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여성들이 다이어트를 하는 이유
1.1 사회적 차원
1.1.1 여성들에 대한 획일적인 사고방식
1.1.2 대중매체의 영향
1.1.3 외모지상주의의 팽배
1.2 개인적 차원
1.2.1 자기만족, 필요
1.2.2 아름다움
2. 다이어트가 부른 문제점
2.1 사회적 차원
2.1.1 불필요한 다이어트 산업 확대
2.1.2 불필요한 외모 가꾸기에 의한 사회적 피해
2.2 개인적 차원
2.2.1 심리상
2.2.2 건강상
3. 다이어트 문화의 극복방안
3.1 사회적으로 해야할 일
3.2 개인적으로 해야할 일
Ⅲ. 결론
*참고자료
Ⅱ. 본론
1. 여성들이 다이어트를 하는 이유
1.1 사회적 차원
1.1.1 여성들에 대한 획일적인 사고방식
1.1.2 대중매체의 영향
1.1.3 외모지상주의의 팽배
1.2 개인적 차원
1.2.1 자기만족, 필요
1.2.2 아름다움
2. 다이어트가 부른 문제점
2.1 사회적 차원
2.1.1 불필요한 다이어트 산업 확대
2.1.2 불필요한 외모 가꾸기에 의한 사회적 피해
2.2 개인적 차원
2.2.1 심리상
2.2.2 건강상
3. 다이어트 문화의 극복방안
3.1 사회적으로 해야할 일
3.2 개인적으로 해야할 일
Ⅲ. 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다.
매스컴은 획일적인 모습의 이미지를 강조하는 점을 고쳐야 하겠다. 우리가 항상 접하고 있는 매스컴에서 알게 모르게 여성들에게 압력을 넣고 있는데 그 점을 대중매체인 TV, 잡지, 신문 등은 알면서도 등한시 해오며 자신들의 이익만을 위해 좀더 자극적인 모습, 좀더 완벽한 모습들을 선전하곤 한다. 매스컴에서 그런 모습을 보이며 사회의 분위기를 만든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매스컴들은 외모가 뛰어나고 완벽한 몸매를 가진 모델들이 나오는 광고를 좀더 현실적이고 자연스럽게 바꿀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광고는 젊고 빼어난 미모를 과시하는 모델들만 나오는 반면 미국광고는 사회를 비추는 거울이라는 말을 실감나게 할 정도로 평상시에 볼 수 있는 뚱뚱하거나 앞집 아저씨 같은 친근한 사람들이 광고에 출현한다. 날씬 한 사람보다는 뚱뚱한 사람이 자주 눈에 띈다. 잘생긴 사람들만 나와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깨고 독특하고 개성 있게 생긴 모델을 출연시킴으로써 사람들에게 관심을 갖게 만들고 보다 친숙한 모습들을 광고에 넣음으로써 자연스럽게 광고를 볼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줘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국가에서는 이윤 확대를 목적으로 선정적 광고, 허위광고를 하는 광고사들에게 경고 조치를 내리고 엄격한 광고 규제 절차를 요구해야 할 것이다. 광고의 목적이 이윤 추구를 위한 것이지만 목표에 도달하는데 이용되는 수단에 크게 잘못된 것이라면 처벌받아야 마땅하다고 생각한다. 정부는 이런 광고사들에게 광고에 대해 책임을 져야할 의무가 있다고 하여 최소한의 잘잘못을 따져야 할 것이다.
공익광고협회에서는 우리 사회를 지배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외모 지상주의의 폐해를 적나라하게 담은 내용의 광고를 제작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외모 지상주의가 얼마나 심각한지 알려야 할 것이다. 지속적이고 정기적인 언론매체의 외모 지상주의 심각성 보도로 무관심했던 또는 알아차리지 못한 사람들이 한번이라도 이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한번 생각해볼 기회가 제공 될 것이다. 그렇다면 이들은 그 심각성을 느끼고 대책방안을 모색해 갈 것이다.
3. 2 개인적으로 해야할 일
우선 여자들 스스로가 자신을 성적 대상화 시키려는 경향이 있는데 그것은 매우 잘못되었다고 생각된다. 자신의 외모를 취업의 수단, 승진의 수단으로 심지어는 결혼의 수단으로까지 생각하는 여성들이 많다. 그런 여성들은 스스로가 남자들에게 잘 보이기 위함인데 그런 생각을 버려야 하겠다. 열심히 노력하여 얻으려고 하기는커녕 외모를 가꾸어서 그 후광으로 얻으려고 하는 여성들 자체가 생각을 고쳐야 하겠다.
건강을 생각하며 무리하게 굶거나 약을 먹는 다거나 수술을 해서 살을 빼는 것을 피해야 할 것이다. 적절한 식단표를 짜고 식이요법과 함께 규칙적이고 적당한 운동을 병행하는 다이어트 요법을 택하면 문제 될 것이 없을 것이다.
