어버+의) 일후믈(월석 8:97)” 등을 들 수 있다.
1. 4 서술격 조사
중세 국어의 서술격 조사는 ‘이라, ㅣ라, 라’가 있다. “國 나라히라(훈민정음언해)”에서 ‘나라히라’는 ‘나라ㅎ+이라’로 분석할 수 있는데, 용법은 주격 조사와 같다. 서술격 조사는 ‘이+도다’, ‘이+더+라’와 같이 ‘이-’ 뒤에 ‘ㄷ’으로 시작되는 형태가 오면 ‘ㄷ’이 ‘ㄹ’로 변해 ‘이로다, 이러라’의 형태로 나타난다. 또한 ‘이+고’는 ‘이오’로 나타나는데, 이 때는 ‘ㄱ’이 탈락된다.
1. 5. 보격 조사
15세기 국어의 보격 조사도 현대국어와 같으며, 그 용법은 주격 조사와 같다. 다음은 그 예이다.
兜率諸天히…他人이 외더라(월인석보 권2, 24장)
이…世尊ㅅ 다시(닷이) 아니시다다(법화경언행 권2, 5장)
1. 6. 부사격 조사
부사격 조사는 현대 국어와 같이 여러 가지가 있다. 부사격 조사는 그 의미에 따라 분류하는데, 여기서 현대 국어와 다른 것을 중심으로 살펴보자.
(1) 처소 부사격
현대 국어의 대표적인 형태인 ‘에’ 이외에도 음운 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표 4> 15세기 국어의 처소 부사격
환경
처소 부사격
용례
양성 모음 뒤
애
谷애 사샤(용가 3장)
음성 모음 뒤
에
慶興에 사샤(용가 3장)
‘ㅣ’또는 반모음 뒤
예
적인(狄人)ㅅ 서리예 (용가 4장)
특수
의/
山 미틔 軍馬 두시고 (용가 58장)
나 도니(용가 101장)
‘/의’ 부사격 조사가 붙는 단어는 ‘,
“아, 여 : , , ; , ; 나모, 구무” 따위 말에 주격 조사가 결합하면 앞 체언의 끝 홀소리가 줄어든다. ‘놀이(노+이(용가 43장)’, ‘이(아우가, 용가103장)’로 체언의 형태가 변한다.
1. 2. 목적격 조사
목적격 조사는 ‘ㄹ’인데 음운 환경에 따라 ‘/을’,‘/를’ 등의 이형태로 나타난다. ‘ㄹ’은 ‘, 를’과 같이 모음 아래에 쓰이는데, 그 선택 조건은 분명하지 않다. 또한 ‘, 를’의 선택 규칙은 엄격한 편이 아니었다. “너 뵈노니(내훈 2하: 52)”, “전나귀 …… 빌이건마(두언 25:41) 등이 그 예이다.
<표2> 15세기 국어 목적격 조사
선행 음운
목적격 조사
용례
양성과 자음
남(용가86장)
음성과 자음
을
帝業을 (용가3장)
양성과 모음
션(용가80장)
음성과 모음
를
번게를(용가30장)
모음
ㄹ
가칠 므러(용가 7장)
이 중 ‘ㄹ’과 ‘’, ‘를’은 선택 조건은 분명하지 않고, 임의로 변동된 것으로 추측된다. 허웅(1775:340)은 ‘/를’을 역사적으로 ‘-ㄹ’과 ‘/을’이 겹쳐진 것으로 추측한다. 모음 아래 ‘ㄹ’만 쓸 경우 목적어 표시가 분명하지 않기에 격 표시를 분명히 하기 위한 것으로 추측한다.
1. 3. 관형격 조사
15세기 국어의 관형격 조사는 ‘/의’, ‘ㅅ’, ‘ㅣ’ 등이 쓰여 복잡한 양상을 보인다.
<표 3> 15세기 국어 관형격 조사
선행 음운
관형격 조사
용례
양성 모음과 자음
사(사+, 88장)
음성 모음과 자음
의
宮監의 다시언마 (17장)
모음
ㅣ
公州ㅣ 江南(15장)
유성음 뒤
ㅅ
나랏 小民(52장)
부로(부텨ㅅ) 모미(석보상절 권6, 41)
한편, ‘나, 너’의 관형형인 ‘내, 네’인데, 여기에 다시 ‘’나 ‘의’가 붙는 경우도 있다.
