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리코나
1. 리코나 인격 교육론
2. 교육에의 적용
Ⅱ. 반두라
1. 사회학습이론 - 관찰학습
2. 교육에의 적용
Ⅲ. 콜버그
1. 콜버그의 도덕이론
2. 교육에의 적용
Ⅳ. 스키너
1. 스키너의 도덕발달 이론
2. 교육에의 적용
Ⅴ. 프로이드
1. 프로이트의 성격발달과 도덕교육
2. 교육에의 적용
<참고문헌>
1. 리코나 인격 교육론
2. 교육에의 적용
Ⅱ. 반두라
1. 사회학습이론 - 관찰학습
2. 교육에의 적용
Ⅲ. 콜버그
1. 콜버그의 도덕이론
2. 교육에의 적용
Ⅳ. 스키너
1. 스키너의 도덕발달 이론
2. 교육에의 적용
Ⅴ. 프로이드
1. 프로이트의 성격발달과 도덕교육
2. 교육에의 적용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상황과 유기체의 특별한 욕구에 따라서 그 영향의 강도가 커질 수도 있고, 약화될 수도 있다고 본다. 또한 반응들 자체가 다른 반응들의 강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강화인은 또한 正的(positive) 강화와 負的(negative)강화로 구분된다. 일차적, 이차적, 일반적 강화인은 정적인 방향으로 작용할 수도 있고, 부적 방향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정적 강화
가치있는 어떤 것을 제공함으로써 바람직한 행동의 강도와 빈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노트정리를 잘하는 학생에게 칭찬을 해줌으로써 더욱 노트정리를 잘하도록 유도한다던가, 미술시간에 그림을 잘 그린 학생의 작품을 교실에 전시하여 학생이 미술에 더욱 흥미를 갖도록 하는 것들이 정적강화의 좋은 예가 된다. 교실에서 일어날 수 있는 정적 강화는 학생과 교사 모두에게 일어날 수 있다. 좋은 성적, 교사의 웃는 표정, 칭찬, 게시판에 전시된 학생의 작품 등은 학생들에게 정적 강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그리고, 학생들이 보여주는 성실한 수업태도나 질문, 학부모나 교장으로부터의 인정 등은 교사에게도 정적 강화인이 된다. 앞에서 든 스키너 상자에서 먹이나 불빛은 정적 강화의 역할을 한다.
부적 강화
바라지 않는 어떠한 것을 제거하여 바람직한 행동의 강도와 빈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수업시간에 집중을 잘하고 좋은 질문을 하는 학생들에게는 청소당번을 면제해주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교사의 이러한 약속으로 인해 집중이 잘되는 수업이 되고 좋은 질문을 많이 하는 수업이 되었다면, 이는 청소를 제거함으로써 교사가 의도하는 수업이 발생하는 이른바 부적 강화가 일어났다고 볼 수 있다. 스키너 상자 바닥에 통하는 전기철망에 가벼운 전류가 흐르고 있을 때, 만일 쥐가 지렛대를 누를 때만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면, 전류가 꺼진다는 것이 부적 강화의 역할을 하게 된다. 결국 강화에서 ‘부적’이란 단어는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키기 위해 학생이 싫어하는 어떠한 것을 제거한다는 의미인 것이다.