비만인 여성들은, 물론 자신의 건강을 위해 비만으로 인해 오는 각종 질병을 퇴치하기 위해서라도 다이어트를 하는 것은 문제 되지 않는다. 오히려 비만인 상태로 남아 있는 것이 건강에 더 좋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정상적인 체중이 여성들은 심한 다이어트를 하지 않는 것이 좋겠다. 물론 자기 몸매를 생각해서 조금의 다이어트를 허용 될 것이다. 하지만 자신의 몸매가 무조건 뚱뚱하다는 생각은 버려야 하겠다. 꼭 드라마나 잡지에 나오는 연예인들을 기준으로 삼지 말고 자신의 몸매에 대한 자신감을 가져야 겠다.
지금 모습의 자신에 대해 자신감을 갖는 다면 보통이 여성들이 다이어트를 해야 할 이유가 없어질 것이다. 다이어트나 성형수술이 자신의 삶을 한순간에 바꿀 수 없음을 인식하고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받아들이고 사랑해야한다. 외적인 화려함보다는 몸 자체의 건강을 위해 꾸준히 운동을 하며 자신만의 아름다움과 개성을 추구해야 한다.
Ⅲ. 결론
지금까지 여성들의 다이어트 이유, 그로인한 문제, 그리고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들에 의해 토의해 보았다.
여성들은 자기 자신의 만족과 필요에 의해 다이어트를 해왔지만 그보다도 무언의 사회적 압박에 해왔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주변 곳곳에 도사리고 있는 여성들로 하여금 보이지 않는 압력으로 인해 다이어트를 하지 않아도 될 여성들에게까지 자신들의 건강을 생각지도 않고 살을 빼왔던 것이다.
이제는 그러한 사회 분위기를 조금씩 타파해야할 시기가 온 것 같다. 우리 모두 외모 지상주의의 심각성에 대해 한 번 더 생각해보고 행동해야 겠다. 외모만을 보고 그 사람의 가치를 판가름하는 우리 사회의 모습을 인식하고 잘못된 점을 하루빨리 고쳐야 하겠다.
잘못된 다이어트 문화도 고쳐져서 위험한 다이어트 약을 복용한다거나 수술을 한다거나 하는 방법은 되도록이면 하지 말고 정상적이고 현명한 방법으로 탄탄하고 멋진 몸매를 만들어 가야겠다. 물론 정상적인 여자들이 다이어트를 하지 않는 건전한 사회적 분위기가 우선 되어야 할 것이다.
또 여성들을 자신들이 다이어트를 하는데 있어서 사회 분위기에 휩쓸려 하게 되는 경향도 없지 않아 있는데 그런 생각들을 고치고 자기 자신의 외모, 몸매에 대해 자신감을 갖고 다른 사람들과 비교함 없이 오직 자신만을 바라보는 시각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겠다. 물론 외모만을 가꾸는 것이 아니고 이제는 여성들 내면도 가꾸어 가야 할 것이다.
※ 참고자료
지방행정혁신교육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14&article_id=0000192410§ion_id=106&menu_id=106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55&article_id=0000001588§ion_id=115&menu_id=115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56&article_id=0000005175§ion_id=0&menu_id=0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143&article_id=0000026821§ion_id=103&menu_id=103
매스컴은 획일적인 모습의 이미지를 강조하는 점을 고쳐야 하겠다. 우리가 항상 접하고 있는 매스컴에서 알게 모르게 여성들에게 압력을 넣고 있는데 그 점을 대중매체인 TV, 잡지, 신문 등은 알면서도 등한시 해오며 자신들의 이익만을 위해 좀더 자극적인 모습, 좀더 완벽한 모습들을 선전하곤 한다. 매스컴에서 그런 모습을 보이며 사회의 분위기를 만든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매스컴들은 외모가 뛰어나고 완벽한 몸매를 가진 모델들이 나오는 광고를 좀더 현실적이고 자연스럽게 바꿀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광고는 젊고 빼어난 미모를 과시하는 모델들만 나오는 반면 미국광고는 사회를 비추는 거울이라는 말을 실감나게 할 정도로 평상시에 볼 수 있는 뚱뚱하거나 앞집 아저씨 같은 친근한 사람들이 광고에 출현한다. 날씬 한 사람보다는 뚱뚱한 사람이 자주 눈에 띈다. 잘생긴 사람들만 나와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깨고 독특하고 개성 있게 생긴 모델을 출연시킴으로써 사람들에게 관심을 갖게 만들고 보다 친숙한 모습들을 광고에 넣음으로써 자연스럽게 광고를 볼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줘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국가에서는 이윤 확대를 목적으로 선정적 광고, 허위광고를 하는 광고사들에게 경고 조치를 내리고 엄격한 광고 규제 절차를 요구해야 할 것이다. 광고의 목적이 이윤 추구를 위한 것이지만 목표에 도달하는데 이용되는 수단에 크게 잘못된 것이라면 처벌받아야 마땅하다고 생각한다. 정부는 이런 광고사들에게 광고에 대해 책임을 져야할 의무가 있다고 하여 최소한의 잘잘못을 따져야 할 것이다.