“네 어찌 내 母陀羅手를 보라(능엄 2:13)”
이러한 형태는 관형어 다음에 오는 서술어에 대해서 심층구조에 있어서 주어가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경우 ‘내, 네’ 대신에 ‘내, 네의’의 형태로 사용된다.
또한 ‘ㅅ’은 유정명사의 존칭과 무정명사에 후속하는 체언의 소유주임을 표시한다. 선행 명사의 음성 환경에 따라 ‘ㄱ, ㄷ, ㅂ, ㅸ, ㆆ, ㅿ’으로 표기되기도 한다. ‘ㅅ’은 ‘/의’와 달리 체언의 끝소리가 유성음일 때만 나타난다.
15세기 국어에서는 관형절과 명사절 서술어의 주어가 주격조사와 결합하기보다는 관형격 조사와 결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뷰로 니샤 듣고”는 “부처가 말씀하심을 들으시고”로 해석되는데, 관형격 조사가 결합해 있다. 오늘날에도 “학생의 할 일”과 “나의 살던 고향은”과 같은 곳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관형격 ‘/의’가 ‘ㅣ’ 모음으로 끝나는 체언 뒤에 결합하는 경우에는 체언의 ‘ㅣ’모음이 줄어드는 것도 특징이다. 그 예로 “아(아기+) 비디(월석 8:97), 어버(어버+의) 일후믈(월석 8:97)” 등을 들 수 있다.
1. 4 서술격 조사
중세 국어의 서술격 조사는 ‘이라, ㅣ라, 라’가 있다. “國 나라히라(훈민정음언해)”에서 ‘나라히라’는 ‘나라ㅎ+이라’로 분석할 수 있는데, 용법은 주격 조사와 같다. 서술격 조사는 ‘이+도다’, ‘이+더+라’와 같이 ‘이-’ 뒤에 ‘ㄷ’으로 시작되는 형태가 오면 ‘ㄷ’이 ‘ㄹ’로 변해 ‘이로다, 이러라’의 형태로 나타난다. 또한 ‘이+고’는 ‘이오’로 나타나는데, 이 때는 ‘ㄱ’이 탈락된다.
1. 5. 보격 조사
15세기 국어의 보격 조사도 현대국어와 같으며, 그 용법은 주격 조사와 같다. 다음은 그 예이다.
兜率諸天히…他人이 외더라(월인석보 권2, 24장)
이…世尊ㅅ 다시(닷이) 아니시다다(법화경언행 권2, 5장)
1. 6. 부사격 조사
부사격 조사는 현대 국어와 같이 여러 가지가 있다. 부사격 조사는 그 의미에 따라 분류하는데, 여기서 현대 국어와 다른 것을 중심으로 살펴보자.
(1) 처소 부사격
현대 국어의 대표적인 형태인 ‘에’ 이외에도 음운 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표 4> 15세기 국어의 처소 부사격
환경
처소 부사격
용례
양성 모음 뒤
애
谷애 사샤(용가 3장)
음성 모음 뒤
에
慶興에 사샤(용가 3장)
‘ㅣ’또는 반모음 뒤
예
적인(狄人)ㅅ 서리예 (용가 4장)
특수
의/
山 미틔 軍馬 두시고 (용가 58장)
나 도니(용가 101장)
‘/의’ 부사격 조사가 붙는 단어는 ‘,
추천자료
한국국어사(고대,중세,근대,현대국어,문법,체계)
콩나물에 대한 정리
[과외]고등 국어 2-1학기 중간 출판사 공통 예상문제 15
[과외]고등 국어 2-2학기 중간 출판사 공통 예상문제 15
[과외]고등 국어 1-1학기 기말 예상문제 15
[과외]고등 국어 1-2학기 기말 예상문제 15
[국어형태론, 형태론] 국어형태론 시험대비 완벽정리 노트
2009년 1학기 바른국어생활과문법 기말시험 핵심체크
2009년 동계계절시험 바른국어생활과문법 시험범위 핵심체크
21세기 성공인물 조사
[국어 형태소][형태소 유형][국어 형태소 요소][국어 형태소와 태격형태소][국어 형태소와 이...
동남아, 아프리카, 남미 자본주의의 역사, 유래, 세계공황이 준 영향, 20세기 동남아시아, 식...
(생명과 환경) 한국에서 원자력발전에 반대하는 사람들의 반대 논거를 조사하고, 이들의 생각...
[A+ 받은 롤모델 조사] 나의 롤모델 코코샤넬, 20세기를 디자인한 여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