(2) 일반화와 식별
이 원리는 기본적으로 강화에 의해 이루어지면서도 자극의 통제와도 관련된다는 점에서 자극 통제의 원리로 규정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학교 교육의 사태에 관련하여 번역한다면 학습과제의 점진적 조직 또는 제시의 원리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어떤 특정한 자극상태에서 강화되어 조건 형성된 행동은 다른 유사한 상태에서도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어린애들은 많은 사람들을 접촉하지 않았기 때문에 TV나 달력에 있는 여자들을 모두 ‘엄마’라고 호칭한다. 이와 같이 한 자극상태에서 강화된 후 유사한 자극상태에서도 같은 반응이 일어나는 현상을 一般化(generalization)라고 한다. 일반화가 너무나 완벽하게 되어도 문제는 곤란해진다. 한 번 배운 개념, 원리, 법칙을 모든 자극상태에서 사용하게 된다면 많은 오류를 범하게 될 것이다. 행동은 사태의 성질에 따라 다르게 일어나야 할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일반화와 식별의 예를 흔히 볼 수 있다. 어린아이가 개를 보고 “멍멍”하는 것을 학습한 뒤에 그와 비슷한 양을 보고 “멍멍”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사람은 자람에 따라 자기 주위에 있는 다양한 자극에 대해 구별된 행동을 보일 줄 알게된다. 어떤 여자사진에 대해서 ‘엄마’라고 반응하던 어린애는 차츰 성장함에 따라 아줌마도 알게되고 할머니, 아가씨도 알게된다. 이러한 반응을 識別(discrimination)이라 한다. 이러한 식별은 자극상태에 따라 강화되기도 하고 강화되지 않기도 하는 식의 差別强化(differential reinforcement)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이 식별은 인간행동을 이해하는데 있어 중요한 개념이다.
반응과 반응간의 連鎖(chain)현상은 일련의 반응이 조건강화와 식별자극(discriminative stimulant; SD)의 역할을 하는 자극에 의해서 뭉쳐진다. 작동적 행동모형에서는 조건자극에 대해 반응을 하여 강화를 받게되면, 조건반응(작동)을 자극하게 된다. 식별자극이 있을 때 반응하면, 조건강화가 주어지고, 이 조건강화가 다음의 반응을 일으키는 식별자극이 되고, 이 식별자극에 대한 반응에 다시 조건강화가 주어진다. 이것을 부호로 표시하면 SD→R→SD→R의 모양이 되고 이 결과 반응연쇄가 생긴다. 스키너는 지식학습도 이 반응연쇄를 형성함으로써 가능하다고 분석한다.
스키너의 작동적 학습모형에 있어서 자극, 반응, 강화의 세 변인간의 유관에 의해 인간학습을 설명하려는 것은 학습을 지나치게 단순화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인간의 언어적 행동은 복합적인 것이며, 따라서 자극의 통제를 위해서는 복합적인 중다인과(重多因果)법칙이 이용될 수 있다. 극장에서 연기하는 배우들에게 무대 뒤에서 대사를 불러 주는 경우처럼 조언 또는 도움말의 형식으로 보조자극(補助刺戟)을 제시하여 행동이 일어날 확률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시를 암송하는데 있어서 전구를 불러준다면 주제의 흐름으로 보아 뒷줄의 것을 외우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와 같이 조언문(助言文, prompts)은 언어적 행동을 형성하는데 대단한 가치가 있지만, 최종적인 학습여부를 할 때는 그런 조언문은 제거된 데서 이루어져야 함을 분명하다.
2. 교육에의 적용
강화계획
⑴ 강화계획의 성격과 유형
스키너의 작동적 학습모형을 완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강화계획의 개념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 스키너는 그의 실험을 통해서, ① 강화의 유형 및 양과 학습의 관계, ② 강화가 주어지는 방식과 학습의 관계를 밝히려는 노력을 했다.
첫째 문제에 대한 대답은 거의 분명했다. 사람에 따라 효과저인 강화의 유형과 양이 수시로 다른 것을 볼 수 있었다. 배부른 사람에게 먹는 것을 주는 것보다는 영화구경을 갈 수 있게 해주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반대로 배고픈 사람에게 들려주는 달콤한 약속은 그 효과가 적어진다.