공익광고협회에서는 우리 사회를 지배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외모 지상주의의 폐해를 적나라하게 담은 내용의 광고를 제작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외모 지상주의가 얼마나 심각한지 알려야 할 것이다. 지속적이고 정기적인 언론매체의 외모 지상주의 심각성 보도로 무관심했던 또는 알아차리지 못한 사람들이 한번이라도 이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한번 생각해볼 기회가 제공 될 것이다. 그렇다면 이들은 그 심각성을 느끼고 대책방안을 모색해 갈 것이다.
3. 2 개인적으로 해야할 일
우선 여자들 스스로가 자신을 성적 대상화 시키려는 경향이 있는데 그것은 매우 잘못되었다고 생각된다. 자신의 외모를 취업의 수단, 승진의 수단으로 심지어는 결혼의 수단으로까지 생각하는 여성들이 많다. 그런 여성들은 스스로가 남자들에게 잘 보이기 위함인데 그런 생각을 버려야 하겠다. 열심히 노력하여 얻으려고 하기는커녕 외모를 가꾸어서 그 후광으로 얻으려고 하는 여성들 자체가 생각을 고쳐야 하겠다.
건강을 생각하며 무리하게 굶거나 약을 먹는 다거나 수술을 해서 살을 빼는 것을 피해야 할 것이다. 적절한 식단표를 짜고 식이요법과 함께 규칙적이고 적당한 운동을 병행하는 다이어트 요법을 택하면 문제 될 것이 없을 것이다.
비만인 여성들은, 물론 자신의 건강을 위해 비만으로 인해 오는 각종 질병을 퇴치하기 위해서라도 다이어트를 하는 것은 문제 되지 않는다. 오히려 비만인 상태로 남아 있는 것이 건강에 더 좋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정상적인 체중이 여성들은 심한 다이어트를 하지 않는 것이 좋겠다. 물론 자기 몸매를 생각해서 조금의 다이어트를 허용 될 것이다. 하지만 자신의 몸매가 무조건 뚱뚱하다는 생각은 버려야 하겠다. 꼭 드라마나 잡지에 나오는 연예인들을 기준으로 삼지 말고 자신의 몸매에 대한 자신감을 가져야 겠다.
지금 모습의 자신에 대해 자신감을 갖는 다면 보통이 여성들이 다이어트를 해야 할 이유가 없어질 것이다. 다이어트나 성형수술이 자신의 삶을 한순간에 바꿀 수 없음을 인식하고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받아들이고 사랑해야한다. 외적인 화려함보다는 몸 자체의 건강을 위해 꾸준히 운동을 하며 자신만의 아름다움과 개성을 추구해야 한다.
Ⅲ. 결론
지금까지 여성들의 다이어트 이유, 그로인한 문제, 그리고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들에 의해 토의해 보았다.
여성들은 자기 자신의 만족과 필요에 의해 다이어트를 해왔지만 그보다도 무언의 사회적 압박에 해왔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주변 곳곳에 도사리고 있는 여성들로 하여금 보이지 않는 압력으로 인해 다이어트를 하지 않아도 될 여성들에게까지 자신들의 건강을 생각지도 않고 살을 빼왔던 것이다.
이제는 그러한 사회 분위기를 조금씩 타파해야할 시기가 온 것 같다. 우리 모두 외모 지상주의의 심각성에 대해 한 번 더 생각해보고 행동해야 겠다. 외모만을 보고 그 사람의 가치를 판가름하는 우리 사회의 모습을 인식하고 잘못된 점을 하루빨리 고쳐야 하겠다.
잘못된 다이어트 문화도 고쳐져서 위험한 다이어트 약을 복용한다거나 수술을 한다거나 하는 방법은 되도록이면 하지 말고 정상적이고 현명한 방법으로 탄탄하고 멋진 몸매를 만들어 가야겠다. 물론 정상적인 여자들이 다이어트를 하지 않는 건전한 사회적 분위기가 우선 되어야 할 것이다.
또 여성들을 자신들이 다이어트를 하는데 있어서 사회 분위기에 휩쓸려 하게 되는 경향도 없지 않아 있는데 그런 생각들을 고치고 자기 자신의 외모, 몸매에 대해 자신감을 갖고 다른 사람들과 비교함 없이 오직 자신만을 바라보는 시각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겠다. 물론 외모만을 가꾸는 것이 아니고 이제는 여성들 내면도 가꾸어 가야 할 것이다.
※ 참고자료
지방행정혁신교육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14&article_id=0000192410§ion_id=106&menu_id=106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55&article_id=0000001588§ion_id=115&menu_id=115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56&article_id=0000005175§ion_id=0&menu_id=0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143&article_id=0000026821§ion_id=103&menu_id=10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