둘째 문제가 곧 강화계획의 개념에 관한 것이다. 강화계획에는 계속적(繼續的) 강화계획과 단속적(斷續的) 또는 부분적(部分的) 강화계획의 두 종류가 있다. 계속적 강화란 정반응을 할 때마다 강화가 제시되는 경우를 말하며 단속적 강화는 정답을 해도 때로는 강화를 제공하고
강화인은 또한 正的(positive) 강화와 負的(negative)강화로 구분된다. 일차적, 이차적, 일반적 강화인은 정적인 방향으로 작용할 수도 있고, 부적 방향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정적 강화
가치있는 어떤 것을 제공함으로써 바람직한 행동의 강도와 빈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노트정리를 잘하는 학생에게 칭찬을 해줌으로써 더욱 노트정리를 잘하도록 유도한다던가, 미술시간에 그림을 잘 그린 학생의 작품을 교실에 전시하여 학생이 미술에 더욱 흥미를 갖도록 하는 것들이 정적강화의 좋은 예가 된다. 교실에서 일어날 수 있는 정적 강화는 학생과 교사 모두에게 일어날 수 있다. 좋은 성적, 교사의 웃는 표정, 칭찬, 게시판에 전시된 학생의 작품 등은 학생들에게 정적 강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그리고, 학생들이 보여주는 성실한 수업태도나 질문, 학부모나 교장으로부터의 인정 등은 교사에게도 정적 강화인이 된다. 앞에서 든 스키너 상자에서 먹이나 불빛은 정적 강화의 역할을 한다.
부적 강화
바라지 않는 어떠한 것을 제거하여 바람직한 행동의 강도와 빈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수업시간에 집중을 잘하고 좋은 질문을 하는 학생들에게는 청소당번을 면제해주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교사의 이러한 약속으로 인해 집중이 잘되는 수업이 되고 좋은 질문을 많이 하는 수업이 되었다면, 이는 청소를 제거함으로써 교사가 의도하는 수업이 발생하는 이른바 부적 강화가 일어났다고 볼 수 있다. 스키너 상자 바닥에 통하는 전기철망에 가벼운 전류가 흐르고 있을 때, 만일 쥐가 지렛대를 누를 때만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면, 전류가 꺼진다는 것이 부적 강화의 역할을 하게 된다. 결국 강화에서 ‘부적’이란 단어는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키기 위해 학생이 싫어하는 어떠한 것을 제거한다는 의미인 것이다.
(2) 일반화와 식별
이 원리는 기본적으로 강화에 의해 이루어지면서도 자극의 통제와도 관련된다는 점에서 자극 통제의 원리로 규정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학교 교육의 사태에 관련하여 번역한다면 학습과제의 점진적 조직 또는 제시의 원리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어떤 특정한 자극상태에서 강화되어 조건 형성된 행동은 다른 유사한 상태에서도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어린애들은 많은 사람들을 접촉하지 않았기 때문에 TV나 달력에 있는 여자들을 모두 ‘엄마’라고 호칭한다. 이와 같이 한 자극상태에서 강화된 후 유사한 자극상태에서도 같은 반응이 일어나는 현상을 一般化(generalization)라고 한다. 일반화가 너무나 완벽하게 되어도 문제는 곤란해진다. 한 번 배운 개념, 원리, 법칙을 모든 자극상태에서 사용하게 된다면 많은 오류를 범하게 될 것이다. 행동은 사태의 성질에 따라 다르게 일어나야 할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일반화와 식별의 예를 흔히 볼 수 있다. 어린아이가 개를 보고 “멍멍”하는 것을 학습한 뒤에 그와 비슷한 양을 보고 “멍멍”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사람은 자람에 따라 자기 주위에 있는 다양한 자극에 대해 구별된 행동을 보일 줄 알게된다. 어떤 여자사진에 대해서 ‘엄마’라고 반응하던 어린애는 차츰 성장함에 따라 아줌마도 알게되고 할머니, 아가씨도 알게된다. 이러한 반응을 識別(discrimination)이라 한다. 이러한 식별은 자극상태에 따라 강화되기도 하고 강화되지 않기도 하는 식의 差別强化(differential reinforcement)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이 식별은 인간행동을 이해하는데 있어 중요한 개념이다.
반응과 반응간의 連鎖(chain)현상은 일련의 반응이 조건강화와 식별자극(discriminative stimulant; SD)의 역할을 하는 자극에 의해서 뭉쳐진다. 작동적 행동모형에서는 조건자극에 대해 반응을 하여 강화를 받게되면, 조건반응(작동)을 자극하게 된다. 식별자극이 있을 때 반응하면, 조건강화가 주어지고, 이 조건강화가 다음의 반응을 일으키는 식별자극이 되고, 이 식별자극에 대한 반응에 다시 조건강화가 주어진다. 이것을 부호로 표시하면 SD→R→SD→R의 모양이 되고 이 결과 반응연쇄가 생긴다. 스키너는 지식학습도 이 반응연쇄를 형성함으로써 가능하다고 분석한다.
스키너의 작동적 학습모형에 있어서 자극, 반응, 강화의 세 변인간의 유관에 의해 인간학습을 설명하려는 것은 학습을 지나치게 단순화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인간의 언어적 행동은 복합적인 것이며, 따라서 자극의 통제를 위해서는 복합적인 중다인과(重多因果)법칙이 이용될 수 있다. 극장에서 연기하는 배우들에게 무대 뒤에서 대사를 불러 주는 경우처럼 조언 또는 도움말의 형식으로 보조자극(補助刺戟)을 제시하여 행동이 일어날 확률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시를 암송하는데 있어서 전구를 불러준다면 주제의 흐름으로 보아 뒷줄의 것을 외우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와 같이 조언문(助言文, prompts)은 언어적 행동을 형성하는데 대단한 가치가 있지만, 최종적인 학습여부를 할 때는 그런 조언문은 제거된 데서 이루어져야 함을 분명하다.
2. 교육에의 적용
강화계획
⑴ 강화계획의 성격과 유형
스키너의 작동적 학습모형을 완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강화계획의 개념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 스키너는 그의 실험을 통해서, ① 강화의 유형 및 양과 학습의 관계, ② 강화가 주어지는 방식과 학습의 관계를 밝히려는 노력을 했다.
첫째 문제에 대한 대답은 거의 분명했다. 사람에 따라 효과저인 강화의 유형과 양이 수시로 다른 것을 볼 수 있었다. 배부른 사람에게 먹는 것을 주는 것보다는 영화구경을 갈 수 있게 해주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반대로 배고픈 사람에게 들려주는 달콤한 약속은 그 효과가 적어진다.
둘째 문제가 곧 강화계획의 개념에 관한 것이다. 강화계획에는 계속적(繼續的) 강화계획과 단속적(斷續的) 또는 부분적(部分的) 강화계획의 두 종류가 있다. 계속적 강화란 정반응을 할 때마다 강화가 제시되는 경우를 말하며 단속적 강화는 정답을 해도 때로는 강화를 제공하고
추천자료
유치원 도덕교육의 구성주의적 접근
도덕교육에서의 정서
도덕교육의 도덕심리학적 기초
초등학교 교사의 차별실태로 본 도덕교육의 새로운 방향
[도덕과교육]도덕과교육 가치갈등학습모형(가치갈등수업)의 가치와 특징, 도덕과교육 가치갈...
[도덕과교육][도덕교육][도덕수업]도덕과교육(수업) 학습지도, 도덕과교육(수업) 협동학습지...
도덕과교육 ICT(정보통신기술)활용학습, 도덕과교육 역할놀이학습, 도덕과교육 신문활용학습(...
도덕과교육과정(도덕교육과정)의 개정 취지, 도덕과교육과정(도덕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도...
도덕과교육의 의의, 도덕과교육의 목적, 도덕과교육의 학교수업, 도덕과교육의 열린수업, 도...
[초등도덕교육]초등학교 도덕과(도덕교육)의 의미, 초등학교 도덕과(도덕교육)의 성격, 초등...
[도덕과교육]도덕과교육 정의적 측면 중심학습, 도덕과교육 개념분석학습, 도덕과교육 역할놀...
도덕과교육(학습, 수업)의 성격과 창의성, 도덕과교육(학습, 수업)의 원칙과 내용, 도덕과교...
도덕교육과정(도덕과교육과정) 목표, 도덕교육과정(도덕과교육과정) 기본 방향, 도덕교육과정...
협동학습과 도덕교육
소개글